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원 전 박장군 묘 출토유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131
한자 淸原傳朴將軍墓出土遺物
영어음역 Cheongwon Jeon Bak Janggun Myo Chulto Yumul
영어의미역 Relics from the General Jeon Bak's Tomb in Cheongwo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우종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1년 11월 14일연표보기 - 청원 전 박장군 묘 출토유물 국가민속문화재 제11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청원 전 박장군 묘 출토유물 국가민속문화재 재지정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작시기/일시 조선시대
소장처 충북대학교박물관
소유자 충북대학교박물관
관리자 충북대학교박물관

[정의]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후곡리 노계산에 위치한 무연고 묘인 전박장군(傳朴將軍) 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의 복식(服飾)유물.

[출토경위]

1980년 4월 16일 대청댐 건설공사로 인하여 수몰지역 내인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후곡리 노계산에 자리한 한 무연고 묘를 이장하던 중 복식유물이 출토되었다. 무덤의 주인공은 알 수 없으나 마을에서 전박장군 묘로 불리워지고 있어, 이 묘에서 출토된 복식을 전박장군 묘 출토복식이라 하였다. 복식유물은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 수습하여 소장 전시하고 있다.

[형태]

전박장군 묘에서 출토된 복식을 형태별로 보면 두의류(頭衣類) 3점, 포류(袍類) 8점, 저고리 12점, 바지 2점, 치마 4점, 기타 6점 등 모두 35점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포(袍)는 창의(氅衣)·직령포(直領袍)·관복(官服)·도포(道袍)·동방형포(東方型袍) 등 형태와 기능이 다른 5종류가 있어 주목된다. 이 중 도포는 문헌상 선조(宣祖)대에서 비롯된 것과 같고 소매통이 32㎝로 밋밋한 것으로 보아 오늘날 도포 소매의 광수화(廣袖化)는 이 당시 도포가 변화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단령(團領)은 옆에 협삼(脅衫)이 달려 있어 국가민속문화재 제118호인 김위(金緯) 묘 출토 단령과 비교된다.

복식 중 가장 많이 출토된 저고리는 임진왜란(壬辰倭亂) 이전 양식인 삼수(衫袖)와 좁은 끝동이 공반되고, 동정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같이 출토되어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입었던 복식으로 보여진다. 저고리의 옷감에 동자좌불상(童子座佛像)과 그 좌우에 연꽃무늬, 위쪽에 만(卍)자문늬가 있는 면직(綿織)으로 만든 특이한 것도 있다.

또한 시신(屍身)의 머리모양이 쌍쌍투를 틀고 있어 주목되는데, 이는 총각의 쌍발(雙髮)로서 당시 남자들의 머리모양의 일면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러한 출토복식은 그 주인공을 알 수 없어 시기 가늠에 어려움이 있으나 복식의 형태·질감·색상·무늬·바느질법 등으로 볼 때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복식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전박장군 묘 출토복식은 양이 많은 편이고 옷감의 종류, 색상, 문양 및 복식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복식생활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청원 전 박장군 묘 출토유물은 1981년 11월 14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1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영문본문]

These are the various clothes excavated in Mt. Nogyesan, Cheongwon-gun, when General Park's tomb known as Yeongobunmyo in the submerged districts of Deacheong Dam. They are; two pieces of Jungchimak, a kind of man's outer garment, two Jingnyeongpo, a official uniform, a Guui, a Dopo (Korean full-dress attire), a Dongbanghyeongpo. Especially, eleven pieces of Jeogori (a Korean-style jacket) and two pieces of Jeoksam (a Korean-style unlined summer jacket) can be the precious materials for connecting the early Joseon and late Joseon. In addition, a Gyeobyugo, a Gyeobyubaji trouser and a skirt belonging to its jacket were excavated. And there are three pieces of Baejajeogori whose position is in between the early Joseon's Danbaeja and the era of King Sukjong's Dangui. They look like the vest and they are 66, 65 and 66 cm long each. And Samsu is attached at the end of the sleeve in 10-15 cm length. In case of Jeoksam, it is a 119 cm long that is longer than the sleeve and has a 39 cm of Samsu so it functions as a Hansam. Dallyeong has a Heopsam and it is similar to Kim Wi's Yuui. Guui made of deerskin is designed to adjust with ring button because of the gusset at both side and its front is looks like Durumagi (a Korean topcoat). Its front side is 98 cm long and its back is 60. The sleeves are middle size at both Dallyeong and Changui and this is the similar point compared with other Yuui of th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Dopo is the oldest one among existences and it proves the record of documents saying that it is originated from King Seonjo's era. The unique point is that its width of a sleeve is 32 cm long and flat. It means that wide sleeve of Dopo is the transition of the 18th century's. Guui is made of white cotton. This blue Jingnyeongpo has the narrow sleeves and 33 cm of Samsu. It is similar to Yu Hyujeong's by its left sleeve that was pieced together odds and ends of cloth. Changui was made of blue cotton and has the narrow sleeves. And its sides are opened with a 70 cm length. Dongbanghyeongpo is white cotton Nabui and its sleeves and whole length is long. The cotton trouser seems to be a woman's and its end is wide. There are two kinds of skirts; one is made of brown Mokdanmundan and the other is made of white silk. The hat is also two kinds. One is made of blue silk with a 17 cm height, a 25 cm diameter and 50 cm round. And the other is a small brown silk hat. Padded skirt, white cotton bedclothes, Cheongeun, Myeongmok and Aksu are unearthed together. It seems that they were made arou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the shape, quality and patterns of the clothes. It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materials for studying the style of dress and social aspect of their age. the narrow sleeves. And its sides are opened with a 70 cm length. Dongbanghyeongpo is white cotton Nabui and its sleeves and whole length is long. The cotton trouser seems to be a woman's and its end is wide. There are two kinds of skirts; one is made of brown Mokdanmundan and the other is made of white silk. The hat is also two kinds. One is made of blue silk with a 17 cm height, a 25 cm diameter and 50 cm round. And the other is a small brown silk hat. Padded skirt, white cotton bedclothes, Cheongeun, Myeongmok and Aksu are unearthed together. It seems that they were made arou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the shape, quality and patterns of the clothes. It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materials for studying the style of dress and social aspect of their age.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6.26 문화재 용어 변경 현행화 중요민속자료 -> 국가민속문화재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