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속담. "난 개가 꽝 물어든다"는 활동력이 강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개의 생태에 빗대어 표현한 속담이다. 원래 개는 집 밖으로 나가 돌아다니기를 좋아하는 동물이다. 그래야 들짐승을 잡아먹는 사냥의 본능을 발휘할 수 있다. 집에만 있으면 주인이 주는 먹이로는 양이 차지 않는다. 나가서 돌아다니면 하다못해 버려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나무의 잔가지나 돼지고기 등을 찍어서 자를 때 쓰는 도구. 나대는 주로 땔감으로 사용할 잔가지나 나무숲에서 임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옆으로 뻗은 나뭇가지를 자를 때 사용한다. 또 포제(酺祭)나 추렴을 위해 돼지를 잡을 경우, 고기를 부분별로 나눌 때도 사용하고 있다. 나대는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생활용구로서 제주 지역 사람들은 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에서 자생하는 꼬리고사리과의 식물. 잎자루의 길이는 10~20㎝이고 밑 부분에 뿌리줄기와 더불어 연한갈색의 가는 비늘 조각이 빽빽이 있다. 엽신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 부분은 좌우로 귀밑처럼 벌어지는데, 길이는 15~40㎝, 폭은 3.5~6㎝이다. 뿌리의 줄기는 짧고 굵으며 비스듬히 서고 잎은 뭉쳐난다. 중륵과 뒷면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나무를 파서 만든 비신. 목제(木製)의 신은 목극(木屐)으로서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격지’라 했는데, 근래에는 ‘나무신’이 와전되어 나막신으로 통칭되고 있다. 제주 지역의 나막신과 다른 지방 나막신의 차이점은 발굽의 선과 각도에 있다. 제주 지역의 나막신은 서 있을 때 발굽의 모양이 엎어놓은 디귿자 형이고, 다른 지방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통나무를 베어 내서 운반할 때 부르던 민요. 제주 지역에서는 얼마 전까지도 산에서 톱이나 도끼로 아름드리 통나무를 베어 낸 후에는 마을 장정들이 모두 나서서 통나무에 밧줄을 걸고 마을까지 운반하였다. 「나무 내리는 소리」는 이때 부르는 자유 리듬의 이른바 홍애기류(類)의 민요이다. 선소리는 박자가 없는 선율로 유창하게 전개되며, 후렴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톱으로 나무를 자를 때 불렀던 노동요. 「톱질 소리」는 홍애기류의 노동요로 옛 북제주군에서 발달했던 민요이다. 「나무 베는 소리」 또는 「낭 싸는 소리」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가창자로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에 거주하는 강치흠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에 거주하는 김중화가 있다. 「톱질 소리」는 조영...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톱으로 나무를 자를 때 불렀던 노동요. 「톱질 소리」는 홍애기류의 노동요로 옛 북제주군에서 발달했던 민요이다. 「나무 베는 소리」 또는 「낭 싸는 소리」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가창자로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에 거주하는 강치흠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에 거주하는 김중화가 있다. 「톱질 소리」는 조영...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나무를 파서 만든 비신. 목제(木製)의 신은 목극(木屐)으로서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격지’라 했는데, 근래에는 ‘나무신’이 와전되어 나막신으로 통칭되고 있다. 제주 지역의 나막신과 다른 지방 나막신의 차이점은 발굽의 선과 각도에 있다. 제주 지역의 나막신은 서 있을 때 발굽의 모양이 엎어놓은 디귿자 형이고, 다른 지방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에 있는 나비를 주제로 한 상설 전시관. 예전에는 흔했으나 현재는 환경오염으로 보기 어려운 나비와 곤충들을 전시하여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자연의 소중함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환경 보존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나비전시관은 하남세계꽃박람회, 63빌딩, 현대백화점, 고양세계꽃박람회 등에 전시했던 세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에 있는 나비를 주제로 한 상설 전시관. 예전에는 흔했으나 현재는 환경오염으로 보기 어려운 나비와 곤충들을 전시하여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자연의 소중함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환경 보존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나비전시관은 하남세계꽃박람회, 63빌딩, 현대백화점, 고양세계꽃박람회 등에 전시했던 세계...
