항목 ID | GC00702464 |
---|---|
한자 | 特用作物 |
영어음역 | teugyong jangmul |
영어의미역 | crop for a special purpose / cash crops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고성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식용(食用)이외의 특별한 용도에 쓰이는 농작물.
특용작물이란 식용작물을 보통작물이라고 하는 데 대한 대칭어이다.제주시에서 재배되고 출하하는 특용작물로는 유지작물·약용작물·기호작물 기타특용 등으로 구분한다.
제주도의 특용작물은 1960년도 이전까지 면화·양잠·담배·제충국·신선란 등이었으나, 식용작물의 생산시책에 밀리고 가공 공장과 제품 생산기술이 없어 원료 생산 자체가 줄어드는 등 점차 쇠퇴하여 1970년대 이후에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제주도 농업에서 1970년대 유채와 고구마는 2대 작물로서 경제작물로 각광을 받았다. 유채 재배가 증가되었던 원인은 첫째, 식용유로 사용되던 호마유를 비롯한 미강유, 대두유 등이 가격이 비싼 데 비해 유채유는 값이 싸다는 것이다. 둘째, 토지 이용도를 높이고 농한기 유휴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 셋째로는 식용유 및 공업용유의 공급이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감귤의 등장으로 유채 재배는 현격히 줄어들었다가 최근에 와서 관광 상품으로서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경관작물로서 일정 부분 유지되고 있다.
제주시의 2006년도 12월말 기준의 특용작물의 종수는 대략 30여 종을 상회한다. 개별 종목을 종류별 작물로 취합한 합계를 보면 재배면적 2807㏊에 모두 6,129톤을 생산하여 6, 250호 가구에서 213억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가구당 평균수입이 350만원에 달하는데 부업의 성격으로서는 상당한 수입원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시의 2006년도 12월말 기준의 특용작물 생산현항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2006년도 특용작물 생산량
유지작물에는 참깨·유채·땅콩이 있고, 약용작물에는 더덕·도라지·오가피·복분자·인진쑥·방풍·당귀·시호·독활·곽향·소엽·석창포·맥문동·지황·강활·황금·황기·구기자·작약·일천궁과 기타(옥죽)가 있으며, 기호작물에는 차에 허브·녹차가 있으며, 버섯류에 느타리·상황·새송이가 포함되고 기타특용 품목에는 알로에·선인장·드롭·신선초가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