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타작노래」[서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279
한자 打作-[西區]
영어공식명칭 Tajak-narae|Threshing Song
이칭/별칭 「보리타작소리」,「도리깨질소리」,「옹헤야」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7년 5월 11일 - 「타작노래」[서구] 대구직할시 서구 성서3동 파산마을에서 채록
채록지 「타작노래」[서구] 채록 추정지 - 대구광역시 서구 성서3동 파산마을 지도보기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형식
가창자/시연자 정삼식|김상진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농업노동요.

[개설]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타작노래」[서구]는 보리를 깔아 놓고 보리 이삭을 터는 작업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보통 보리 타작에는 ‘도리깨’라는 농기구가 사용되는데 소리 없이 도리깨를 내려치면 일손이 맞지 않기 때문에 소리를 하며 리듬을 맞춘다. 목도리깨꾼이 메기는소리를 하면 종도리깨꾼이 받는소리를 한다. 「보리타작소리」, 「도리깨질소리」, 「옹헤야」라고도 일컫는다.

[채록/수집 상황]

1987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발간된 『민속예술』에 따르면, 1987년 5월 11일 대구직할시 서구 성서3동 파산마을에서 가창자 정삼식과 김상진으로부터 「타작노래」[서구]가 채록되었다. 다만, 당시 채록한 장소에 관하여서는 정확한 현재 위치를 특정하기는 어렵고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한 지역일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 및 형식]

「타작노래」[서구]는 메기는소리를 하는 목도리깨꾼이 소리를 메기고 여러 사람의 종도리깨꾼이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내용]

파산마을에서 채록된 「타작노래」[서구]는 대구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옹헤야」류의 소리가 아니다. 받는소리에 “때리라~”가 반복되며, 메기는소리에 “어~ 넘어간다” 또는 “요놈의 보리”, “중놈의 보리” 등 단순하고 즉흥적인 가사가 들어간다. 사설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때리라 어~ 넘어간다/ 때리라 어~ 넘어간다/ 때리라 어~ 또 넘어간다.”

[현황]

「타작노래」[서구]는 현재 타작 자체가 기계화되면서 노동 현장에서 불리는 일이 없어졌다. 다만, 대구광역시에서는 농요보존회를 중심으로 공연화되어 전승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직할시 서구에서 채록된 「타작노래」[서구]는 비교적 긴 사설을 기억하는 제보자에 의하여 온전한 내용을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