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495
한자 貯水池
영어음역 jeosuji
영어의미역 reservoi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박희두

[정의]

상수도와 발전 및 농업용수 공급 등을 위해 하천의 물을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못.

[개설]

저수지의 위치는 어느 정도 댐의 위치로 좌우되지만 가능하면 댐은 낮고 작으나 대용량을 얻을 수 있는 곳이 좋다. 그 밖에 댐 지점의 지질과 축조 재료의 구득이 용이한가 등도 문제가 된다. 저수지의 밑바닥 토지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지질이 효과적이다.

[목적]

상수도용 저수지의 목적은 하천을 수원으로 하는 상수도에서 취수량이 그 하천의 최소 유량을 초과할 때 수량을 모아 두었다가 보충용으로 하는데 있다.

[저수지의 위치]

저수지는 댐을 만들어 그 상류에 물을 담수시켜서 만들지만 제방의 위치로부터 말한다면 하천을 가로질러 흐름을 막는 것과 하천으로부터 일단 물을 끌어서 다른 장소에 저수지를 마련하는 것 등이 있다.

[댐의 재료]

댐은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것과 구조물로서 안정적일 것 등이 요구되며, 재료로는 사력(모래와 돌),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등이 이용된다.

[저수지의 작용]

저수지는 호소와 같이 물의 자정작용도 하게되니 대부분의 경우 물의 질은 개선된다. 그러나 미생물인 플랑크톤은 정수된 물에서 번식하기 쉬우므로 수질의 악화를 초래하기 쉽다.

[현황]

상당구에는 북서쪽에서부터 정상동의 봉정소류지, 정북동의 오동저수지, 사천동의 사뜸방죽, 외하동의 안터소류지, 산성동의 산성저수지, 용담동명암지, 용정동의 용정저수지, 낙가동의 낙가동소류지, 지북동의 지북방죽 등이 있다.

흥덕구의 남쪽에서부터 산남동원흥이방죽, 죽림동의 황새울방죽, 홍골방죽, 감나무실방죽, 동막동의 동막방죽, 현암동의 현암방죽, 수절방죽, 신전동의 가래울방죽, 석소동의 강촌방죽, 지동동의 학동소류지, 내거방죽, 마래방죽, 비하동의 피아골방죽, 꼬꼴랭이방죽, 서촌동의 뚝새방죽, 상신동의 상신방죽, 문암동의 신정방죽, 송절동의 송절방죽, 신봉동의 주현소류지 등이 유명하다.

[의의와 평가]

상수도용 저수지외에 논농사를 주로 하는 우리나라는 단순한 농업용 저수지로 댐을 막는 경우도 많으나 요즘에는 댐을 하나 막음으로써 여러 가지의 목적을 일거에 달성하려고 하는 다목적 댐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즉, 발전용수,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댐이 등장하여 대형화하고 있다. 오히려 좁은 국토에서 많은 토지를 수장한다고 하여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