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현용필 할아버지의 가족과 성장기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T04009
한자 -家族-成長期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
집필자 김동윤

출생과 청년기

현용필은 1921년생으로 현재 87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건강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꾸준히 써온 한시들을 모아 1997년에는 희수를 기념하여 한시집 『한라산』을 낸 데 이어, 지난 2004년 두번째 한시집 『넙은드르에 태 사르고』를 출판하였다. 제주향교 반수직, 광평마을 노인회 회장, 노형동 노인회 회장, 제주시지회 부지회장, 영주음사 부사장 등을 역임하였고, 지금도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제주시지회 자문위원, 제민일보 한시위원으로 위촉되어 있고, 제주향교 원로, 영주음사 사원 등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용필은 넙은드르(광평)마을에서 태어나, 함경남도 흥남에서 보낸 3년 여를 제외하고는 계속 이곳에서 거주하면서 4·3 이후 노형리 재건에도 깊이 관여하여 활동하는 등 격변의 노형동 역사에 대한 산 증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민속학자 현용준의 둘째형으로, 유교 집안의 가풍을 이어 한시를 꾸준히 창작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유림의 고장 노형의 특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현용필이 태어난 넙은드르는 본래 농촌 지역이면서도 예의와 도덕을 존중하는 선비마을로 널리 알려져 왔다. 예전에 제주향교의 선구적 역할을 거의 이 마을 사람들이 맡아왔다고 하는데 현용필 또한 그러하였다. 선비촌이었던 노형의 이모저모를 파악하는 데 그가 살아온 생애는 요긴한 자료가 되리라고 본다.

선비 집안 차남으로 출생

현용필은 1921년 10월 18일 생으로 우리 나이로 87살이며 만으로는 85살이다. 제주읍 노형리 2887번지에서 시랑공 27세손인 아버지 현응조와 어머니 고응숙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연주이며, 어머니의 본관은 제주이다. 흔히 아이를 갖게 되면 태몽을 어머니나 주변 사람들이 꾸게 마련인데 현용필의 출생시에는 특별한 태몽을 꾼 사람은 없다고 한다. 그의 출생과 관련된 특별한 일화가 있는 것도 아니다. 말하자면 평범한 출생이었다는 것이다.

용필(容弼)이라는 이름은 할아버지가 지어주었다. 현용필의 형제들 이름은 용(容)자 돌림으로 모두 할아버지가 지은 것이다. 그는 광암(廣庵)이라는 호도 갖고 있다. 스무 살 무렵에 한시 공부를 할 때 송하 현영문 선생이 지어주었다.

어렸을 때부터 한학 공부

할아버지가 한약방을 운영하는 등 현용필의 집안 분위기는 한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할아버지만이 아니라 아버지도 한시를 썼다. 그런 분위기에서 자라난 그는 자연스럽게 한학과 가까워졌다. 그러나 그는 집에서 할아버지나 아버지에게 한학에 대한 구체적인 가르침을 받은 것은 아니다. ‘글청(서당)’에 다니며 한학을 익혔지만 그것도 쉽지 않았다. 글청에 가기 전엔 ‘검질(김)’ 매고, ‘촐(꼴)’을 베오고 하느라 전념하여 배우지는 못했던 것이다. 넙은드르에서는 그 시절에도 다들 한학을 하곤 했다. 노형 동네에는 한학을 가르치는 분이 많아 글청이 수십 호 있었다고 한다. 그 시절엔 보통은 10살은 되어야 글청에 보냈는데, 현용필은 11살 때 곱뒌밭에 살고 있던 풍헌 양상용 훈장에게 천자문과 개몽편, 동몽선습, 소학 초권을 2년여 동안 배웠다. 이후 한시 공부는 13세 되던 해 송암 현명집 훈장이 운영하는 서당에서 소학 2권과 맹자를 읽으면서였다. 다음에는 풍생이왓에 살고 있는 현상헌 훈장에게 명심보감과 논어를 읽으며 한시를 배웠다고 한다. 그는 서당에 가서 한시를 수학하면서 한시에 취미를 붙이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풍월을 잘 하는 어른들이 아주 많았다. 그때는 풍월을 읊지 못하면 어디를 다니며 행세하지 못할 정도였다. 현용필은 11살부터 14살까지 글청에서 수학했다.