-
1968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1동에 설립되었다가 1996년 3월 15일에 폐업한 병원. 문종후는 일본 의과대학 시절 제2의 슈바이처가 되고자 하는 소망을 갖고 있었다. 자신이 거둬들인 것과 가진 것은 하나님이 값없이 주신 재물이라는 신념으로 이웃을 돕기로 하고 나사로병원을 설립하였다. 제주YMCA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던 주정(酒精) 공장 소유 건물을 인...
-
김운발을 시조로 하고 김인충을 입도조로 하는 제주의 세거 성씨. 나주김씨는 신라 경순왕의 왕자 김황(金湟)의 두 아들 중 장자인 김운발(金雲發)이 나주군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나주를 본으로 삼았다. 제주입도조 김인충(金仁忠)은 시조 김운발(金雲發)의 14세손으로 고려 말에 무신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강화진 좌령랑장(左領郎將)을 역임하였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가축의 개체를 식별하기 위해 가축의 일정 부위에 인위적으로 표시하는 것. 육지에서는 소의 목에 방울을, 그리고 제주도에서는 소의 엉덩이에 낙인을 새겼다. 우마의 목에 달린 ‘소리로의 전달’ 도구인 방울은, 소리를 내어 주인에게 우마의 위치를 알리는 것에 지니지 않았다. 그러나 제주도 우마들의 엉덩이에 새긴 낙인은, 산과 들을 오르고 내리는 모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에 있는 행정리. 옛 이름은 섯세미다. 서쪽에 있는 샘이라는 뜻으로, 좋은 샘의 한자 표기가 낙천이다. 1660년경 전라남도에서 입도한 송(宋)씨 일가가 주물 공예에 필요한 양질의 토지를 찾아 안착하며 거주가 시작되었다. 원래 섯세미을이라 불렀는데 18세기 중반까지 독립된 행정 마을이었다가 이후 조수에 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1894년에 분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낙천리에 있는 옛 사찰의 터. 한경면 수룡동 마을 동쪽에는 조선 시대 유인 연주 현씨 열행비가 있다. 이 마을에서는 ‘산전밭물’이라는 용천수를 식수로 사용하였다. 산전밭이라 불리는 곳 앞에는 ‘고운물’과 ‘구진물’이 있었는데, ‘구진물’은 매립하여 버렸고, ‘고운물’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한경면 수룡동 마을에서 산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잡는 데 쓰는 작은 쇠갈고리가 달린 도구, 넓은 뜻으로는 물고기를 잡는 낚시질의 통칭. 제주도의 어로기술은 낚시와 그물로 대별된다. 어로 기술은 어로 문화 집단인 어촌마을마다 그들이 처한 환경에 순응해가며 이어지는 것이다. 어구는 크게 낚시구, 그물구, 해초 채취구, 어패류 채취구 그리고 소살로 대별될 수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속담. "난 개가 꽝 물어든다"는 활동력이 강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개의 생태에 빗대어 표현한 속담이다. 원래 개는 집 밖으로 나가 돌아다니기를 좋아하는 동물이다. 그래야 들짐승을 잡아먹는 사냥의 본능을 발휘할 수 있다. 집에만 있으면 주인이 주는 먹이로는 양이 차지 않는다. 나가서 돌아다니면 하다못해 버려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의 전통 가옥에서 툇마루에 해당하는 공간. 내부 공간에 해당되는 상방(마루)과 외부 공간인 마당 사이에 놓이는 중간적인 성격의 매개 공간 혹은 완충 공간의 기능을 갖고 있다. 제주도에서의 난간은 마당에서 상방으로 들어가는 전이 공간으로 한국 본토의 툇마루와 유사하다. 외부 공간과는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과는 연속되어 있다. 바닥에는...
