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363
한자 植物相
영어공식명칭 Flora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창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분포하는 모든 식물의 종류.

[개설]

「금강 수계의 식물상 비교 연구」[2009], 『제3차 전국 자연 환경 조사 보고서』[2009], 『한국 관속식물 분포도』[2016], 『제4차 전국 자연 환경 조사 보고서』[2017] 등의 문헌을 종합하였을 때, 충청남도 부여군에는 109과 287속 388종 8아종 35변종 4품종 1잡종 등 총 436분류군의 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지리적 특성]

충청남도 부여군은 한반도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속하며, 한반도 산림대 중 온대중부림에 해당된다.

지형을 살펴보면 북서쪽은 차령산맥의 여맥이 지나면서 산지를 이루고 남동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진다. 북서부는 대체로 해발 400m 이상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문봉산, 만수산, 성태산, 감봉산, 아미산, 월명산, 월하산 등이 있다. 남쪽과 동쪽으로는 하천과 함께 평야 지대가 발달되어 있고, 하천으로는 금강이 부여군의 동부에서 곡류하여 북에서 남으로 흐르며, 그 밖에 금천, 구룡천, 은산천, 석성천 등이 있다.

연평균 기온은 12.4℃로 가장 무더운 달인 8월 월평균 기온은 25.7℃,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월평균 기온은 -1.5℃이며 연교차는 27.2℃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26.6㎜이며 여름철 강수량은 737.6㎜으로 연강수량의 57%를 차지한다.

부여군은 지리적으로 남부와 중부가 만나는 지점으로서, 두 지역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진 식생이 나타난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남부 지방 식물의 북상 추이를 관찰할 수 있는 지역이라는 중요성이 있다.

[식물상]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의 식물상은 문헌을 살펴보면 「금강 수계의 식물상 비교 연구」에서 57과 137분류군, 『한국 관속식물 분포도』에서 43과 101분류군, 『제3차 전국 자연 환경 조사 보고서』에서 80과 249분류군, 『제4차 전국 자연 환경 조사 보고서』에서 96과 298분류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네 문헌을 종합하여 보면 부여군에 생육하는 식물은 모두 109과 436분류군임을 알 수 있다. 부여군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들을 특산 식물과 희귀 식물, 귀화 식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특산 식물이란 한반도의 자연환경에 적응, 진화하여 온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유일하고도 독특한 식물을 말한다. 부여군에는 개나리, 구상나무, 병꽃나무, 오동나무, 은사시나무, 좀땅비싸리, 할미밀망, 해변싸리 등의 특산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부여군의 특산 식물 가운데 개나리와 구상나무는 자생적으로 자라난 것이 아니라 등산로 주변에 식재된 것이다. 병꽃나무와 은사시나무는 부여읍 용정리 청마산 인근의 계곡과 숲 가장자리, 오동나무는 부여읍 용정리 인근, 해변싸리는 초촌면 인근, 할미밀망은 석성면 현내리 용머리산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희귀 식물은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자생지의 식물, 특히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적거나 감소하여 보전이 필요한 식물이다. 종의 지리적 분포 영역, 서식지의 특이성 정도 및 지역 집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희귀성의 범주를 설정한다. IUCN[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는 희귀 식물 목록을 위한 평가 카테고리를 야생에서의 멸종[EX, Extinct], 멸종 위기종[CR, Critically Endangered], 위기종[CR, Critically Endangered], 취약종[VU, Vulnerable], 약관심종[LC, Least Concern] 및 자료 부족종[DD, Data Deficient]으로 분류하고 있다.

부여군에 자생하는 희귀 식물은 모두 약관심종[LC]으로 물질경이, 자라풀, 창포, 과남풀 등 4종의 생육이 확인된다. 물질경이는 제3차 전국 자연 환경 조사[2009]에서 규암면 옥천산과 수리봉 일대에 생육이 확인되었으나, 4차 전국 자연 환경 조사[2017]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농지 정리 등으로 인하여 생육지가 교란되었거나 기타 다른 사유로 인하여 사멸한 것으로 판단된다. 4차 전국자연 환경 조사에서 과남풀이 기록되어 있으나, 과남풀은 북방계 식물로서 주로 강원도나 지리산 인근의 고산 지역에 생육하는 식물이므로, 잘못 관찰된 것이거나 식재된 식물일 것으로 추정된다.

귀화 식물은 사람 등에 의하여 의식적이든 무의적이든 인위적으로 우리 나라로 유입되어 우리 나라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는 식물을 말한다. 부여군의 귀화 식물은 15과 27속 34종이 보고되어 있다. 부여군의 귀화 식물 중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은 국내 생태계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어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다. 생태계 교란 생물인 돼지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는 부여군에서 주로 초지나 하천변 등 외부 요인에 의하여 식생의 변화가 흔히 나타나는 지역에서 주로 관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