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2379 |
---|---|
한자 | 縮地法 |
영어음역 | Chukjibeop |
영어의미역 | Distance Contraction Method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집필자 | 현승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축지법 잘하는 친구를 흉내 내다 다리가 찢어진 사람 이야기.
「축지법」은 현실에서는 절대 있을 법 하지 않은 이야기이나 읽다 보면 저절로 웃음이 나오는 이야기이다. 우스개이야기로서 과장담의 하나이다.
제주시 노형동에 사는 현응조(남)가 구연한 것을 현용준이 채록하여 1996년 출판한 『제주도 민담』에 실었다.
옛날 축지법을 잘하는 사람이 땅을 주름잡듯 앞으로 당기며 한 시간에 수 천리씩 다녔다. 이것을 알게 된 친구가 축지법을 가르쳐 달라고 통사정을 하였다. 몇날 며칠 계속해서 부탁을 하므로 더는 견디지 못하여, “내 뒤에 서서 내가 밟은 자국만 꼭 밟고 걸어오면 된다.” 하고 말하였다. 친구는 좋아서 “그리 하마.” 하고 뒤에 섰다.
축지법 잘하는 사람이 땅을 앞으로 주름잡듯 당기며 걸어가니, 친구는 꼭 그 발자국을 보며 명심하여 밟아 걸었다. 과연 몇 분 안에 수백 리를 갈 수 있었다. 친구는 처음에는 조심조심 축지법 잘하는 사람의 발자국을 따라 걸었지만, 얼마를 걸으니 수월히 되므로 방심하여 “축지법이 어려운 것인 줄 알았더니 하찮은 것이군.” 하며 한눈팔고 발을 내딛다가 헛디디어 두 다리가 짝 찢어져 죽어 버렸단다.
「축지법」은 과장담에서 흔한 흉내 내기를 모티프로 하여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흉내 내기를 모티프로 한 과장담을 보면 주인공들은 대부분 다른 사람이 평생을 갈고 닦은 능력을 자신의 것인 양 착각하고 우쭐해하다 큰코다치는데, 바로 그런 결말이 웃음을 자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