-
조선 중기 제주도에 표착한 헨드릭 하멜과 네덜란드인들의 억류 생활을 기록한 책. 하멜은 1668년 로테르담에서, 조선에서 14년 동안 겪은 일과 조선 여러 지역의 풍습과 지리, 풍토 등에 대한 글을 『1653년 타이완으로의 스파르웨르호의 불우한 항해에 관한 일지: 스파르웨르호가 제주도에서 좌초된 이유와 더불어 조선왕조의 영토, 지방, 도시, 요새에 관한 특별한 묘사』라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날개 달린 아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육지의 ‘아기장수 설화’와 달리, 제주 지역에서 전해 오는 ‘아기장수 설화’ 속의 날개 달린 아기들은 날개를 떼어내도 죽지 않고 힘센 장사로 살아간다. 그러나 「날개 돋친 밀양박씨」에서는 육지의 보편적인 ‘아기장수 설화’의 아기장수처럼 결국 죽음을 맞는다. 「날개 돋친 밀양박씨」 이야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에 있는 남강 이승훈이 유배 생활을 했던 주택. ‘남강 이승훈(李昇薰) 적거주택’은 이승훈이 1911년 5월부터 10월까지 유배 생활을 했던 적거주택이다. 이승훈은 오산학교 설립, 민립대학 설립, 물산 장려 운동, 『동아일보』 사장, 신민회 활동 등을 벌였으며,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 중 한 사람이었다....
-
조선 말기 제주판관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김해. 자는 경헌(景憲), 호는 남강(南岡). 김응빈(金膺彬)이라고도 한다. 형은 해미현감을 지낸 김응전(金膺銓)이다. 1891년(고종 28)에 무과에 급제한 후 같은 해 8월 윤자선(尹慈善)의 후임으로 제주판관으로 부임했다가 모친상을 만나 12월에 제주를 떠났고 후임으로 이규원(李奎遠)이 부임하였다. 김응빈은 관직에서 물러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튼튼한 몸으로 바르게 생각하며 자기의 희망과 행복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열심히 배우자, 참되게 행하자, 튼튼히 자라자’이다. 도심지의 과대 규모화, 2부제 수업, 이도 아파트 단지 조성, 이도2동 택지 개발 등에 따른 유입 인구 증가와 모체 학교인 광양 국민학교까지의 원거리 통학에 따른 불편...
-
1968년 진성기(秦聖麒)가 제주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무가(巫歌)를 채록하여 정리한 자료집. 진성기는 본풀이가 제주도민 정신사의 뿌리이며 제주도의 고대 문화, 사상, 그리고 역사 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자료임을 인식함에 따라 1956년 3월부터 1963년 7월 사이 제주 전역을 돌며 채록한 본풀이를 후대에 전하기 위해 1990년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인간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실력인을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박문 독행[博文篤行: 학문을 널리 닦고 성실히 실천하라]’이다. 1985년 2월 21일 학교 법인 남녕 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13일 초대 이사장에 설립자인 백이남이 취임하였다. 이어 7월 19일 남녕 고등학교 교사동 기공식을 가졌으며 12월 30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용천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지만 옛날 이 용천수로 인해 남당이라는 당집이 세워졌고 주민들이 당집을 찾아 가족의 건강과 집안 번성을 위한 치성을 드리던 장소였다고 한다. 남당물은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남당물은 인위적인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여름철 무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용천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지만 옛날 이 용천수로 인해 남당이라는 당집이 세워졌고 주민들이 당집을 찾아 가족의 건강과 집안 번성을 위한 치성을 드리던 장소였다고 한다. 남당물은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남당물은 인위적인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여름철 무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조선 시대 애월진 소속의 연대. 남두연대는 동쪽으로 수산봉수(직선 거리 2.5㎞), 서쪽으로 고내봉수(직선 거리 2.7㎞)와 교신하였으며, 별장 6명, 봉군 12명을 배치하였다. 해안 도로가 시작되는 구엄리에서 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2㎞ 정도를 가면 ‘남뜨르’라 불리는 동산 위에 남두연대가 있다. 이 연대는 1977년...
