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12055 |
---|---|
한자 | 孝烈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주동로 17[건입동 261] 국립 제주 박물관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백종진 |
[정의]
1834년 제주도 내 효자, 효부, 열녀, 의사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
[개설]
『효열록』은 조선 시대 제주도 내 효자 26인, 효부 6인, 열녀 27인, 의사 3인의 순서로 합계 62인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이다. 1834년(순조 34) 정월에 제주 목사 한응호(韓應浩)의 지시를 받아 김영락(金英樂)[1789~1859]이 어사들이 조정에 올린 장계 초록(狀啓草錄)과 면리(面里)에서 관부에 올린 첩문(牒文)을 열람하여 낱낱이 조사한 뒤 편찬하*9685+6였다.
당초 6권을 만들어 제주 향교, 귤림 서원, 제주 향청, 영청, 대정 학당, 정의 서당 등에 배포하였다. 『효열록』은 영청에 비치되었던 것으로, 2009년 7월 24일 제주특별자치도 유형 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저자]
김영락의 본관은 나주, 자는 명래(明來)이다. 지금의 제주시 화북동 거로 마을에서 태어났다. 1814년(순조 14)에 가형(家兄)인 김영집(金英集), 김영업(金英業)과 찰리어사 이재수가 설행한 문과 초시에 동방급제(同榜及第) 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834년(순조 34) 정월에 김영락이 제주 목사 한응호(韓應浩)의 지시를 받아 만들었다.
[형태/서지]
1책 17장의 필사본으로 가로 20cm, 세로 34㎝이다.
[구성/내용]
서두에 서문이 있고, 다음으로 효자 26인, 효부 6인, 열녀 27인, 의사 3인의 순서로 합계 62인의 행적이 수록되어 있다. 끝에는 결론에 해당하는 내용이 간략히 서술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필사본으로서 제주도 내 효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또한, 어사들의 장계 초록과 관부의 첩문 등에서 뽑아낸 제주도 내 충효열을 총망라하여 수록함으로써 조선 시대 성리학적 세계관 안에서의 제주인들의 윤리 의식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