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753
한자 電力産業
영어음역 jeollyeok saneop
영어의미역 electric power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경수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산업 생산과 경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국가 기간 산업.

[개설]

에디슨의 백열전등 발명으로 인해 전기는 일반인의 전기 수요를 충족하는 하나의 사업으로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에디슨은 1880년에 에디슨 전등회사를 설립하여 뉴욕의 펄가에 지중 배전선을 설치하고 그 부근의 주택에 처음으로 전등을 점화하였다. 이것이 인류 역사상 최초의 대중에 대한 전기 공급이며 전력 사업의 시초이다.

이후 텅스텐필라멘트의 발명으로 전등은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교류 시스템의 완성으로 발전이 가능하게 되어 전력은 에너지 산업으로서 산업 생산의 원료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변천]

1. 일제강점기

제주전기주식회사는 1924년 4월 10일 설립 인가되고 다음 해 3월 17일 설립되었으며, 대표 이사는 일본인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 1870~1964]가 맡았다. 제주 지역의 전력 산업은 1926년 제주전기주식회사의 발족으로 비로소 시작되었다. 사업 개시일은 1926년 4월 21일로 제주시 건입동(현재의 154㎸ 산지변전소 자리)에 40㎾ 내연 중유 발전기를 설치하고 사업을 개시하였다.

제주전기주식회사는 1936년 10월 1일 자매회사인 대흥전기주식회사에 합병되어 대흥전기 제주지점으로 개편하였다. 합병 당시 종업원은 사원 1명, 준사원 4명, 용원 4명 등 총 9명이었다.

대흥전기주식회사는 6개 전력 회사와 함께 통합되어 1937년 3월 11일 남선합동전기㈜로 발족하였고 제주지점은 목포지점 제주출장소로 재편되었으며 사장은 대흥전기 사장인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선임되었다. 제주 지역의 전력 산업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이 될 때까지 영세한 규모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2. 1945~1950년대

1945년 8·15 광복을 맞아 남선합동전기(주) 목포지점 제주출장소의 한국인 종업원 전원은 사장이었던 오구라를 상대로 운영권 인수 사무에 착수하였다. 이에 따라 9월 10일 전사업 운영권 인계인수 조인식이 거행되었다.

1946년 5월 29일 종전의 회사 명칭에서 합동이라는 두 글자를 빼고 남선전기㈜로 개칭하였으며 제주출장소도 제주영업소로 개편하였다. 그리고 남선전기(주) 목포지점 제주영업소 소장으로 양부창(梁富昌)이 부임하였다.

1956년 유엔한국재건단(UNKRA)에 의해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전력 설비 복구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에 따라 제주, 한림, 서귀포, 모슬포 4개 지구에 디젤 발전기가 설치되자 비로소 일반인들도 제한적이나마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1960~1970년대

1961년 조선전업(주), 경성전기㈜, 남선전기㈜의 전기 3사는 5·16 군사 정부에 의해 통합되어 7월 1일 한국전력주식회사로 발족하였다. 이로 인해 전력 산업의 근대화가 이루어져 남한 지역에는 무제한 송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국전력주식회사 목포지점 제주영업소는 한국전력주식회사 전남지점 제주영업소로 개편되었으며 영업소장으로 양성묵(楊成黙)이 부임하였다. 또한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 따라 제1차 전원 개발 계획이 수립되어 전력 설비의 확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편 제주지역의 경제 성장과 산업 발전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고, 이에 대비하여 전원 설비 및 송변전 설비, 배전 설비의 확충이 적기에 건설되었다. 1968년 7월 제주-서귀포 간 제주 지역 최초의 66㎸ 송전 선로가 건설되었고 1970년 3월 1만㎾의 제주화력발전소가 준공되어 전력 설비의 근대화를 이루게 되었다.

4. 1980~1990년대

1982년 1월 1일 한국전력주식회사는 공사 체제로 전환하여 한국전력공사로 개편, 발족하였다. 제주 지역 전력 계통은 육지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주요 전원은 소규모 유전소 화력과 내연력 발전소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전국 평균 발전 원가의 2.5배를 상회하는 고발전 원가로 전력 사업 수지 부분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었다.

제주 지역의 고발전 원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육지와 전력 계통을 연결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확보하고 전력 사업의 수지 개선과 직류 송전의 기술 축적을 전제로 제주-육지 간 전력 계통 연계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1997년 1,55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 전력 계통 연계 사업을 통해 제주-해남 간 해저 케이블과 직류와 교류 전기를 변환하는 변환 설비가 준공되었다. 이로 인해 제주 지역에도 육지에서 송전하는 전기가 공급되기 시작하였다.

1998년 IMF 관리 체제에 따라 정부는 시급한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공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업에 대한 민영화 방안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전력 산업 구조 개편 정책이 추진되었다.