4년을 한문을 하고나서는 함박이굴학교에 용관, 용석과 함께 삼형제가 같은 2학년으로 들어갔다. 함박이굴학교는 개량 서당으로 마을 유지들이 뜻을 같이하여 1920년경에 세웠으며 1936년에 관에서 인정하여 합법적인 학교가 되었고 친진의숙(親進義塾)으로 불렸다. 1935년 3월에 그는 친진의숙을 졸업했다. 그와 함께 함박이굴학교를 다녔던 용석은 화북국민학교를 졸업했고, 나중에 함박이굴학교를 다녔던 용준은 제주북국민학교를 졸업했다. 당시에는 초등학교 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무척 어려웠다고 한다.

함경남도 흥남에서 보낸 세월

현용필은 22살이 되던 해 정월 일본에서 오래 살던 영조 삼촌(오촌 당숙)을 따라 흥남으로 가게 되었다. 금속공장에 취업하여 일본을 돕는 일이라도 하면 군인을 면제해 줄 때이다. 영조 삼촌은 ‘쇼코(직공)’라고 하는 공장장의 신분이었는데, 현용필은 군인 면제를 위해서 삼촌을 따라간 것이다. 그때는 집의 일이고 뭐고 군인으로 끌려갈까봐 다들 다른 기회를 노리곤 하였다. 영조 삼촌은 함경남도로 가는 길에 노형동에 살고 있는 당신의 부모님께 인사차 들렀는데, 그때 영조 삼촌에게 현용필이 따라가서 일하고 싶다고 했더니 다행히 허락을 해줘서 따라갈 수 있었다. 흥남으로 갈 때는 산지항에서 목포항으로 연락선을 타고 떠난 뒤 저녁 7시에 출발해서 다음날 8시 정도, 즉 13시간 정도 걸려 도착했다.

정월이었으니까 겨울이 한참이라 매우 추웠다. 목포에서 서울, 서울에서 함경도까지는 열차를 타고 이동했다. 그때가 육지에 처음 나가본 것이었다. 육지는 굉장히 번화해 있었고 비료공장, 금속공장 등 여러 가지로 발전이 되어 있었다. 당시만 하더라도 제주에서는 노형동 한길동산 서쪽 위에 올라보면 삼도1동, 이도1동, 일도2동 등 전깃불이 하나씩 하나씩 겨우 생길 때였는데, 지금의 가로등 불빛만큼도 안 보일만큼 전깃불이 귀했다.

흥남에서 3년쯤 살았는데 가 보니까 전기가 대롱대롱 훤했다. 영조 삼촌은 나사 만드는 공장의 공장장이었다. 현용필은 영조 삼촌이 공장장으로 있었기 때문에 힘든 일을 맡아 하지는 않았다. 1942년 1월부터 공장에서 험한 일은 안 해보고 서무를 보고 직원 봉급을 담당했다. 함박이굴학교에서 주판과 산술을 배웠기 때문에 간주 계산은 어렵지 않았다. 그때 그는 창씨명으로 ‘도꾸하라 용필’로 불리었다.

‘36계 주행 제일’

1년 남짓 흥남에서 직장 생활을 하던 중 23살 되던 해인 1943년 10월 19일 혼인날에 맞춰서 고향에 돌아와 두 달 정도 살다가 다시 흥남으로 갔다. 다시 1년 쯤 생활하고 있노라니 “국세가 점점 어지럽고 함경남도 북쪽에 폭격을 맞았다”는 소문도 있고 해서 토정비결을 보았는데 ‘36계 주행제일(三十六計走行第一)’이 첫 괘에 나왔다. 그는 영조 삼촌에게 고향에 가겠다고 했다. 그러나 삼촌은 시국이 어지럽기 때문에 지금 떠나면 어디서 죽을지도 모른다며 말렸다. 가더라도 전송도 나오지 않겠고, 지금 떠나면 생사를 막론하고 연락을 끊겠다고 했다. 영조 삼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현용필은 전송 나오지 말라 말하고 토정비결에 나온 대로 그곳을 떠났다. 고향으로 돌아오던 때가 4월이었는데, 넉 달도 되지 않아서 8·15 광복이 되었고 남북이 갈렸다. 그는 그때 계속 북한에 있었으면 어땠을지 지금 생각해도 섬뜩하다고 한숨을 쉬었다. 그때 함께 흥남에 갔던 같은 마을의 이상부 형은 그곳에 그냥 머물렀는데 지금까지 소식을 알 수가 없다. 아마도 나이가 있기 때문에 작고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다. 일제 말기에는 하도 이리저리 폭격을 하는 시국이었기에 어디에 살아야 할지를 몰랐다. 그가 고향으로 돌아가던 길에 들른 서울에는 노숙자가 넘쳐났다. 제주도에서 육지 쪽으로 피난 가는 사람도 많았는데, 현용필이 아는 사람들도 피난가다 몰살당한 경우가 있었다.

