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범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120
한자 梵唄
영어의미역 Bumpae, Buddhist Music
이칭/별칭 범음,어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집필자 박용국

[정의]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불교적인 제례를 올릴 때에 사용하는 음악.

[개설]

범패는 불교 의식 중에서 재(齋)를 올리기 위해 부처님께 바치는 음악으로, 인간의 염원을 부처님께 전달하는 데 사용된 의식요이다. 이를 범음(梵音)·어산(魚山)이라고도 하는데, 자의(字意)는 인도[梵]의 소리[唄]이다. 범패는 가곡·판소리와 함께 한국 전통 3대 성악곡 중 하나이다. 현재 전하는 불교 음악을 총칭해 범패라고 하는데, 반드시 범패승만이 부르는 전문적인 음악이다. 범패는 브라만교에서 비롯되었으며,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하는 노래이다. 하동의 쌍계사는 범패의 발상지로서 현재도 ‘하동 야생 차문화 축제’ 등에서 범패가 공연되고 있다.

[유형]

사찰에서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49재로 가장 규모가 작고 많이 쓰이는 사자(死者)를 위한 재 의식, 보통 하루],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십대왕에게 자비를 비는 재 의식으로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 약간 규모가 큼],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죽어서 왕생극락(往生極樂)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 의식], 수륙재(水陸齋)[수중고혼(水中孤魂), 즉 물속에 있는 영혼을 달래는 재로 영산재를 끝내고 나서 강이나 바다로 나가 지내는 재 의식], 영산재(靈山齋)[가장 규모가 크며, 죽은 사람을 위해 3일 밤낮에 걸쳐 행해지는 재 의식으로 국가의 안녕 등 특정 단체를 위해서도 의식을 행함] 등에 사용된다.

범패는 음악 양식에 따라 안채비 소리, 겉채비 소리인 홋소리와 짓소리, 그리고 축원하는 화청(和請) 등으로 구분된다.

1. 안채비 소리

안채비 소리는 흔히 염불이라고도 하며, 재를 올리는 절 안의 유식한 병법(秉法) 또는 법주(法主)가 요령(搖鈴)을 흔들며 낭송하는 소리이다. 사설은 주로 한문인 산문으로 되어 있고, 내용은 재주(齋主)를 축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예로 유치(由致)나 청사(請詞) 등을 들 수 있다. 안채비 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서양 오페라의 레치타티보처럼 촘촘히 읽어 나가는 것이다.

2. 홋소리

겉채비란 범패를 전문으로 하는 승으로 보통 다른 절에 초청을 받고 가서 소리를 한다. 범패는 주로 겉채비들의 노래이다. 대부분의 범패 레퍼토리는 홋소리로 되어 있다. 홋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주로 3음으로 되어 있는데, 완전 4도 위에 단 3도를 쌓아 올린 것이다. 홋소리의 사설은 주로 한문으로 된 정형시여서 앞의 2구[前二句]는 뒤의 2구[後二句]와 음악적으로 같거나 비슷하다.

3. 짓소리

짓소리는 홋소리를 다 배운 범패승이 배우는 것으로, 대개 한문으로 된 산문 또는 범어(梵語)를 그 사설로 가지고 있다. 짧은 연주 시간을 가지고 있는 홋소리에 비하여 짓소리는 상당히 긴 시간을 요한다. 원래 72가지나 되던 짓소리가 요즈음엔 다 망실되고 겨우 「인성(引聲)」, 「거령산(擧靈山)」, 「관목게(灌木偈)」, 「목욕진언(沐浴眞言)」, 「단정례(單頂禮)」, 「보례(普禮)」, 「식영산(食靈山)」, 「두갑(頭匣)」, 「오관게(五觀偈)」, 「영산지심(靈山志心)」, 「특사가지(特賜加持)」, 「거불(擧佛)」, 「삼남태(三南太)」 등 13곡 정도가 불린다.

