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기놀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459
이칭/별칭 다짜구리,닷짝걸이,좌돌리기,조아질,짜게받기,살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아이들이 공기를 가지고 노는 놀이.

[개설]

공기놀이는 여자아이들이 동글동글한 작은 돌 세 개 혹은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의 돌을 방바닥이나 마룻바닥, 땅바닥에서 던져 올렸다가 다시 받으면서 노는 놀이이다.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행하여지며 전국에 퍼져 있는 보편적인 놀이이다.

[연원]

공기놀이는 세계 각지에서 옛날부터 보급되어 온 놀이이다. 그러나 공기놀이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 헌종 때 이규경(李圭景)[1788~?]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공기(拱碁)'에 대한 기록이 나오고 있어 그 유래가 상당히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명칭은 전국에 걸쳐 '공기놀이'라는 이름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흔히 '다짜구리', 또는 '닷짝걸이'라고 부른다. 서도 지역에서는 '좌돌리기', '조아질'이라 하고,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짜게받기',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살구'라고 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공기놀이는 동글동글하고 손으로 줍기에 알맞은 크기의 돌을 쓰거나 없으면 다듬어서 사용한다. 요즘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공기를 사서 놀이를 한다. 공기놀이는 방바닥, 마룻바닥, 땅바닥 등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행하여지며 전국에 퍼져 있는 보편적인 놀이이다.

[놀이 방법]

공기놀이는 밤톨만한 공깃돌을 줍거나 다듬어 만들어서 한다. 공기놀이는 대개 두 명이 마주 앉아서 하거나 여러 명이 모여서 하기도 한다. 공기놀이는 돌을 공중으로 던져 바닥에 있는 돌을 줍고 던진 돌을 다시 손으로 받아야 한다. 그 과정에서 돌을 떨어뜨리거나 다른 돌을 건들면 상대방이나 상대 팀으로 순서가 넘어간다. 공깃돌 세 개와 다섯 개를 가지고 노는 놀이 방식이 있다.

[공깃돌 세 개를 가지고 노는 놀이]

'산골짜기 다람쥐'라는 노래[산골짜기 다람쥐 아기 다람쥐/ 도토리 점심 가지고 소풍을 간다/ 다람쥐야 다람쥐야 재주나 한번 넘으렴/ 펄쩍 펄쩍 펄쩍 잘도 정말 넘는다]를 부르면서 세 가지 방법으로 한다.

① 공깃돌 세 개를 모두 손등에 올려놓고 던져 한 개의 돌만 잡는다. 두 개의 돌은 바닥에 떨어지게 되는데, 어떤 때는 손에 잡기 쉽게 떨어지기도 하고 간격이 멀리 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멀리 떨어져 있는 돌은 다른 돌 가까이에 밀어 줍는다. 그리고 가까이에 있어도 손끝으로 조금 건드린 다음 주워 먹는다. 이렇게 노래가 끝날 때까지 반복한다.

② 공깃돌 세 개를 모두 손등에 올려놓고 던져 두 개의 돌을 잡는다. 그러면 한 개가 바닥에 있는데 손에 들고 있던 돌 하나를 공중으로 던져 올리고 다른 돌은 바닥에 있는 돌 옆에 놓는다. 그렇게 바닥에 있는 두 개의 돌을 한꺼번에 주워 먹는다. 이것도 노래가 끝날 때까지 반복한다.

③ 공깃돌 세 개를 모두 손등에 올려놓고 던져 세 개의 돌을 모두 다시 받아 돌 두 개를 바닥에 내리고 하나는 공중으로 올려 잡는다. 그리고 다시 바닥에 있는 돌을 주워 먹는다. 이것도 노래가 끝날 때까지 반복한다.

[공깃돌 다섯 개를 가지고 노는 놀이]

① 한짝걸이: 공깃돌 다섯 개를 바닥에 흩어 놓고 그 중 하나를 집어 공중으로 던짐과 동시에 바닥의 돌을 하나 집어 떨어지는 돌과 같이 받아 쥔다. 이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세 개의 돌도 하나씩 집는다.

② 두짝걸이: 공깃돌 다섯 개를 바닥에 흩어 놓고 그 중 하나를 집어 공중으로 던짐과 동시에 바닥의 돌을 두 개씩 집고 떨어지는 돌과 같이 받아 쥔다.

③ 세짝걸이: 공깃돌 다섯 개를 바닥에 흩어 놓고 그 중 하나를 집어 공중으로 던짐과 동시에 바닥의 돌 세 개를 한꺼번에 집고 떨어지는 돌과 같이 받아 쥔다. 나머지 한 개의 돌도 한짝걸이 방식으로 집는다.

④ 네 번째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모다걸이'로 공깃돌 다섯 개를 바닥에 흩어 놓고 그 중 하나를 집어 공중으로 던져 올린 다음 바닥에 있는 나머지 네 개의 돌을 전부 쥐어 떨어지는 돌과 같이 받아 쥔다. 다른 방법은 공깃돌 한 개를 엄지와 검지로 잡고 나머지 네 개를 손 안에 갖고 있다가 한 개를 공중으로 올림과 동시에 네 개를 바닥에 내려놓고 공중으로 올린 한 개의 돌을 손으로 잡는다. 이때 네 개의 돌이 바닥에 모아져 있고, 손에 들고 있던 한 개의 돌은 다시 공중으로 던져 바닥에 있는 네 개의 돌을 한꺼번에 집고 떨어지는 돌과 같이 받아 쥔다.

⑤ 고추장: 손바닥에 공깃돌 다섯 개를 모두 쥐고 그중 하나를 잡아 공중으로 던져 올리고 검지 손가락으로 고추장을 맛볼 때처럼 바닥을 살짝 한 번 찍은 다음 떨어지는 돌을 받는다.

⑥ 까불이: 공깃돌 다섯 개를 손바닥에 집어 들고 이를 공중으로 같이 던져 올리면서 손가락 끝을 바닥에 찍고 난 다음 떨어지는 다섯 개의 공기돌을 받아 쥔다. '까불이'는 키에다 곡식을 놓고 까부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까불이라 불렀다고 한다.

⑦ 채기: 공깃돌 다섯 개를 던져 올려서 손등으로 받은 다음 공깃돌을 다시 올려 한꺼번에 낚아챈다. 이때 손등에 받아 올린 돌이 떨어지지 않게 받아낸 수가 딴 수가 된다. 만약 낚아채다가 하나라도 튕겨나가면 실격이 되어 상대방에게 차례가 넘어간다.

공기놀이의 과정에서 실수 없이 성공하면 계속 이어나가서 점수를 딸 수 있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에 점수를 미리 정하고 시작하며, 공깃돌 한 개에 1점으로 해서 먼저 점수를 채우는 사람이 이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공기놀이는 작은 돌을 던지고 받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손재주나 운동신경에 도움이 되며, 더불어 조심성과 침착성을 길러주는 놀이이다.

[현황]

야외에서 돌을 주워서 공기놀이를 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공기를 구입하여 집안에서 한다. 주로 여자아이들이 하는 놀이였으나 현대에 오면서 남자아이들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