5. 2000년대 이후

2001년 4월 2일 한국전력공사는 발전, 송변전, 배전 판매 분야로 나누어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주식회사, 한국남부발전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주식회사, 한국남동발전주식회사,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한국전력거래소 등 8개의 회사로 분리되었다.

이에 따라 제주 지역에서는 송변전 및 배전 판매를 담당하는 한국전력공사, 제주화력발전소를 인수한 한국중부발전, 남제주화력과 한림복합화력을 인수한 한국남부발전, 급전 업무를 담당하는 한국전력거래소의 4개 회사로 분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황]

1. 발전 설비

남제주화력은 내연력 발전기 40,000㎾와 단위 용량 10,000㎾의 기력 1호기와 2호기가 20,000㎾를 운영 중에 있으며 3호기 100,000㎾가 2006년 9월 건설되었고 4호기 100,000㎾ 발전기가 2007년 3월 준공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제주화력은 기력 1호기 10,000㎾, 기력 2, 3호기는 각각 75,000㎾씩 150,000㎾를 운영하고 있으며, 내연력 40,000㎾와 가스터빈 55,000㎾가 운영 중에 있다. 한림복합화력은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의 복합 화력 105,000㎾가 운영 중이다.

고압 직류 송전 방식(HVDC)의 해저 케이블 변환 설비로는 150,000㎾가 운영 중에 있다. 송변전 설비 현황은 154㎸ 송전 선로가 19개 회선 362C-㎞이며, 지지물은 철탑 483개, 철주 26개, 변전소 8개소에 변압기 용량 1,761㎹A를 운영하고 있다.

배전 설비는 85개의 회선 수에 변압기 30,011대, 지지물 150,739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선의 연장 거리는 총 11,989,885㎞에 달한다.

전력 산업의 수용가(고객수)는 2005년 현재 255,000호로서 이중 주택용 고객이 179,000호로 70%를 점유하며 산업용 고객이 2,000호, 농사용 고객이 29,000호, 업무용 및 서비스업이 34,000호이며 기타 고객이 10,000호이다.

2005년 현재 전력 판매량은 업무용 및 서비스업이 1,016GWH로서 37%를 차지하고 있고, 농사용이 759GWH로서 27%, 주택용이 513GWH로 18%, 산업용이 291GWH로 10%를 차지하고 있다.

2. 발전 회사

발전 회사로는 제주화력발전소를 운영 중인 한국중부발전주식회사, 한림복합화력발전소와 남제주화력발전소를 운영 중인 한국남부발전주식회사가 있다. 한국중부발전주식회사에는 194명, 한국남부발전주식회사에는 280명이 근무하고 있다. 전력 거래 업무는 한국전력거래소 제주지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0명이 근무하고 있다.

배전 설비와 전기 판매 사업을 담당하는 한국전력공사 산하 사업소로 제주 지역을 담당하는 제주지사와 서귀포시 지역을 담당하는 서귀포지점이 있으며, 송변전 설비를 담당하는 제주전력소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전력공사 제주지사에는 201명, 한국전력공사 서귀포지점에는 60명, 제주전력소에는 63명이 근무하고 있다.

[특성]

제주 지역 전력 계통은 육지와 전력의 상호 융통으로 발전 원가 절감을 통한 누년 적자 해소를 목적으로 전라남도 해남에서 고압 직류 송전 해저 케이블을 연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해저 케이블 자체가 하나의 전원 설비로서 운영 체계와 방식 등을 따져보면 제주 지역의 전력 계통은 사실상 육지부와는 독립된 전원 계통이다.

제주 지역 전력 계통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원 계통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산북 지역과 남서 지역, 북서 지역에 입지하고 있으며 산남 지역과 동부 지역은 전원 계통이 전무하여 지역적 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다.

송변전 계통은 3개 발전소와 1개 변환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17개의 송전 선로를 통하여 8개 변전소 간에 환상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전 계통은 8개 변전소에서 79개의 회선이 인출되어 2~3개의 선로가 연계 운영되고 있으며, 부하 구조는 제주 지역 전체 부하의 50% 이상이 제주시 내에 편중되어 있다.

제주 지역은 대부분 전력 설비가 해안 근처에 시설되어 있고 심한 바람의 영향으로 염해에 노출되고 있으며, 낙뢰와 태풍의 내습 또한 고품질의 전력 공급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전력 사업상 최근 지중화 등 친환경적 전력 설비의 건설 요구와 님비(NIMBY) 현상은 전력 사업 추진에 커다란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전망]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계획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대단위 관광 단지, 리조트, 골프장, 호텔의 증가로 인해 전력 수요의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발전 설비의 건설과 송변전 설비의 건설을 적기에 건설하고 송전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154㎸ 송전 선로를 구축하고 있다.

전력 산업 구조 개편에 따라 전력 산업에 경쟁 체제를 도입하고 양방향 입찰을 통한 전력 거래 업무와 전력 시장을 운영함으로써 가격 경쟁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값싸고 질 좋은 전기를 공급하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