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860 |
---|---|
한자 | 光州文彬精舍所藏典籍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81[운림동 96]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수경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3년 12월 24일 - 광주 문빈정사 소장 전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9호 지정 |
---|---|
소장처 | 문빈정사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81[운림동 96] |
성격 | 불서 |
저자 | 몽산화상육도보설- 덕이 |
권책 | 11종 12책 |
행자 | 몽산화상육도보설- 6행 14자 |
규격 | 몽산화상육도보설- 18.5㎝[가로]|33.2㎝[세로] |
어미 | 몽산화상육도보설- 무어미 |
권수제 | 몽산화상육도보설- 몽산화상육도보설 |
문화재 지정 번호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9호 |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문빈정사에 소장된 1400~1500년대에 제작된 불경 11종 12책.
[개설]
광주 문빈정사 소장 전적은 1권을 제외하고 간행 연도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주로 임진왜란 전에 발간한 판본들이다.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백양사 강백(講伯)으로 일관하며 문빈정사(文彬精舍)에서 주지로 있던 승려 석산(石山)이 전란과 격동기 속에서 수집하고, 승려 지선(知詵)이 보강하여 보관해온 고문헌들이다.
[형태/서지]
광주 문빈정사 소장 전적 중에 1443년(세종 25) 완주 화암사(花巖寺)에서 간행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2책이 가장 오래된 경전이다. 불교의 야외 의식인 수륙재(水陸齋)를 거행하는 절차를 정리한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1책은 1470년(성종 원년)에 간행된 것으로 조선 전기의 문신 김수온(金守溫)의 발문이 있다. 1509년(중종 4) 순천 대광사(大光寺)에서 간행한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 1책은 원나라 승려 몽산화상(蒙山和尙)이 지은 '육도보설'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화순 안심사(安心寺)에서 발간한 공양 의례집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黙言作法)』 1책과 한산 백개만(白介万) 가(家)에서 발간한 세종이 지은 불교 찬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책도 있다. 수륙재 의식을 다룬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 1책은 1572년(선조 5)에 강진 무위사(無爲寺)에서 간행하였다. 사후 극락왕생을 비는 의식을 정리한 『예수십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1책은 1576년(선조 9) 안동 광흥사(光興寺)에서 제작하였고, 고려 승려 지눌(知訥)이 저술한 수행 지침서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책은 1579년(선조 12) 지리산 신흥사(神興寺)에서 펴냈다는 기록이 있다.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1책은 1580년(선조 13)에 금산 신안사(身安寺)에서 간행한 판본이다. 서산대사(西山大師)가 편찬했다고 전해지는 『운수단가사(雲水壇歌詞)』 1책은 1636년(인조 14)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발간하였고, 유일하게 간행연도를 알 수 없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1책은 안음 영각사(靈覺寺)에서 펴냈다.
『몽산화상육도보설』은 목판본(木板本)으로 순천 대광사에서 간행하였으며, 불분권(不分卷) 1책으로 23장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의 반곽(半郭)은 18.8×13.3㎝이고, 계선이 없는 무계(無界) 6행 14자로 되어 있다. 무어미(無魚尾)에 책 크기는 33.2×18.5㎝이다. 표제(表題)와 권수제(卷首題)는 몽산화상육도보설이며, 간기(刊記)는 정덕사년기사(正德四年己巳) 구월일전라도순천부모후산대광사간판(九月日全羅道順天府母後山大光寺刊板)로 되어 있다. 상란(上欄)과 하란(下欄)에 소자주(小字註)가 있다.
[의의와 평가]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초간에 가깝고, 1536년(중종 31) 경상도 안음의 영각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 수륙재의 기원과 의식 절차에 대한 것을 집성한 불교 의례서로, 국내에서에서 처음 확인된 판본인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10종 또한 모두 희귀본으로 판명되었다. 광주 문빈정사 소장 전적은 판본의 계통 연구뿐만 아니라 사찰의 출판 활동, 불교 의식의 변화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