-
해방 직후 제주도에서 결성된 정치 단체. 공산주의 이념을 제주에 전파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서울에서는 1946년 11월 23일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등 좌익 3당이 합당 형식으로 남조선 노동당[남로당]을 결성하였는데, 제주 지역은 1945년 12월 9일 결성된 조선공산당 제주도 위원회가 서울의 좌익 정당 통폐합 흐름에 따라 남조선 노동당 제주도 위원회로...
-
1577(선조 10)~1578년(선조 11) 임제(林悌)가 제주를 여행하며 저술한 사찬 문서. 임제는 1577년(선조 10) 과거 시험에 합격하고 동년 11월 제주목사로 와 있던 부친 임진(林晋)을 찾아 왔다가 다음해 3월에 돌아갔다. 『남명소승(南溟小乘)』은 임제가 고향을 출발하여 제주에 머물다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는 약 4개월 동안의 여정을 기록한 일기체 한문 기행...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에서 자생하는 녹나무과의 나무. 높이는 20m로 잎은 호생하는데 가지 끝에 밀생한 것처럼 보이며, 약간 두껍다.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는 7~15㎝, 폭은 3~7㎝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 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색의 녹색이다. 그리고 잎자루는 길이 2~3㎝ 정도로 굵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양성화이고 잎겨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신종교 단체. 한국SGI는 법화경의 정수(精髓)인 니치렌(日蓮)[1222~1282] 대성인의 불법(佛法)을 올바르게 계승해 불법의 근본이념인 생명 존엄 사상을 실천하는 종교단체이다. 창가학회는 1930년 마키구치 쓰네사부로[牧口常三郞][1871~1944]에 의해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신종교이며, SGI는 일본에서 시작된 창가학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 제주읍성의 남문 터. 남문지는 제주읍성의 남문이 있던 자리로, 제주시 이도2동의 속칭 남문통에 있다. 제주읍성은 제주목사가 근무하던 제주목 관아와 그 주변을 둘러서 쌓은 성을 말한다. 동쪽·남쪽·서쪽에 문이 나 있고, 남쪽과 북쪽으로 수문이 있었다. 제주읍성은 탐라국 때부터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관덕정 앞 교통대에서 남문 로터리 사이에 있는 도로. 남문로에 위치하고 있는 오래된 건물은 천주교 제주 중앙 교회와 지방공사 제주 대학교 병원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현재 제주 대학교 병원 앞 은행나무가 심어져 있는 곳엔 관청못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때문에 제주 대학교 병원 앞길을 옛날엔 관청골이라고 불렀다. 197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 2동과 삼도 2동 남문로와 중앙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도로. 남문로가 조선시대 제주읍성의 남문이 있었던 곳이라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므로, 남문로타리도 그 유래를 같이한다. 남문 로터리의 이름인 남문지(南門址)는 제주시 이도 2동, 속칭 남문통에 있었던 남문터로, 여기에는 남문의 초루가 있었다. 이른바 고루라는 것인데, 문 위에 높은 다락을 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 제주읍성의 남문 터. 남문지는 제주읍성의 남문이 있던 자리로, 제주시 이도2동의 속칭 남문통에 있다. 제주읍성은 제주목사가 근무하던 제주목 관아와 그 주변을 둘러서 쌓은 성을 말한다. 동쪽·남쪽·서쪽에 문이 나 있고, 남쪽과 북쪽으로 수문이 있었다. 제주읍성은 탐라국 때부터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식구들의 밥이나 고구마 등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하던 나무 그릇. 