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373
영어공식명칭 Oak
이칭/별칭 도토리나무,보춤나무,상목,작목,참나무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보호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창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보호수 지정 일시 1979년 4월 1일연표보기 - 상금리 상수리나무 부여군 보호수 143호 지정
보호수 지정 일시 1982년 1월 14일연표보기 - 은산리 상수리나무 부여군 보호수 124호 지정
소재지 상금리 상수리나무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 산139-1 지도보기
소재지 은산리 상수리나무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지도보기
학명 Quercus acutissima CARRUTH.
생물학적 분류 피자식물문〉쌍자엽식물강〉이판화아강〉참나무목〉참나무과〉참나무속
수령 370년[상금리 상수리나무]|220년[은산리 상수리나무]
관리자 규암면장[상금리 상수리나무]|은산면장[은산리 상수리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부여군 143[상금리 상수리나무]|부여군 124[은산리 상수리나무]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은산면 은산리에 있는 수령 370년과 수령 220년의 상수리나무.

[개설]

상수리나무는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서 도토리나무, 보춤나무, 상목, 작목, 참나무라고도 한다. 상수리나무의 열매는 상수리라고 하지만 요즘은 구분하지 않고 참나무속 나무의 열매들은 모두 도토리라 부른다. 부여군에는 부여읍 상금리은산면 은산리에 있는 두 그루의 상수리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으며 모두 정자목(亭子木)이다.

[형태]

상수리나무는 높이 20~25m, 지름은 1m까지 자란다. 긴 타원형의 잎은 길이가 10~20㎝이고 침상의 예리한 톱니가 있다. 상수리나무의 잎은 밤나무 잎과 비슷하지만 톱니 끝에 엽록체가 없는 점이 다르다. 수피(樹皮)는 회흑색이고 작은 가지에는 잔털이 있으나 자라면 없어진다. 심재(心材)는 엷은 적갈색이며 나뭇결이 거칠고 잘 갈라진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함께 달리는 일가화(一家花)이며 5월에 핀다. 열매인 도토리는 당해에 성숙하지 않고 이듬해 봄부터 수정과 성숙을 시작하여 10월경에 맺는다. 햇빛이 풍부한 곳에서 잘 자라며 건조한 땅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상수리나무는 한반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나무이다. 도토리가 달리는 나무를 통틀어서 흔히 참나무라고 하는데, 상수리나무도 참나무에 속하는 나무이다. ‘상수리’라는 이름이 붙여진 데는 몇 가지 설이 있다.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宣祖)[재위 1567~1608]가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난을 갔는데, 이때 도토리묵에 맛을 들였다고 한다.

환궁 이후에도 도토리묵이 가끔 수라상에 올랐는데, 수라상에 올린다는 뜻으로 ‘상수라’라고 하다가 ‘상수리’가 되었다고 한다. 또는 ‘상수리’의 한자 이름인 상실(橡實)에 ‘이’가 붙어 ‘상실이’라고 부르다가 ‘상수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 초입의 마을회관 앞에 있는 상수리나무가 서 있는 곳은 과거 서낭당과 서낭 숲으로 이루어진 곳이었으나 현재는 숲은 사라지고 상수리나무 한 그루만 남아 있다. 또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 있는 ‘중말’이라는 마을 사람들은 양지 바른 남향 야산에 상수리나무를 많이 심었다. 상수리나무들이 모여 숲을 이루었는데, 현재는 고목이 된 상수리나무 한 그루만 남아 있다.

상수리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들은 도토리를 많이 맺는데, 가뭄으로 흉년이 들면 오히려 도토리가 더 많이 달린다. 때문에 예로부터 도토리는 구황 식량으로 귀하게 쓰였다. 또한 다른 참나무류에 비하여 상수리나무는 비교적 빨리 자라고 곧은 줄기를 가지며, 단단하고 잘 썩지 않아 건축 재료부터 농기구, 숯의 재료까지 두루 쓰였다.

[현황]

부여읍 상금리에 있는 상수리나무는 1979년 4월 1일 부여군 보호수 143호로 지정된 수령 370년의 나무이다. 높이는 18m, 둘레 4.2m이다. 관리자는 규암면장이다. 은산면 은산리에 있는 상수리나무는 1982년 1월 14일 부여군 보호수 124호로 지정된 수령 220년의 나무이다. 높이는 25m 둘레 2.7m이다. 관리자는 은산면장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