서울의 기차역에서 환승하고 목포까지 와서 여객선편을 알아보는데, 목포와 제주를 오가는 정기 여객선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보름 가까이 목포항 부근의 여관에 묵으면서 제주로 가는 배가 없나 하고 여기저기 수소문하고 다녔다. 그러던 어느날 저녁에 부두에 나가보니 고리짝을 지고 소곤소곤대며 걸어가는 사람들이 있어서 물어보니 제주로 가는 사람들이었다. 함께 가고 싶다고 부탁을 해서 승낙을 얻었다. 황급히 여관으로 돌아가 고리짝을 챙겨 들고 헐레벌떡 부두로 가서 배에 올랐다.

1945년 음력 4월(양력 5월) 쯤에 15명이 함께 조각배를 타고 목포를 떠났다. 저녁 8시경에 배에 타서 다음날 아침 8시경에 도착했다. 도착한 곳은 조천면 함덕포구였다. 주변에 군인들이 엄청나게 많았다. 포구 주위에 곶자왈이 무성하고 자왈 사이에 천막들이 쳐 있고 그 주변에 총도 세워져 있는데다가 수많은 군인들이 있어서 놀랐다고 한다. 돌아오는 길에도 보니 제주도는 온통 일본군 천지 같았다. 당시 제주도 인구가 27만 명쯤이었는데, 일본군은 7만 명이나 주둔했다고 한다.

목포에서 오래 생활하다 보니 함덕에 도착했을 때는 수중의 돈이 다 떨어진 상태였다. 허기진 배를 안고 고리짝을 짊어진 채 사람들에게 길을 물으며 고향 마을이 있는 서쪽으로 계속 걸었다. 지금 차를 타도 한 시간 가까이 걸리는 함덕에서 노형까지의 거리를 현용필은 걸어간 것이었다. 함덕에서 삼도리 병문천 부근까지 걸어가니 오후 2시쯤이었는데, 넙은드르에 살았던 강상돈 형의 집을 찾아갔다. 그 형은 현용필이 무사히 살아 돌아온 것을 반가이 맞아주며 밥을 주었다. 배를 채운 후 다시 노형리 넙은드르 집까지 걸어왔더니 저녁 대여섯 시쯤이었다. 마침 동생 용석의 결혼식 전날이었다. 그래서 집안은 정말 분위기 들뜬 잔칫집이 되었다.

20대 후반에 맞은 4·3의 경험

현용필은 흥남에서 돌아온 뒤 일제 말기에는 노무자로 동원되어 일했다. 어승오름, 걸시오름, 아흔아홉골 등지로 이리저리 다니며 노역을 감당해야 했다. 일본군이 물러간 다음에는 농사를 지었다. 그 다음에 바로 남북한이 갈라졌기 때문에 같이 흥남에 갔던 고향 벗도 귀향하지 못하고, 영조 당숙도 그랬다. 그런데 당숙은 6·25전쟁 때 서울로 왔다가 거기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한다. 당숙이 낳은 두 아들은 북한에서 살고 있다. 당숙모가 일본에 살면서 북의 아들이 하도 어렵게 사니까 옷이라도 보내달라고 하면 보내주곤 했다는데, 지금은 생사를 잘 모르겠다고 한다.