나무로 만든 바가지라는 의미로 ‘낭박세기’, ‘낭박’, ‘남박새기’라고도 부르는 남박은 보통 식사 때 식구들이 모두 먹을 밥을 담는 그릇으로, 일인용 밥그릇보다 큰 밥사발을 말한다. 귀가 붙은 귀남박은 간식인 범벅이나 찐 고구마를 담는 용기로 ‘남박새기’라고도 한다. 남박은 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식구들의 밥이나 고구마 등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하던 나무 그릇. 나무로 만든 바가지라는 의미로 ‘낭박세기’, ‘낭박’, ‘남박새기’라고도 부르는 남박은 보통 식사 때 식구들이 모두 먹을 밥을 담는 그릇으로, 일인용 밥그릇보다 큰 밥사발을 말한다. 귀가 붙은 귀남박은 간식인 범벅이나 찐 고구마를 담는 용기로 ‘남박새기’라고도 한다. 남박은 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고구마를 가루로 내어 시루에 넣고 찐 떡. ‘감제’는 고구마, ‘침떡’은 ‘시루에 찐 떡’이라는 뜻을 가진 제주도 방언이다. 감제떡은 고구마 가루를 익반죽하여 돌래떡이나 개떡 모양으로 만들어 찐 것이다. 고구마는 원래 기근이 심했던 제주도에 구황작물로 적극 도입되었기 때문에, 이를 장기간 저장 보관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말려서 가루를 내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우리나라는 1957년 원병휘에 의해 제주도의 김녕사굴에서 채집하여 처음 기록했으나 개체수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날개 길이 60~65㎜이며, 수컷은 앞날개 윗면이 청색을 띠나 암컷은 어두운 청색·갈색·황갈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을 띠며, 날개 기부 쪽으로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확 트인 풀밭이나 골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나비목 부전나비과의 곤충. 우리나라는 1897년 영국의 곤충학자인 리치에 의해 북한 함경남도 원산의 것을 가지고 처음 기록되었다. 그러나 이는 남방 계통의 나비로 북한 원산에서 채집한 것은 부산에서 채집지를 잘못 기록한 것이다. 그 뒤 1998년 정세호와 김원택에 의해 100년 만에 제주도 선흘곶자왈에서 다시 발견되었고, 이 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을 도정하거나 분쇄할 때 썼던 농기구. 남방애는 제주 여러 지역에서 불렸던 명칭으로, 지역에 따라 ‘남방아’ 또는 ‘남방에’로도 불렸다. 남방애는 커다란 통나무를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남방애와 구분하기 위하여 돌로 만든 것을 ‘돌방애’라고 불렀다. 껍질이 많은 조를 주곡(主穀)으로 재배했던 제주 지역에서 가장 필요했던 도구가 곡물의 껍질을 벗...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을 도정하거나 분쇄할 때 썼던 농기구. 남방애는 제주 여러 지역에서 불렸던 명칭으로, 지역에 따라 ‘남방아’ 또는 ‘남방에’로도 불렸다. 남방애는 커다란 통나무를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남방애와 구분하기 위하여 돌로 만든 것을 ‘돌방애’라고 불렀다. 껍질이 많은 조를 주곡(主穀)으로 재배했던 제주 지역에서 가장 필요했던 도구가 곡물의 껍질을 벗...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남방애’로 방아질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 「방아질 소리」는 여성들이 ‘남방애’로 방아질을 하면서 부르던 제분 노동요이다. 한 사람이 방아질을 하면서 부르면 ‘콜방아질 소리’, 두 명이 부르면 ‘두콜방아질 소리, 세 명이 부르면 ‘세콜방아질 소리’ 등으로 불렀는데, ‘다섯콜방아질 소리’까지 있었다고 한다. 남방애가 일종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남방애’로 방아질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 「방아질 소리」는 여성들이 ‘남방애’로 방아질을 하면서 부르던 제분 노동요이다. 한 사람이 방아질을 하면서 부르면 ‘콜방아질 소리’, 두 명이 부르면 ‘두콜방아질 소리, 세 명이 부르면 ‘세콜방아질 소리’ 등으로 불렀는데, ‘다섯콜방아질 소리’까지 있었다고 한다. 