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하는 예술 및 그 작품. 공주 지역 문학의 시발은 중앙의 신문학이나 인근 도시인 대전보다 많이 뒤진다. 1950년대 중반에야 주로 공주사범대학의 교수와 학생을 중심으로 싹이 터서 2세대, 3세대로 확대·발전해 나갔다. 공주의 문학을 말함에 있어 공주의 문학과 공주의 문인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
-
1970년부터 공주교육대학 석초 동인회 출신의 졸업생 중심으로 활동하던 시 중심의 동인지. 설립 동인은 윤석산, 이장희, 이관묵, 김명수, 전민, 안홍렬, 구재기 등이었으며, 1972년부터 공주 사범 출신인 라태주가 동참하고, 회원들이 모두 등단하면서 충남은 물론 전국적인 젊은 시인들의 동인회로 발전하기 시작한다. 동인은 아니었으나, 충남 문단의 원로격인 한성기 시인이 지도자 겸...
문학단체
-
충청남도 공주시 출신의 문인들에 의해 조직·운영되는, 문학 활동을 하는 단체. 공주시의 문학단체는 공주사범대학교의 교수·학생·지역문인들의 혼합 구성체였던 ‘시회’로부터 출발한다. 이 모임은 정식 문학단체라기보다는 공부하는 모임에 가까웠다. 단체의 구성 요소라 할 임원진이나 규약, 기관지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순수한 의도와 문학적 열의만은 높게 평가...
-
공주사범대학 국문학과 출신 문인들이 결성한 문학 동인회 1989년 10월 21일부터 22일까지 공주시 소재 산성파크호텔과 갑사에서 열린 총회로 성립되었다. 회장은 1인으로 초대는 임강빈이 맡았고, 부회장은 조재훈·김명배 2인이었으며, 총무는 구중회였고, 간사는 광주 지역은 오명규, 서울 지역은 이명수, 전주 지역은 이시연의 3인이었으며, 감사는 조동길, 유여홍 2인의 임...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활동하는 여성 문인들의 단체. 공주 지역 여성 문학 작품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동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동시에 공주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향유권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92년 10월 9명의 여성 문인들이 동인지 발간을 기획하고 출간하면서 공주 지역의 첫 번째 여성 문학 단체로 출발했다. 초대 회장으로는 김현주가 취임했으며,...
-
충청남도 공주시 봉황동 공주교육대학교를 1965년부터 1974년까지 다녔던 학생들 중심의 시 창작 동인회. 설립 동인은 윤석산, 이장희, 김용현, 이희일, 여인순, 김정임, 여남현, 홍영자, 강난순, 이재희, 최경순, 김국권 등 12인이었다. 그 후 매년 10명 안팎의 신입생들을 회원으로 받아들여 10년에 걸쳐 정강수, 조완수, 오길순, 김명수, 전민, 안홍렬, 송계헌,...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활동하였던 공주사범대학 학생들의 문학 동호회. 1975년 강제로 해산 당한 후 수요문학동인회라는 명칭의 단체는 없어졌다. 해산 이후 율문학회로 이름을 바꾸어 활동이 재개되었고, 다시 한누리문학회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수요문학동인회 출신 선배들은 이은수요문학회를 결성하여 몇 차례 작품집을 간행하며 꾸준히 활동을 해 오고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학생들이 결성한 문학단체. 회원들의 문학 창작 의욕 고취, 합평회를 통한 작품 수준 향상, 문학 활동을 통한 정서 순화 및 심성 훈련, 토론 능력과 글쓰기 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63년 3월 23일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학생들이 결성하였으며, 창간호 『로드』를 발간하였다. 1983년 『토요...
-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의 지부. 공주 지역에 거주하는 문인 및 출향 문인들의 문필 활동을 지원하고, 문학 작품 발표 지면을 확보하며,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문학적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1986년 공주문학회를 조직하고, 1987년 초대 회장에 임헌도, 부회장 한상각, 유동삼, 간사 나태주를 선임하였다. 1988년 한...
-
충청남도 공주시 유림들이 결성한 한시 동호회. 한시를 통해 옛 성현의 가르침을 오늘에 되살려 세상을 교화하고, 한시의 명맥을 발전, 부흥시킴으로써 전통 문화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964년 7월에 결성되었다. 초대회장에 송호(松湖) 노원선(盧元善), 부회장에 은산(隱山) 박노성(朴魯聲)이 추대되었다. 초기 회원들은 공주와 그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림과 한...
