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충주」(권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3175
한자 忠州-權近-
영어의미역 Chungju Chinese Poetry
이칭/별칭 「송김대소판관조부충주(送金大素判官肇赴忠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서동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권근

[정의]

조선 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 권근이 판관 김대소를 전송하며 지은 한시.

[개설]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양촌리에서 태어나 성장한 권근(權近)[1352~1409]은 여말선초에 걸친 대학자이며 문신이다. 초명(初名)은 진(晋), 자는 가원(可遠)·사숙(思淑), 호는 양촌(陽村)이다. 「충주」는 「송김대소판관조부충주(送金大素判官肇赴忠州)」라고도 불린다.

[구성]

「충주」는 오언율시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어진 성주님 창생의 재화를 걱정하시고[仁聖憂民物]

어진 정사는 선비 가운데 출중하시네[循良出士林]

과중한 견사는 경계해야지[繭絲須作戒]

살림이 텅 비면 슬픈 일이네(杼柚可傷心)

들은 넓어 양촌은 아스라하고[野濶陽村遠]

구름에 잠긴 월악은 깊기만 하구나(雲橫月岳深)

언제쯤 다시 만나(何當成邂逅)

마주 앉아 흉금을 털어볼까(相對聽堂琴)

[특징]

충주로 일찍 부임하는 판관 김대소를 전송하면서 지은 한시이다. 또 판관 김대소의 충성심을 노래하면서 권근 자신이 사는 곳과 월악산을 연상시켜 다시 만날 정겨움을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별과 만남의 정한을 나타낸 시로, 태평성대를 고대하는 조선 초기의 정사를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