남방애가 일종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을 도정하거나 분쇄할 때 썼던 농기구. 남방애는 제주 여러 지역에서 불렸던 명칭으로, 지역에 따라 ‘남방아’ 또는 ‘남방에’로도 불렸다. 남방애는 커다란 통나무를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남방애와 구분하기 위하여 돌로 만든 것을 ‘돌방애’라고 불렀다. 껍질이 많은 조를 주곡(主穀)으로 재배했던 제주 지역에서 가장 필요했던 도구가 곡물의 껍질을 벗...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왕잠자리과의 곤충. 1921년에 락크록익스(Lacroix)에 의해 제주도 것을 가지고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했다. 몸길이는 51~65㎜이며, 겹눈은 매우 크며, 가슴은 옅은 녹색으로 거의 무늬가 없다. 수컷의 배 길이는 약 57~65㎜이며, 암컷은 약 55~60㎜이다. 수컷의 뒷날개 길이는 51~56㎜이며, 암컷은 50~57㎜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우리나라는 1957년 원병휘에 의해 제주도의 김녕사굴에서 채집하여 처음 기록했으나 개체수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날개 길이 60~65㎜이며, 수컷은 앞날개 윗면이 청색을 띠나 암컷은 어두운 청색·갈색·황갈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을 띠며, 날개 기부 쪽으로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확 트인 풀밭이나 골프...
-
조선 중기 제주판관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정(士精), 호는 남봉(南峰) 또는 심곡(深谷). 아버지는 부사 김시회(金時晦)이며, 영의정에 추층된 김시민(金時敏)[1554~1592]에게 입양되었다. 1597년(선조 30) 알성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세자시강원설서를 거쳐 1608년(선조 41) 젊은 문신들에게 휴가를 주어 학문에 전념하게 한 사가독서(賜暇讀書)...
-
1669년경에 간행된 조선 중기의 문신 김상헌의 제주 기행문. 『남사록(南槎錄)』은 일종의 일기체 형태로 서술된 책으로,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1601년(선조 34)에 안무어사로 제주에 파견되어 기록한 일종의 기행문이다. 『남사록』은 규장각 도서번호 147270번 2권 1책과 147271번 2권 1책이 같이 합철되어 있다. 즉 앞의 2권 1책은...
-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증이 제주안핵경순무어사로서 활동할 때의 일을 일기체로 수록한 책. 이증(李增)[1628~1686]은 1678년(숙종 4) 증광시 병과에 입격한 이듬해인 조선 숙종 5년 제주안핵경순무어사로 파견되었다. 『남사일록(南槎日錄)』은 1679년 9월 한양을 떠나 제주에 도착한 경위와 그 뒤의 행적, 귀경 과정을 일기체로 수록한 기록문이다. 당시 우의정이자 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동에 있는 마을 수호신을 모시는 신당. 제주 지역의 신당은 흔히 본향당, 일뤠당, 여드레당, 해신당으로 나누는데, 그 중 본향당은 마을 공동체의 신을 모시는 성소로 마을굿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본향당 당신은 마을 공동체의 신인만큼 마을 사람 전체의 생명과 건강, 사업 번창 등 모든 부분을 관장한다. 본래는 모든 자연마을마다 마을이 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우리나라는 1957년 원병휘에 의해 제주도의 김녕사굴에서 채집하여 처음 기록했으나 개체수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날개 길이 60~65㎜이며, 수컷은 앞날개 윗면이 청색을 띠나 암컷은 어두운 청색·갈색·황갈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을 띠며, 날개 기부 쪽으로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확 트인 풀밭이나 골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었던 조선 후기에 세워진 교육 기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재생과 늠료를 두었다. 