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473 |
---|---|
한자 | 儒敎遺物遺蹟 |
영어음역 | Yugyo Yumul Yujeok |
영어의미역 | Confucianist Relics and Sites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집필자 | 강민식 |
[정의]
충청북도 청주지역에 산재한 유교 관련 유적과 유물.
[개설]
성리학이 수용된 고려 말 이후 현재까지의 유교 관련 유적과 유물을 통해 호서 사림의 역사적 배경과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과 인적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적 관련사항]
조선시대 지배층인 양반의 제례(祭禮)와 강학(講學)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은 단순한 문화유산에 그치는 것이 아닌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지역에 분포하는 유교 유적·유물은 당시 지배층들의 존재 양태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형태]
유교 관련 유적은 크게 향교(鄕校), 서원(書院), 사묘(祠廟), 정려(旌閭) 등이며, 유물은 유적이나 개별 문중에 소장된 문집, 족보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사항]
당시 지배층인 양반은 유교 유적을 기반으로 하여 활발한 정치적 활동은 물론, 교육·자치활동을 꾀하였다. 즉 이들 유적은 양반관료제 사회인 조선의 관료 후보군의 교육 장소로서 역할과 함께 가문과 정파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 터전이기도 하였다.
[현황]
유교 유적은 크게 향교, 서원, 사묘, 정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청주향교는 ‘삼남제일(三南第一)’이라 칭할 정도로 역사적 연원과 함께 세종(世宗)이 서적을 하사하거나 세조(世祖)가 친히 제향을 지내는 등 일찍부터 공적 교육과 제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주목받아 왔다.
향교가 국가 주도로 건립되고 운영되었다면, 지방세력에 의한 자발적인 건립과 운영이 이루어진 서원은 지역의 정치적 성향을 대표한다. 상당구 용정동에 있는 신항서원(莘巷書院)이 대표적인데, 1570년 창건되어 경연(慶延), 박훈(朴薰)[1484~1540], 김정, 송인수(宋麟壽)[1487~1547]를 제향하다가 1642년 개건과 함께 한충을 추향하고, 1650년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1551~1592], 이득윤(李得胤)[1553~1630], 1656년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 이색(李穡)[1328~1396]을 추향하여 모두 9분을 모시고 있다.
상당구 주성동에 있는 주성강당(酒城講堂)은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목은(牧隱) 이색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1710년 창건된 목은영당(牧隱影堂) 내에 있어 건립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강학 기능이 배제된 순수 제향을 위한 사묘는 명현의 제례를 위해 건립된 것이다. 흥덕구 수의동에 있는 동래부사송상현충렬사(東萊府使宋象賢忠烈祠)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로 재직 중 순직한 송상현을 모신 사당으로 1610년에 창건하였다. 새로이 전시관과 사당을 신축하였다.
상당구 수동에 있는 표충사(表忠祠)는 1728년 무신란(戊申亂) 당시 순절한 이봉상(李鳳祥)[1676~1728], 남연년(南延年), 홍림(洪霖)[1685~1728]을 제향하기 위해 1731년 건립되었다.
이 밖에 동학농민운동 당시 산화한 관군을 기리기 위해 1914년 건립된 모충사(慕忠祠), 1874년 청주곽씨(淸州郭氏) 연담공 곽예(郭預)[1232~1286]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한 청원사(淸原祠), 1930년경 건립된 순천박씨(順天朴氏) 단묘(壇廟)인 원모단(遠慕壇) 등이 있다.
정려는 유교의 절대적 가치인 충·효·열을 표창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동래부사송상현충렬사 앞에 있는 송상현 충신각은 1595년에 명정되어 1704년에 세웠다. 임진왜란에 참전하고 병자호란에 순절한 박동명(朴東命)[1576~1636]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709년 세운 박동명 충신각이 있다. 기타 정려는 다음 표와 같다.
이밖에 대표적인 유물로는 판목류가 전한다. 「광국지경록판목(光國志慶錄板木)」은 1744년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축하하는 경하시를 모아 판각한 것으로 1701년 ‘『광국지경록』’이란 이름으로 간행된 것이다. 보은의 기계유씨(杞溪兪氏) 재실인 ‘영모재’에서 보관하던 것으로 현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당시 판목 중 유일본이다.
「눌재강수유고판목(訥齋江叟遺稿板木)」은 1666년 밀양박씨(密陽朴氏) 문중에서 박증영(朴增榮)과 박훈의 시문집을 만들기 위해 판각한 것으로 청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유교 유물·유적은 유교 국가인 조선의 통치이념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뿐만 아니라 국가 지배에 대해 지방세력이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