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301765 |
---|---|
한자 | 順天府靈鷲山興國寺禪堂修葺上樑記 |
영어의미역 | Writing about Putting up the Ridge Beam of Seondang Sujip of Heungguksa Temple in Yeongchwisan Mountain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17[흥국사길 160]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진옥 |
성격 | 불교유물|기문 |
---|---|
관련인물 | 용운 |
용도 | 상량기 |
발급일시 | 1780년 |
발급처 | 흥국사 |
소장처 | 의승수군유물전시관 |
소장처 주소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17[흥국사길 160] |
[정의]
1780년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 선당을 개축할 때 작성한 상량기.
[개설]
선당 개축에 즈음하여 흥국사의 창건 및 임진왜란 이후의 중건, 그리고 이에 참여한 시주와 장인들의 면면이 잘 드러나 있다.
[제작발급경위]
지금의 심검당의 본래 이름이 선당으로, 1812년 중건 과정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1560년 법수대사에 의해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최초로 건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임진왜란 중 흥국사에서 유일하게 반파 상태로 남아 있다가 1633년 계특이 주지일 때 자운에 의해 보수되었다.
당시 명칭도 선당으로 불리었다. 1780년 팔도도총섭(八道都總攝) 응운에 의해 다시 보수되었다. 이후 1812년 효암에 의해 확장 증축되면서 이름이 심검당으로 바뀌었다. 이 상량문이 발견된 것도 그 당시일 것으로 여겨진다.
[구성/내용]
순천부 영취산 흥국사 선당 수집상량기에 기록된 원문은 다음과 같다.
聞夫我佛以大圓覺爲伽藍罽賓國王持一枝升 於佛前曰建立精舍了也佛云如是如是以是精舍 含容法界以是供養福越河沙執玆觀之尙安甲 翌桓橫梁然後始爲伽藍也哉蓋自達摩而來苟慕 佛學者星居野處衣不禦寒食不充腸及至正法漸 漓人法替怠百丈禪師乃營其棟宇以安老廣邇來 禪刹競構宏壯□熾百丈之風猶如是乎今玆寺之 肇創維宋寧宗卽位之元年改年號慶元之世國 師普照開享補國之刹始自中華直抵金烏島邇 精舍命名松廣金烏乃海島鍊道學佛者自難往 來中止靈鷲息於國師曰此山白頭筋脈可尋 而北通方丈之岤南控瀛之萃大洋臨西彷 佛金河鹿苑方之形頭國師捨彼取此未知可乎化 度無方之餘恩又如是則雅協國師之高懷衫建法 幢普濟衆迷其□蔚旭香難指陳而振未知其幾閱 重緝以迄于今而中逮嘉靖三十九年學俊信岑守 仁良希靈佑等深體國師之源化佛宇僧寮一皆重 新殆甲靑丘給孤獨苑依然復見矣萬曆二十一年 壬辰之春賊倭之連及丁酉流血成淵腥塵暴地 列邑諸道俱受則寺安得成專而僧安得受其 衣鉢而晏然自得乎反覆勝敗不永自然之理而天 惡其暴借手於人人乃三道統制使李公也黑以水 戰意得勝捷而後慈雲圓正大師枚稟統相以爲重 營玆寺之策李公命遣出助軍官朴春陽使之監成 造事越至天啓四年甲子秋戒特禪師建古法堂法 淸修莊之敬久之燔瓦彦浩修新法堂信慧緝淸 風及明月寮浩卞起白蓮堂玉淸成法王門猶未能 辨禪僧堂矣崇禎六年癸酉六月初九性珠禪師造 此禪僧堂自玆以後則寺樣一新矣至于今乾隆四 十五年庚子之歲崇禎癸酉則巳一百四十七年矣 無比乃古記增刪所述者也噫物係興廢時關盛衰 柱朽梁□顚外之患非朝卽夕寺員尙不耐咄嗟 之聲居僧所見安得不悵然之傷心哉前住持持□□ 慨然是事自不禁與復之計首爲之 囮合悅全德亦 澈肯構之志袖出門則其爲德風足咸人心遂以 募物召匠役於今三月初上樑於今四月初七日不 出數月事幾峻告何其緝厘之堂易若是其無戱哉 但物力稍匱材木亦艱不能渾毁之一新隨其所朽 因以緝之不無昌披之懷然其修緝之功確不及新 來勞筋苦骨之狀元無最同余甚嘉之記事之請忽 至當仁之事何讓遂書其顚末以誇後云爾 崇禎紀元後一百五十四年庚子四月上澣 前行禪敎都有司兼行禪敎宗正八道都總攝應雲堂證寤謹識 大施秩 折衝六謙 嘉善孟文 嘉善采證 花潭堂 寶軟 水營營房 營房具是一 東邊大洞 西邊大 洞 左待變廳 右待變廳 貳待變廳 大椽房通政 姜聖徒 守堞廳牢房廳獻 供廳吹打廳..廳 吏房姜一周會計色朴道訥嘉善忠蜜旗房守 埰通房李昌孫羅世山射夫廳萬興寺貳衙牢 房嘉善大箴李漢寶金鑑同許郁宗師應雲 證寤花潭寶軟靈坡錦厚龍隱竺潤坡榮定前 銜嘉善采澄嘉善慧演通政鴨遠折銜六謙通 政抱歡大覺登階致絢通政孟安嘉善孟文通 政福日嘉善大箴通政建敏通政建..通政奉 謙通政彦宗通政六藏通政本信通政獲禮通 政講還通政策奎時水軍節度使李文赫降侯 宋本府使金夢華鎭營將吳□化主通政獲札 都監通政講還通政策奎時住持兼義僧將通政 奉淳典庫都監彦桂東邊將孟訓把總兼西邊將 卽絢書記感玉三綱睿鑑勝元暹益老德龍巖 遇享越海采休白荷諶禮前行八道都僧統嘉善 六萬登階大師朗成登階大師等處日信察 福森嘉善忠蜜六閑朗習元玉元學再演嘉 善抱仁通政義演實澄通政建演奉贊嘉善次 玲通政奉心通政講訓通政奉湜奉..通政善 聰時持殿登階覺暈語鵬興淳彦鴻陟聰竺 閑別處竺文策鵬木工秩都片手通政語湜副 片手念日結墨守澄朗初等性竺□竺演勝 修供養主竺憲莫宰本房通政獲札通政策闊 建律策鵬弔演良應處密日學月明自順 厚重百昌員木趙者斤何孩牌將典粹□奎成 造畵記感宜佛庫掌務存澄典庫掌務迪幸山城 畵記竺絢左哨官諶中哨官□活右哨官克 樞執事□岑旗□感澄崇禎六年癸酉六月初九 日舊上樑文撰述曺溪後人圓正癸酉水軍節度 使嚴盧侯洪本府使折衝將軍李座首朴癸酉 大施主金安衛供養施主金四湖材木施主李見 龍成造施主李福時松監丁宗得乾隆三十八年 癸巳金水相永綬壯請得允使比卞使團束義僧 三百名時□永羅耳
[의의와 평가]
흥국사와 선당의 변천 과정 및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요긴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