서당은 종래의 여러 교육 기관과 성격이 다르지만 교육 기관이라는 이유로 특권적인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특권적인 보호는 특히 군역 면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남서학당은 제주목 상가에 있었는데, 지금의 제주특별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2동에 있는 지명. 산치천의 위에 만든 다리로 1599년(선조 32) 목사 성윤문이 북수구와 함께 이곳에 수구를 만들고 하상에는 홍예다리를 놓아 그 위에 초루를 세웠다. 남수각은 1652년(효종 3) 8월 태풍에 홍수로 무너져 버렸고 1720년 목사 이원진이 복구공사에 착수하여 이듬해 봄에 준공을 보았다. 홍수 때마다 파괴 유실 축조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음식물이 솥에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저을 때 쓰는 부엌 용구. 배수기는 죽을 쑬 때 사용하는 막대기인 ‘죽젓개’의 제주방언이다. 지역에 따라서 ‘죽젓광이’, ‘남죽’, ‘남술’, ‘베술기’, ‘베술지’, ‘저수게’라고도 불리는 배수기는 너무 두껍지 않은 장방형의 긴 막대를 이용하였다. 특히 콩죽을 쑬 때는 배수기로 오래도록 잘 저어 주어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나무를 파서 만든 비신. 목제(木製)의 신은 목극(木屐)으로서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격지’라 했는데, 근래에는 ‘나무신’이 와전되어 나막신으로 통칭되고 있다. 제주 지역의 나막신과 다른 지방 나막신의 차이점은 발굽의 선과 각도에 있다. 제주 지역의 나막신은 서 있을 때 발굽의 모양이 엎어놓은 디귿자 형이고, 다른 지방의...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윤강을 입도조로 하는 제주의 세거 성씨. 남양홍씨는 세칭 당홍(唐洪) 집과 토홍(土洪) 집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당홍은 고려 초기에 당나라의 문화 사절로 입국했다가 귀화하여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가 된 홍은열(洪殷悅)을 시조로 하고 있으며, 토홍은 그보다 훨씬 뒤인 고려 고종 때 금오위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낸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
조선 후기 박지원이 왕명을 받아서 쓴 제주 사람 이방익의 중국 표류기. 「남유록(南遊錄)」은 제주 사람 이방익(李邦翼)[1756~?]의 중국 표류기이다. 다만 그의 글 솜씨가 부족함을 알고 정조가 박지원에게 대신 쓰게 한 것으로, 간략하나마 중국의 여러 지역 풍속이 기록되어 있다. 1796년(정조 20), 이방익은 당시 만경현령으로 재직하던 아버지 이광빈을 만나기 위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과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 사이에 있는 도로. 남조로는 산남의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와 산북의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간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도로로 해발 200m에서 400m를 통과하며, 동부산업도로에 연결되어 있다. 남조로는 지방도 1118호선으로 총 32.1㎞로, 그 중 과거 북제주군 지역 구간은 16,500m이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에 있는 봉우리. ‘남’은 나무, ‘짓다’는 무성하다는 뜻의 제주말로 나무가 빽빽이 우거진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 이 오름에 딱따구리가 살아 나무를 마구 쪼아 댄다하여 남+좆다+오름이 되었다. 신제주 로터리에서 남쪽 가까이에 보이는 숲에 덮인 오름으로 동쪽에 마주선 것은 민오름이고, 그 사이에 정실 쪽으로 뻗은 길이 비탈지어 나...
