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541
영어공식명칭 Turne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현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1년 - 너릿재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어등산호남대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 용진터널 개통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도로, 철도 등을 연결하기 위해 산지나 지하 등을 뚫어 통과하도록 만든 통로.

[개설]

광주광역시에 설치된 터널은 총 31개소이고 총 연장은 14.4㎞로 다양한 종류의 도로에 개설되었다. 광주광역시를 분기하는 고속국도에 2개소 3㎞, 일반국도에 4개소 1.7㎞, 광역시도에 19개소 7㎞, 국가지원지방도에 2개소 2.1㎞, 구도에 4개소 0.6㎞의 연장으로 개설되어 있다. 일반국도에서는 4개소 중 2개소를 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하고, 나머지 2개소는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한다.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광주광역시의 터널은 총 31개소를 지정하였으나, 지하차도와 굴다리 등을 포함하면 이보다 더 많은 수의 터널이 개설되어 있다.

한 예로 광주광역시청에서 조사한 『2019년 도로 및 교량 현황 조서』에 따르면, 광주광역시에 개설된 터널과 지하차도는 총 48개소로, 종합건설본부 광주광역시 지점에서 터널 12개소와 지하차도 15개소를 관리하고, 남구청에서 터널 1개소, 북구청에서 지하차도 3개소, 광산구청에서 지하차도 2개소, 광주광역시 소속 광주 제2순환로에서 터널 12개소와 지하차도 3개소를 관리한다. 이 중 [상], [하]로 나누어지는 터널 9개소를 빼면 39개소로 더 많은 수의 터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조사되지 않은 굴다리 등을 포함하면 광주광역시에 설치된 터널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광역시에 개설된 터널은 다음과 같다. 동구에는 산수터널, 지산터널, 지원터널, 소태터널 등이 개설되어 있고, 서구에는 짚봉터널, 농성지하도로, 서창지하차도 등이 개설되어 있다. 남구에는 철구재터널, 용산터널, 건덕터널, 행암터널, 방림터널, 금당산터널, 송암터널, 효덕지하차도, 북구에는 각화터널, 운암지하차도, 신용지하차도, 월출지하차도, 연제지하차도, 죽림지하차도, 용전지하차도, 우석지하차도 등이 개설되어 있으며, 광산구에는 용진터널, 어등터널, 수남터널, 송정지하차도, 하남2지하차도, 비아지하차도, 선운지하차도, 수완지하차도, 장수1지하차도, 산정1지하차도, 신덕지하차도, 운수지하차도, 소촌지하차도, 동송정지하차도, 신가지하차도, 신창지하차도 등이 개설되어 있다.

[용진터널]

국토교통부에서는 터널의 총 연장과 차로 수, 개설된 구간의 위치에 따라 터널을 장대터널, 1종터널, 2종터널 등으로 분류한다. 특히 총 연장 3,000m 이상의 장대터널은 전국에 33개소만 개설되어 있는데, 아쉽게도 광주광역시에 개설된 터널 중에는 장대터널로 분류되는 터널이 없다. 대신 총 연장 1,000m 이상의 1종터널로 분류되는 용진터널광산구 오선동에 개설되어 있다. 용진터널은 총 연장 1,040m, 총 넓이 10m, 유효 넓이 10m, 높이 8m의 제원을 가진 터널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서북부 지역[나주~장성 구간]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위에 2013년 개통되었다.

[너릿재터널]

너릿재터널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화순군을 잇는 주도로에 개설된 터널이다. 너릿재에는 터널이 두 개 개설되어 있는데, 너릿재 구터널과 신터널로 구분한다. 구터널은 왕복 4차선의 도로와 연결되어, 총 연장 400m, 총 넓이 10m, 유효 넓이 9m, 높이 6.5m의 제원을 가지며, 신터널은 왕복 4차선의 도로와 연결되어, 총 연장 620m, 총 넓이 10m, 유효 넓이 9m, 높이 6.6m의 제원을 가진다. 과거에는 너릿재를 넘어야만 화순으로 넘어갈 수 있었는데, 1971년 너릿재터널이 준공되면서 화순으로 넘어가는 교통로가 한결 편해졌다.

너릿재터널의 이름은 인근의 너릿재에서 유래하였다. 이 인근의 과거 지명은 널재였는데 널재를 한자어로 번역하면 판치(板峙)가 된다. 판치에서 '판(板)'은 판판하고 넓게 핀 나무판자인 널빤지를 의미한다. ‘널의 재’ 또는 ‘널재’가 나무판자를 의미하는 널빤지와 발음이 비슷하여 한자로 표기되면서 ‘판치’로 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널재가 시간이 지나면서 너릿재로 바뀌게 되었는데, 널재너릿재로 바뀐 이유에 대해서는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가 숨겨져 있다. 동학농민운동 당시 처형당한 농민군들의 널[관]을 들고 넘어왔다 해서 그 고개를 널재로 불렀다고 한다.

[어등산호남대터널]

어등산 인근에 총 연장 1,487m의 1종터널 1개소가 개설되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봉동에서 전라남도 무안군을 잇는 구간의 고속도로 위에 개설된 터널이었으나, 개통과 함께 분쟁이 생긴 터널로 유명하다. 과거 이 터널이 호남대터널 혹은 어등산터널로 불리면서 명확한 명칭이 정해지지 않은 것이 그 이유였다. 개통 이후 터널명을 명명하는 것과 관련하여 호남대학교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의 분쟁이 있었다. 인근에 자리 잡은 호남대학교 측은 고속도로가 학교 용지를 통과하는 데 따른 소음 등의 피해 보상 차원에서 터널 이름을 '호남대터널'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광산구의회 측은 "인근에 자리한 어등산은 대한제국 당시 호남 의병이 전투를 벌인 역사의 현장이며 관광 및 택지개발 등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인근 주민들이 기억하기 쉬운 '어등산터널'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3년간 터널명과 관련된 분쟁이 지속되다가 2011년 8월 30일 광산구호남대학교어등산호남대터널로 표기하는 것으로 협의를 마쳐, 이곳 터널명은 어등산호남대터널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