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2496 |
---|---|
한자 | -漂流記 |
영어음역 | Harmel Pyoryugi |
영어의미역 |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Korea |
이칭/별칭 | 난선제주도난파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상조 |
성격 | 문헌 |
---|---|
저자 | 헨드릭 하멜 |
조선 중기 제주도에 표착한 헨드릭 하멜과 네덜란드인들의 억류 생활을 기록한 책.
하멜은 1668년 로테르담에서, 조선에서 14년 동안 겪은 일과 조선 여러 지역의 풍습과 지리, 풍토 등에 대한 글을 『1653년 타이완으로의 스파르웨르호의 불우한 항해에 관한 일지: 스파르웨르호가 제주도에서 좌초된 이유와 더불어 조선왕조의 영토, 지방, 도시, 요새에 관한 특별한 묘사』라는 긴 제목으로 발간하였다.
1653년 네덜란드 선박 스파르웨르호가 타이완에서 나가사키를 향해 출항했다 실종되었다. 이 배의 승무원이었던 하멜은 일행 38명과 함께 제주도에 표착하였다.
북벌에 대한 강한 집념을 가지고 있던 당시 조선의 왕 효종은 이들을 여수·순천·남원 등지의 병영에 나누어 수감하였다. 1666년 이들 중 하멜 이하 8명이 탈출하여 일본을 거쳐 1667년 7월 본국으로 돌아갔고, 하멜은 조선 체류 경험을 책으로 냈다.
하멜은 표류기를 쓰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거나 일기를 쓴 것이 아니다. 하멜은 일본에 도착하여 일본 관원의 조사를 받고 본국으로 돌아가기 위하여 배편을 기다리던 2개월 동안에 메모 형식으로 표류기를 썼다.
기억에 의한 글임에도 불구하고 13년에 걸친 억류 생활의 일자를 어렴풋이나마 회상할 수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하멜은 이 글을 바타비아 총독에게 바쳤다고 한다.
이 책은 그 뒤 1670년 불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고, 1782년에는 『북해항해기』에 삽입되었으며, 존 처칠(John Churchill)의 『항해전집』 4권에 영역되어 수록되었다.
하멜 일행이 제주도에 표착하여 관원에게 체포된 경위와 조선 여기저기에 끌려다니면서 겪은 일을 적고 있다. 또한 조선의 풍속 및 지리, 풍토, 산물, 군사, 법속, 교육, 무역 등 하멜이 직접 보고 들은 내용을 담고 있다.
『하멜 표류기』는 조선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던 유럽인들에게 조선을 소개한 최초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하멜 표류기』는 효종 시대의 정치, 사회상은 물론 효종의 북벌 의지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