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리장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3275
영어의미역 Ancient Practice of Abandoning an old Person to Die at the Grave Site Place
이칭/별칭 「고려장터」,「버릇 고친 고리장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집필자 한종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지명전설|기로전설
주요 등장인물 가난한 농부|노모|아들
관련지명 갈골|능골뫼|고려장터
모티프 유형 노모를 묘실에 모신 농부|지게를 버리지 않은 아들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에서 고리장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고려장(高麗葬)이란, 늙고 쇠약한 사람을 구덩이 속에 산 채로 버려두었다가 죽은 뒤에 장사를 지내는 일을 일컫는다. 중앙탑면 용전리 갈골마을에서 서남쪽으로 우뚝 솟은 능골뫼 남쪽 계곡을 ‘고려장터’ 혹은 ‘고리장골[高麗葬谷]’이라고 부르는데, 고구려 때에 생매장을 하던 장소였다. 지금도 수많은 고려장 자리가 남아 있으며, 상당히 규모가 큰 적석총들도 많이 볼 수 있다. 「고리장골」은 삼국시대 고려장의 장례문화 일면을 볼 수 있는 전설이다.

[채록/수집상황]

1982년 충청북도에서 간행한 『전설지』에 실려 있는데, 당시 중앙탑면 용전리에 거주하는 주민 최풍용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1981년 중원군에서 간행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에도 「버릇 고친 고리장골」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내용은 동일하다.

[내용]

중앙탑면 용전리 갈골에 있는 능골뫼 남쪽을 ‘고려장터’ 또는 ‘고리장골’이라고 부른다. 고구려 광개토왕 때에 능골뫼 기슭에 가난한 농부가 70세 된 노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노모가 거동 불능의 상태에 빠지자 고려장을 하기 위해 능골뫼 남쪽 양지바른 언덕을 파서 판판하게 묘실을 만들어 놓은 다음 지게에다 어머니를 지고 묘실로 갔다. 노모를 묘실 안에 앉혀 놓고 먹을 것을 얼마간 넣어 준 뒤 출입구를 돌로 막은 후 발걸음을 돌렸다.

이와 같은 과정을 시종 지켜보고 있던 아들이 아버지가 버린 지게를 지고 따라왔다. 아버지는 이제 할 일을 다 했으니 지게를 버리라고 했다. 그러자 아들이 나중에 아버지가 늙으면 묘실로 옮겨야 하는데 그때 사용하기 위해서 지게를 가져가야 한다고 대답을 했다. 이 말을 들은 아버지는 몽둥이로 정수리를 얻어맞은 듯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 황급히 묘실 움막을 뜯고 노모를 꺼낸 후 정중하게 다시 집으로 모시고 왔다. 그 후부터 이곳 고리장골에 노부모를 버리는 고려장 풍습이 없어졌다고 하며, 고려장을 하던 골짜기를 고리장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고리장골」의 주요 모티프는 ‘노모를 묘실에 모신 농부’, ‘지게를 버리지 않은 아들’ 등이다. 늙은 부모를 산 채로 버리던 악습이 없어지게 된 내력에 관한 명칭유래담이다. ‘고려장이 없어지게 된 유래’, ‘기로 전설(棄老傳說)’이라고도 불리며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고리장골」의 고려장과 지게 이야기는 불전설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불교설화집 『잡보장경(雜寶藏經)』 기로국조(棄老國條)의 설화와 유사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