짓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장인굴곡(長引屈曲)으로서 길게 한 음을 끈 다음에 잔가락을 붙인다. 또 홋소리가 주로 3음을 사용하는 데 비하여, 짓소리는 5음을 다 쓴다. 또 짓소리에는 허덜품이라는 것이 있다.

4. 화청·회심곡

화청·회심곡은 포교의 한 방편으로서 대중이 잘 알 수 있는 음악에다 불교를 쉽게 이해시키고 신봉케 하는 사설을 얹어 부르는 음악이다. 음악적 스타일은 경기 민요조, 특히 「창부 타령」 같은 민요와 관계가 있다. 범패가 한문이나 범어를 그 사설로 쓰고 있는 데 비하여, 화청이나 회심곡은 한문과 우리말의 혼합으로 되어 있다.

[발상지 관련 기록]

범패는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774~850]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하였다는 것이 정설이다. 하동 쌍계사에 있는 「유당신라국고지리산쌍계사교시진감선사비명(有唐新羅國故知異山雙谿寺敎諡眞鑑禪師碑銘)」은 진감선사 혜소의 입당 구법 과정과 830년 귀국 이후 지리산 화개곡에서 선법을 펼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비문에는 쌍계사의 유래, 범패의 전래와 유포 등의 사실을 전하고 있다.

최치원(崔致遠)[857~?]은 비문에서 진감선사를 일러 “평소 범패를 잘하여 그 목소리가 금옥 같았다. 구슬픈 곡조에 날리는 소리는 상쾌하면서도 슬프고 우아하여 능히 천상계의 신불(神佛)을 환희하게 하였다. 길이 먼 데까지 흘러 전해지니 배우려는 사람이 당(堂)에 가득 찼는데,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어산의 묘음을 익히려는 사람들이 다투어 콧소리를 내었던 일처럼 지금 우리나라에서 옥천(玉泉)의 여향(餘響)을 본뜨려 하니 어찌 소리로써 제도하는 교화가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

한편 이보다 앞선 760년(경덕왕 19)에 범패승을 언급한 내용이 『삼국유사(三國遺事)』 권5 월명사(月明師) 도솔가조(兜率歌條)에 보인다. 또한 진감선사와 동시대 일본 승려 자각대사(慈覺大師) 엔닌[圓仁][794~864]이 쓴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적산원(赤山院)에서 부르던 범패에 당풍(唐風)·향풍(鄕風)·고풍(古風)이 있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따라서 진감선사가 배워 온 범패는 당풍이고, 향풍의 범패는 홋소리와 가까우며, 고풍의 범패는 서역에서 들여온 것으로서 지금의 짓소리와 비슷하다고 한다. 이로써 8세기 무렵 한국에 범패가 이미 존재하였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감선사가 전래한 것은 당풍이며, 『삼국유사』에 보이는 범패는 향풍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변천]

범패는 전래된 이후 절에서 각종 재를 올릴 때 써 왔다. 고려 시대에는 범패가 상당히 성행했고, 조선 시대의 범패는 『범음종보(梵音宗譜)』에 의해 계보를 찾을 수 있다. 이 책에는 국융(國融)·응준(應俊)·천휘(天輝)·연청(演淸)·상환(尙還)·설호(雪湖)·운계당(雲溪堂)·법민(法敏)·혜감(慧鑑)·유민(有敏)·유평(有平) 등 많은 범패승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1911년 일제 강점기에 의해 사찰령이 반포되고 1912년 각본말사법(各本末寺法)이 제정되자 범패와 작법(作法) 등이 금지되었다. 범패는 서울 봉원사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1973년 11월 5일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는데, 홋소리와 짓소리가 그 대상이다. 보유자로는 박희덕(朴喜德)[법명 송암(松庵)]·장태남(張泰男)[법명 벽응(碧應)]·김명호(金明昊)[법명 운공(耘空)] 등이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