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덕환 씨의 직업 이야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T04018
한자 -職業-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
집필자 김동윤

직업 변화

강덕환은 대학에서 전공은 경영학을 했지만, 전공을 살려 취업한 것은 아니다. 1986년 11월 졸업을 앞두고 전공과는 상관없이 서울에 있는 창작문화연구원에 입사하였다. 창작문화연구원에 들어간 이유는 글 쓰는 것을 좋아한 때문이다. 그는 초등학교 2학년 때 교내 백일장에서 동시를 써서 입상한 이후로 6학년 때는 저축의 날 백일장에 참가하여 전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중고등학교에서도 문예반에 가입하여 여러 차례 입상하는 등 문학의 꿈을 키워갔으며, 대학에 진학에서는 문학 동아리 신세대에 들어가서 작품들을 쓰기 시작했다. 그것은 ‘풀잎소리’라는 동인 활동으로 이어졌다. 문학은 그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창작문화연구원 입사는 문학에 뜻을 둔 그의 소신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첫 직장 생활은 오래가지 않았다. 수습 기간 정도(5개월)만 근무하다 고향으로 내려왔다. 어머니가 고향에서 지냈으면 좋겠다고 하자 그 뜻을 일단 따랐던 것이다.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1989년 2월 지방 월간 잡지사(월간제주)에 들어가 기자 생활을 5년 동안 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격변의 현장에서 "제주도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사건들을 접하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지역 문제를 구체적으로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잡지사가 운영난으로 문을 닫게 되자, 지방의회 구성 초기인 1994년부터 제주도의회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정규직으로 임용된 게 아니었다. 초기에는 고용직, 일용직으로 근무하다가 비전임 계약직으로 신분이 바뀌었다. 이렇게 생활한 것이 12년이었다. 그러던 것이 2006년 9월부터는 전임 계약직이 되어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서 근무하고 있다. 행정자치위원회의 정책자문위원이다. 5급 사무관 대우이다.

창작문화연구원

강덕환은 대학 4학년 2학기 때부터 서울에서 생활하면서 입사 정보 등을 알아보다가 창작문화연구원에 들어가게 되었다. 입사 시험은 영어와 작문이었다. 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터라 입사하게 되었는데, 기획·편집부에 배속되었다. 수습 기간이 주어졌는데 출장이 잦았다. 애초에 기대했던 일거리와 어긋나기도 하였지만 지리에 익숙하지 못한 외지 생활이 피곤했다. 또한 고시원에 숙소를 마련하고 있어 생활이 불편한 것도 있었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그만 두고 다른 일거리를 찾아보고 싶어 수습을 뗄 무렵 그만두었다.

월간제주

강덕환은 제주도의 잡지사인 월간제주사에 1989년 2월에 입사하여 1993년 12월까지 근무했다. 『월간제주』는 언론에 재갈을 물리던 시기인 1980년도에 강제 폐간 조치를 당한 후 자유화의 바람을 타고 복간된 잡지였다. 처음에는 몇 개월 정도 근무하다가 그만둘 요량이었는데, 열악한 잡지사 사정이 그렇지 못했다. 시사종합지 성격의 잡지여서 한편 재미도 있었다. 1990년부터 편집부장 직을 맡다보니 더욱 책임이 가중되기도 했다. 당시에 주로 취재 대상으로 삼았던 것은 4·3사건, 제주도개발특별법, 탑동 매립, 지방자치 등에 관한 것이었다. 결국 재정난으로 월간제주사가 문을 닫기까지 5년 정도 근무했다.

제주도의회

제주도의회 내에 4·3특별위원회가 구성(1993년 3월)되고 1년 정도의 준비 기간을 거쳐 4·3피해신고실이 개설되었다. 그러면서 4·3 희생자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게 되는데, 그 일을 맡게 되면서 도의회에 입사했다. 주로 피해신고실로 직접 신고하러 오는 사람들을 상대로 피해 내용을 접수하는 일이었는데, 기타 도의회의 4·3특별위원회 활동을 지원하고 있었다. 지역별로 위촉한 17명의 조사 요원에 대한 지원을 위해 직접 현장에 나서는 일도 많았다. 한편,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4·3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거나 4·3사건과 같은 국내외 타 지역의 유사 사례를 연구하여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도 했다. 특히 신고 접수된 4·3 희생자의 명단을 수록하고 사건 내용을 담아 세 차례의 『4·3피해조사보고서』를 발간하게 되는데, 4·3특별법을 제정(2000. 1. 12.)하거나 그 이후 4·3의 역사를 연구하는 기초 자료로 많이 활용되기도 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책자문위원으로 채용되었다. 행정자치위원회 소속 도의원들의 정책과 활동을 지원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전히 4·3사건과 관련된 정책 자문을 많이 하는 편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