-
해방 직후 제주도에서 결성된 정치 단체. 공산주의 이념을 제주에 전파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서울에서는 1946년 11월 23일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등 좌익 3당이 합당 형식으로 남조선 노동당[남로당]을 결성하였는데, 제주 지역은 1945년 12월 9일 결성된 조선공산당 제주도 위원회가 서울의 좌익 정당 통폐합 흐름에 따라 남조선 노동당 제주도 위원회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에 있는 봉우리. ‘남’은 나무, ‘짓다’는 무성하다는 뜻의 제주말로 나무가 빽빽이 우거진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 이 오름에 딱따구리가 살아 나무를 마구 쪼아 댄다하여 남+좆다+오름이 되었다. 신제주 로터리에서 남쪽 가까이에 보이는 숲에 덮인 오름으로 동쪽에 마주선 것은 민오름이고, 그 사이에 정실 쪽으로 뻗은 길이 비탈지어 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었던 일제 강점기 때 검은색의 오지 그릇을 만들었던 가마터. 광령리 노랑굴터에서 남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으로, 마을 어귀에 있는 민정석유 건물 남쪽 면에 인접한 소로로 5m 정도 올라간 곳에 위치해 있었다. 광령리 검은굴은 지름 4~5m 정도의 둥근 가마였다. 요지는 남쪽은 높고 북쪽은 낮은데, 도요를 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 오지그릇을 구웠던 가마터. 오지그릇은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오짓물을 입혀 다시 구운 질그릇으로 검붉은 윤이 나며 단단하다. 노랑굴은 제주 지역 가마의 한 종류로 그릇 표면이 노란 갈색을 띠는 오지그릇이나 반오지그릇을 구웠던 가마를 가리킨다. 당시 남죽동 노랑굴에서 제작된 그릇들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에 있는 용암 동굴. 당처물 동굴은 1995년 7월 10일 농경지 정리 작업 중 중장비에 의해 동굴 측벽이 무너지면서 입구가 형성되어 입굴이 가능하게 된 동굴이다. 동년 7월 11일 최초로 동굴 조사에 나선 손인석은 동굴 내부에 대한 개요적인 조사를 통해 당처물 동굴에 대한 학술적, 문화재적, 경관적 가치가 매우 높다는 발표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에 있는 봉우리. ‘남’은 나무, ‘짓다’는 무성하다는 뜻의 제주말로 나무가 빽빽이 우거진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 이 오름에 딱따구리가 살아 나무를 마구 쪼아 댄다하여 남+좆다+오름이 되었다. 신제주 로터리에서 남쪽 가까이에 보이는 숲에 덮인 오름으로 동쪽에 마주선 것은 민오름이고, 그 사이에 정실 쪽으로 뻗은 길이 비탈지어 나...
-
1679년 김성구가 정의현감 재임시에 저술한 일기체 형식의 문헌. 김성구(金聲久)[1641~1707]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성이며 호는 팔오헌(八吾軒) 혹은 해촌(海村)이다.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무안현감·직강·정언 등을 거쳤으며 1679년(숙종 5) 정의현감으로 부임하였다. 정권에서 멀어져 있던 김성구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주로 조밭을 밟을 때 썼던 농기구. 남테는 주로 여름 농사인 조 농사를 지을 때, 조의 씨를 뿌린 후 씨앗이 잘 묻히도록 흙을 단단하게 밟는 데 썼던 농기구였다. 남테는 바람이 많고 화산 회토로 이루어진 화산섬 제주에서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였던 고유한 농기구로, 이 땅의 선인들이 만들어 낸 문화적 산물인 셈이다. 말들이 무리지어 ‘밭 밟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주로 조밭을 밟을 때 썼던 농기구. 남테는 주로 여름 농사인 조 농사를 지을 때, 조의 씨를 뿌린 후 씨앗이 잘 묻히도록 흙을 단단하게 밟는 데 썼던 농기구였다. 남테는 바람이 많고 화산 회토로 이루어진 화산섬 제주에서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였던 고유한 농기구로, 이 땅의 선인들이 만들어 낸 문화적 산물인 셈이다. 말들이 무리지어 ‘밭 밟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