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엄리 방사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273
한자 新嚴里防邪塔
영어음역 Sineomri Bangsatap
영어의미역 Pagoda in Sineom-ri
이칭/별칭 신엄리 탑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나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방사탑
건립시기/연도 일제 강점기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 지도보기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의 방사탑.

[개설]

제주도에서는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상을 올려놓은 탑을 방사탑이라 하며, 애월읍 신엄리에 위치한 방사탑을 신엄리 방사탑이라 한다.

[건립 경위]

신엄리, 속칭 ‘중숫물’이라는 지경에 돌탑 1기가 있는데, 이 돌탑은 허(虛)한 것을 보강하고 사악(邪惡)한 것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다.

[형태]

지형은 비교적 평탄하나 돌탑이 쌓인 곳은 높이 240㎝의 자연 암반이다. 그 위에 높이 286㎝, 아랫지름 415㎝, 윗지름 140㎝ 규모의 돌탐을 쌓았다. 탑 위는 43㎝ 정도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현무암 잡석을 이용한 허튼층 쌓기이며, 원뿔 형태의 탑 벽은 옹형(甕形)을 이루고 있다. 탑 속은 잡석 채움이 되어 있다.

또한 풍수지리적으로 제일 약하다고 이해되던 곳인 속칭 ‘가운모기[果園木]’에 방사 짐승을 만들어 세워놓았었다. 이 과원에는 동서 방향으로 넓고 높은 울타리가 있었다.

이 울타리 위에 약 20m의 간격을 두고 머리가 길고 몸이 통통한 짐승 형태의 돌 4기가 놓여 있었다. 지금은 2기의 행방을 알 수 없으나, 다행히 제주 대학교 박물관신엄 중학교 입구에 2기의 석상이 남아 있다.

이 짐승의 형태는 머리와 얼굴이 길고 넓적하여 마치 삼각형 비슷하게 되어 있고, 눈은 원에 가까운 타원 형태이고 반원이다. 입은 측면까지 길게 표현되었고, 입 위로 삼각형 모양의 코가 돌출되어 있다. 귀는 머리 밑으로 넓고 길게 만들었다.

조각된 기법은 눈·눈썹·입·귀는 표면에서 들어가는 음각을 하였고, 코만 튀어나온 양각을 하였다. 머리와 얼굴은 세밀하게 다듬었으며, 현무암을 이용하여 넓적하고 통통하게 표현된 몸통 부위는 거친 다듬을 하였고, 목을 비롯하여 하반신의 모습은 나타나 있지 않다.

[현황]

신엄리 방사탑에는 현재 담쟁이가 얽혀 있지만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다만 신엄리 방사탑의 밑에 있는 주춧돌이 간혹 빠지고 있다. 신엄리 방사탑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보존 가치가 있어 보인다.

[의의와 평가]

신엄리 방사탑에 개·고양이 형상을 하고 있는 석상은 마을 중심부의 허약한 곳을 보강하고 재앙을 막는 수호신의 기능을 하고 있었고, 그 외에도 마을의 경계석, 또는 과원을 알리는 표석(表石)의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6.03.23 항목명 변경 신엄리 방사탑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