4·3사건이 발발할 때 현용필의 나이는 28살이었다. 1948년 11월 19일에는 군경 토벌대가 노형을 완전 소각시켰다. 그 당시엔 군인들에게 대접을 해야만 했는데 그렇지 않으면 어떤 피해가 있을지 모르기에 살아날 욕심으로 그럴 수밖에 없었다. 현용필 가족은 오도롱 굴가름 김현국 씨 집으로 소개를 갔다가 거기서 사흘을 보내고 아랫마을인 이호리 현사동으로 옮겼다. 세간과 소 2마리를 가지고 갔는데, 아버지가 해변 청년에게 소 한 마리를 주어 달래면서 “노형에서 소개왔다고 너무 고생시키지 말아달라”고 부탁을 했다고 한다.

아버지는 수염을 길게 기른 채 현사동 양상휴의 배려로 낮에는 모살동산에서 보초를 서고, 밤에는 집에서 잠자면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그러던 음력 섣달 초순의 어느날 한밤중에 경찰이 집에 찾아와 잠자고 있는 현용필을 향하여 손전등을 비추며 “저기 누워있는 놈이 누구냐? 지금이 어떤 땐데 젊은 놈이 잠자고 있느냐?” 하자 아버지는 “귀가 먹어서 낮에만 보초를 선다”고 하며 막아섰지만 결국 그는 신발도 못 신은 채로 끌려 나갔다. 맨발로 이호동 동카름까지 갔는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경찰은 그 중의 동네의 아는 어른과 현용필을 불러내었다. 그에게 잠자면서 입초를 잘 안 섰으니 동네 어른의 뺨을 때리라고 했다. 생사의 길목에서 망설이다 살살 때리니 경찰은 그를 힘껏 때리면서 똑같이 하라고 했다. 하는 수 없이 세차게 때리니, 이번에는 동네 어른에게 그를 때리라고 했다. 서로 뺨이 퉁퉁 붓도록 주고받을 수밖에 없었다. 잠시 후 귀가하라고 하자 ‘이제는 살았구나’ 생각하며 몇 걸음 하다가 정신을 차려 그 어른에게 사과했다. 그러니 그 어른은 “세상이 다 그런 세상인데, 살아서 가는 것만으로도 하늘이 도운 것이 아니냐?”며 마음 편하게 가자고 위로하였다. 귀가하니 울고 있던 온 식구들이 크게 반가워했다.

이듬해 1월 24일(음력 12월 26일) 그곳에도 산사람들이 방화를 하여 마을 전체가 불타고 말았다. 당황한 아버지는 어린 영도 당숙을 이불에 싸서 뒷밭으로 던져 살린 후 도망가 숨었고, 작은아버지는 보초를 서다가 바닷가 바위틈으로 도망가 숨었는데 산사람의 죽창에 찔려 죽었다. 그의 가족은 다시 도두리로 이동하여 학교 마당에서 천막을 쳐놓고 살게 되었다. 그런 와중에 그는 동생 용준을 만나 “경찰이 무서워서 못살겠으니 석조 오촌의 명함이라도 한 장 얻어오라”고 신신당부를 하였다. 용준은 헌병으로 근무하는 석조 오촌을 만나 그런 사정을 전했다.

얼마 후에 저녁을 먹고 대여섯 식구가 앉아 있는데 지서장이 직접 와서 “현응조 나오라”고 아버지 이름을 불렀다. 그때는 이름만 불러서 나가면 다 죽을 때였다. 그런데 불려 나가서 한참 시간이 지나도 총소리가 나지 않았다. 알고보니 석조 오촌이 한림 쪽으로 토벌 나가다가 도두지서에 들어간 뒤 “현응조 가족을 잘 돌보아달라”고 부탁하고 갔고, 그 부탁을 받은 지서장이 직접 와서 아버지를 불러낸 것이었다. 지서장은 학교 옆의 한 집을 정해 주고 다음날부터 천막에서 나와서 거기서 살라고 했다. 석조 오촌이 잘 말해준 덕으로 그나마 천막 생활을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었다.

젊은 시절 사진은 없어

현용필에게 젊은 시절의 사진이 있냐고 묻자, 하도 어렵게 살아서 사진 찍은 지가 오래지 않아 50세 이전에 찍은 젊은 시절의 사진은 없다고 말했다. 환갑이 넘어서야 살림이 좀 풀려서 여유가 생겼다고 했다. 대신 석전대제와 환갑잔치 등의 사진들은 앨범에 보관이 잘 되어 있다. 현용필의 부모는 사진 촬영은 해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요즘에야 흔하지만 예전에는 카메라를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탓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