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428
한자 金晉鎔
영어음역 Kim Jinyong
이칭/별칭 진숙(晋叔),명도암(明道菴)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인
출신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성별
생년 1605년(선조 38)연표보기
몰년 1663년(현종 4)연표보기
본관 광산(光山)

[정의]

조선 중기 제주 출신의 문인.

[가계]

본관은 광산. 자는 진숙(晋叔), 호는 명도암(明道菴). 아버지는 김경봉(金景鳳)이며, 구좌읍 한동리 태어나 처가인 봉개리의 명도암으로 옮겨 살았다.

[활동사항]

제주에 유배 온 실학자 이익(李瀷)[1579~1624]에게 수학하였다. 1635년(인조 13) 진사시에 합격하여 1643년(인조 21) 숙녕전참봉에 천거되었으나 고향에서 후생을 가르치기로 결심하여 이를 사양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1679년(효종 10년)에 김진용의 건의로 당시 제주목사 이회(李禬)[1607~1666]가 교육을 진흥하기 위하여 고득종(高得宗)[1388~1460]의 옛 집터(현 오현단)에 장수당(藏修堂)을 건립하였다.

장수당은 12칸으로, 35명의 학생이 수학하였으며, 김진용은 장수당에 은거하면서 삼읍(三邑: 제주목·대정현·정의현)의 학생들을 훈학하는 데 힘썼다.

그로 인해 제주의 유학이 왕성해지고, 풍속이나 교화에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후인들은 김진용이 살았던 곳의 이름을 빌어 명도암이라 칭하였다.

[상훈과 추모]

1831년(순조 31) 유림의 건의로 영혜사(永惠祠)에 제향되었다. 또한 1849년(헌종 15) 장인식(張寅植)·고득종의 봉향처인 향현사(鄕賢祠)김진용이 이안(移安)되어 추가로 제향되었으나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이 추향 제도가 없어졌다.

1965년 10월 명도암 선생 탄신 6회갑 기념으로 명도암 김진용 선생 유허비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 명도암오름 산기슭에 세워졌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9.23 유허비 위치 비정 제주시 구좌읍->제주시 봉개동
이용자 의견
김** '明道菴'은 金晉鎔의 호가 아닙니다. [활동사항]에 '후인들은 김진용이 살았던 곳의 이름을 빌어 명도암이라 칭하였다.'라는 말처럼 후인들이 선생을 敬慕(존경하고 사모)하여 칭하였던 이름입니다.
'明道菴先生遺墟碑'는 구좌읍 명도암오름 산기슭에 세워진 것이 아니라, 제주시 봉개동 명도암마을 명도암오름 기슭에 세워져 있습니다. 후손으로서 매우 부끄럽습니다.
  • 답변
  •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 접수 후 <명도암 선생 유허비> 및 지도를 확인하여 유허비 위치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기타 내용의 수정은 근거 자료를 필요로 합니다. 재문의가 있으실 경우 근거 자료를 수합하여 elikusa@aks.ac.kr로 보내주시면 확인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개진에 감사드립니다.
2019.09.2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