-
충청남도 공주 지역의 여성 문인들이 결성한 문학 모임. 공주여성문학회는 공주 지역의 여성 문인을 발굴하여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와 타지방 여성 문학회와의 교류를 촉진하여 공주 지역문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6년 4월 12일 이소자·이수일·이순구·이영이·주위출·최복주·최정숙 등이 주축이 되어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공주여성문...
문학작품
-
1651년(효종 2) 김홍욱(金弘郁)[1602~1654]이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여 공주감영에서 머물며 지은 한시. 「공산십경시」는 작자의 문집인 『학주전집(鶴洲全集)』5에 전한다. 김홍욱이 42세 때 당시 국정의 중요 정책이었던 대동법을 시행함에 있어, 적임자로 발탁되어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자 공주에 머물면서 주위의 뛰어난 자연경관을 읊은 것이다. 모두 10수로서 그 제...
-
1452년(문종 2)으로 추정되는 해에 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공주를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공주십경시」는 작자의 문집인 『사가집(四佳集)』에 전한다. 작가가 젊어서 공주를 유람하였는데, 이 때 집현전 학자 이개(李塏)[1417~1456]를 만나 연회를 베풀 때 시를 수창한 바 있으며, 또 계룡산의 「가섭암중신기(迦葉菴重新記)」를 1452년에 지었다는 기...
-
1455년(세조 1) 전후 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공주에 있는 연정(蓮亭)에서 지은 한시. 「공주연정」은 『사가집(四佳集)』4에 전한다. 서거정이 36세 전후 공주를 찾았을 때 마침 이개(李塏)[1417~1456]가 도착하여 함께 공주 객관의 정자인 연정에서 연회를 베풀며 시를 지어 유흥을 펼쳤다. 「공주연정」 역시 그 즈음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1371년 (공민왕 20)에 공주에 거주하던 이존오(李存吾)[1341~1371]가 지은 시조. 「구름이 무심탄 말이」는 시조집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한다. 이존오가 우정언의 직책에 있을 때, 공민왕의 신임을 등에 업고 국정을 전횡하며 풍속을 어지럽히는 신돈의 무리들을 탄핵하다가 장사(전라도 무장, 현 전라북도 고창) 감무로 좌천되었다. 뒤에 향리인 공주의 석탄(石灘...
-
1845년(헌종 11) 4월 은진송씨가 공주 지역을 유람하고 저술한 내방가사집. 내방가사는 주로 영남 지방 부녀자들에 의해 창작되어 출가하는 딸이나 조카딸에게 전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내방가사의 영남편재설이라 한다. 그러나 기호지방이나 충청 및 호남에서도 일부 내방가사 자료가 발견되어 전국분포설이 제기되고 있다. 『금행일기(錦行日記)』는 영남과 관련 없는 충...
-
1420~1430년경 남수문(南秀文)이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위치한 독락정의 건립 배경과 경관 및 그 의의에 대해 쓴 기문(記文) 형식의 글.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조선시대에는 삼기면이라 함.)에 고려 후기의 충신인 전서공 임란수(林蘭秀)[1342~1407] 장군의 둘째 아들 임목(林穆)[1371~1448]이 독락정을 건립하였다. 임목은 이 정자에 대한 기문을 아들 뻘...
-
1377년(우왕 3) 정도전이 유배 생활을 마치고 옛집으로 돌아오는 중에 공주의 금강루에 올라 지은 한시. 「제공주금강루」는 작자의 문집인 『삼봉집(三峰集)』 및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권 17, 공주조에 실려 있다. 정도전이 1375년(우왕 원년)에 친원정책을 반대하여 나주로 유배되었다가, 2년 후에 해배되어 상경하는 길에 금강루에 올라 고향으로 돌아가는...
-
1647년(인조 25) 신유가 공주 일원의 명승고적 가운데 10곳을 골라서 지은 한시. 「후공주십경시」는 작자의 문집인 『죽당집(竹堂集)』에 전한다. 신유가 38세 때 공산현감으로 부임하였는데, 이때 공주 일원의 명승고적 중 10곳을 택하여 시를 지었다. 후십경시(後十景詩)라 한 것은 2백 년 전에 서거정이 지은 「공주십경시」가 있기에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된...
-
1764년(영조 40) 공주 출신인 김인겸이 일본을 다녀오고 지은 장편 기행가사. 「일동장유가」는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석장리 출신인 김인겸이 조엄(趙曮)을 정사로 하는 일본 통신사의 삼방서기(三房書記)로 수행하여 일본 에도(江戶, 오늘날 東京)까지 11개월 동안(1763. 8. 3~1764. 7. 8)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일본의 문물, 제도, 인물, 풍속 등을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