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09
한자 田興
영어공식명칭 Jeon Heung
이칭/별칭 경호(敬胡)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76년연표보기 - 전흥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98년 - 전흥 제1차 왕자의 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411년 - 전흥 순금사장무·순금사대호군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16년 - 전흥 절제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19년 - 전흥 총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22년 - 전흥 경시서제조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34년 - 전흥 중추원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35년 - 전흥 정조사로 명나라에 파견
활동 시기/일시 1435년 - 전흥 판한성부사 역임
몰년 시기/일시 1457년연표보기 - 전흥 사망
출생지 석성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지도보기
묘소|단소 전흥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679-1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남양(南陽)
대표 관직 판중추원사

[정의]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전흥(田興)[1376~1457]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할아버지는 전주(田柱)이고, 아버지는 형조참의 전득우(田得雨)이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아들은 전가생(田稼生), 전조생(田稠生), 전수생(田穗生), 전동생(田秱生) 등이다.

[활동 사항]

전흥은 1376년(우왕 2) 부여 석성[현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서 태어났다. 이서(吏胥)로서 태종(太宗)을 잠저(潛邸) 때부터 보필하였으며,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때 진무(鎭撫)로 참여하였다. 태종이 즉위하면서 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1410년(태종 10)에는 중군 호군으로 동북면에 파견되어 군사를 위로하면서 여진족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1411년 순금사장무(巡禁司掌務)를 거쳐 순금사대호군(巡禁司大護軍)을 지내면서 경기도와 충청도에 파견되어 말을 기를 목장을 물색하거나 축성 작업을 감독하였다. 1416년에는 의금부진무를 거쳐 절제사를 역임하였다.

1419년(세종 1) 전흥은 총제(摠制)로서 국왕과 상왕 태종의 강무(講武)를 수행하였고, 1422년 경시서제조를 겸하였다. 1426년 안주선위사를 맡았고, 1434년 형조좌참판과 인순부윤, 경창부윤, 중추원사를 지냈다. 1435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었고, 1435년 판한성부사를 거쳐 지중추원사를 역임하였다. 홍주목사와 판원주목사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전흥은 1457(세조 3) 사망하였다.

[묘소]

전흥의 묘소는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679-1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전흥은 사망한 뒤 경호(敬胡)라는 시호를 받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