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732
한자 巫歌
영어음역 Muga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현용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행해지는 무속 의식에서 심방(무당)이 구연하는 사설의 총체.

[개설]

굿은 심방이 매개하여 신령과 인간이 만나고 대화를 하는 의례이다. 그런데 이 대화가 주로 ‘노래’라는 구연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무가(巫歌)라고 불린다.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굿을 관찰해 보면, 심방이 하는 사설에는 노래라고 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순수 가요’의 형식도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순수 대화’의 형식도 있고, 그 대화 형식에 운율을 붙인 ‘운율적 사설’도 있으며, 운율적 사설이 조금 더 노래의 형식을 띠기는 하지만 아직 노래라고 하기에는 미흡한 ‘반가요(半歌謠)’의 형식도 있다.

따라서 제주 지역에서 구연되는 무가는 구연 방식에 따라 ⑴ 순수 대화, ⑵ 운율적 사설, ⑶ 반가요, ⑷ 순수 가요로 나눌 수 있다.

[구연 방식]

⑴ 순수 대화 : 인간과 인간 사이, 신령과 신령 사이의 대화를 말한다. 전자는 심방이 제주(祭主)에게 하는 말로서 굿이 진행되는 중간 중간에 나타나며, 후자는 극 의례인 「세경놀이」·「영감놀이」·「전상놀이」·「산신놀이」 등에서 신령 또는 인간으로 분장한 배역들의 대화 방식이다. 이 구연 방식에는 악기 반주도, 춤도 따르지 않는다.

⑵ 운율적 사설 : 인간, 곧 심방이 신령에게 하는 말과 신령이 인간, 곧 제주에게 하는 방식이다. 심방이 신령을 청해 제상에 앉히는 ‘초감제’에서부터 신령을 돌려 보내는 ‘도진’에 이르기까지 굿의 모든 제차에서 나타나는데, 이 구연 방식 역시 악기 반주나 춤은 따르지 않는다.

⑶ 반가요 : 주로 ‘본풀이’에서 나타나는 방식이다. 이 구연 방식에는 장구 또는 북으로 반주를 넣지만 춤은 추지 않는다. 본풀이는 심방이 기본 제상 앞에 앉아서 장구나 북을 치며 반가요의 형식으로 신의 내력을 구연하는 굿의 한 형태이다.

⑷ 순수 가요 : 신을 즐겁게 놀리는 ‘석살림’ 때의 「서우젯 소리」나 ‘담불’을 부를 때에 취하는 형식이다. 이 때는 장구나 북 반주가 따르며 춤도 춘다. 춤은 심방도 추지만, 제주나 제주의 식구들은 물론이고 구경꾼들까지 어울려서 추기도 한다.

[내용]

제주 지역에서 불리는 무가는 내용에 따라 대체로 ⑴ 일반 무가, ⑵ 서사 무가, ⑶ 희곡 무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육지의 무가는 내용에 따라 ⑴ 교술 무가, ⑵ 서정 무가, ⑶ 서사 무가, ⑷ 희곡 무가로 나누는 것이 정설처럼 되어 있으나, 제주도 무가의 경우 이러한 문학적 장르 분류를 그대로 적용시킬 수가 없다.

왜냐하면 제주 지역 굿에서 행해지는 심방의 구연에는 교술을 하거나 서정을 한다는 의식을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놀이 굿의 경우 굿이 전개되는 양상이 문학적으로 볼 때 희곡에 해당하므로 희곡 무가라는 명칭을 그대로 쓰는 것도 무방하다.

⑴ 일반 무가 : 초감제에서부터 도진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굿이 여기에 해당한다. 중간 중간 순수 대화가 끼기는 하나 대부분 심방의 운율적 사설로 굿이 진행된다. 한 단락이 끝날 때마다 모든 악기가 울리고 심방의 춤이 따른다. 초감제와 각종 맞이굿, 송신 제차인 도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⑵ 서사 무가 : 신의 출생부터 신으로서의 직능을 차지하여 좌정할 때까지의 내력을 구연하는 ‘본풀이’ 제차가 여기에 해당한다. 서사 무가는 심방이 제상 앞에 앉아서 장구를 치며 구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의 행위의 정당성을 보증하기 위해서 본풀이를 할 때에는 일반 무가와 같은 구연 방식을 취한다. 「지장 본풀이」의 경우 소미(小巫)들이 장구와 북을 치며 복창을 하는 구연 방식을 취한다. 이런 구연 방식을 중부 지방에서는 ‘만세받이’라고 하나 제주 지역에서는 특별한 명칭이 없어 그저 ‘받아 준다’고 한다.

⑶ 희곡 무가: 극적으로 진행되는 굿의 대사를 일컫는다. 구연 방식은 거의 순수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세경놀이」·「영감놀이」·「전상놀이」·「산신놀이」 등의 놀이 굿이 여기에 해당한다.

놀이 굿은 거의 대부분 순수 대화 형식으로 진행한다.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악기의 반주나 춤이 없고, 대신 극적 연출 행위가 전개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