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65
한자 文化殿堂驛
영어공식명칭 Asia Culture Center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26번길 7[남동 168-1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4년 4월 28일연표보기 - 도청역 개통
개칭 시기/일시 2006년 10월 17일연표보기 - 도청역에서 문화전당역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문화전당역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26번길 7[남동 168-14]
현 소재지 문화전당역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26번길 7[남동 168-14]지도보기
성격 도시철도역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남동에 있는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

[개설]

광주(光州)는 백제 때 ‘노지(奴只)’라 하였고, 통일신라 때 총독인 ‘무진도독(武珍都督)’이 설치되면서 성장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후백제견훤이 도읍지로 삼으면서 광주라는 이름이 쓰였다. 고려 초에 정착한 이후 도청 주위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된 듯한데, 이 자리는 언덕과 늪지가 만난 자리로 대황사(大皇寺)가 있었고 조선시대 광주목 관아터였다. 도시철도 개통 때 ‘도청역’이라고 했다가 2005년 도청이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옮겨감에 따라 2006년 10월 17일 문화전당역으로 변경되었다.

[건립 경위]

문화전당역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인근의 5.18역사문화 자원과의 연계를 고려해 구성하였다. 지하 공간은 전시 및 휴게 공간의 활용을 통해 기존상가와 연결되어 있다. 지하 1층의 만남의 광장은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최대한 제공하고 있고, 가벽으로 처리하여 추후 5.18민주광장과 연계하도록 하였다. 지하 4층은 승강장 계단의 정거장 양끝단 형성으로 승하차 승객의 동선 및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있다.

[구성]

금남로4가역과 더불어 매표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없는 무인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승객의 안전과 냉·난방 효과의 극대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스크린도어를 운영하고 있다. 내부 편의시설로는 화장실 2곳, 자판기 2대, 물품보관함 1곳, 무료신문 배포대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폰 충전기는 녹동역을 제외한 전 역사에 설치되어 있다.

[현황]

광주광역시 중심 상업지역으로 중대형 건물군으로 이루어진 금융업무 타운을 형성하고 있고, 지하상가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획지의 형성이 부정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로와 연접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필지규모가 작으며 저층 건물이 밀집되어 있다.

문화전당역은 2005년 146만 8286명으로 이용자가 매우 많았고, 도청 이전과 함께 이용자가 줄기 시작하여 2010년 이전에는 거의 유일하게 이용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의 역이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이용자의 수가 증가해 약 110만 명을 유지하고 있고,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82만 2705명이 이용하였다.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사는 다양한 주제를 선정해 테마역으로 운영 중이다. 문화전당역은 5.18기념홍보관으로서 5.18관련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