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349 |
---|---|
한자 | 大韓光復團 |
영어공식명칭 | Daehangwangbokdan(Corps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
이칭/별칭 | 풍기광복단,광복단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권대웅 |
설립 시기/일시 | 1913년 1월 - 대한광복단 결성 |
---|---|
해체 시기/일시 | 1915년 7월 15일 - 대한광복단 해체 |
개칭 시기/일시 | 1915년 7월 15일 - 대한광복단에서 대한광복회로 발전 |
최초 설립지 | 대한광복단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
성격 | 독립운동단체 |
설립자 | 채기중|전원식|정성산 등 |
[정의]
1913년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채기중을 중심으로 설립된 항일 비밀결사.
[개설]
대한광복단(大韓光復團)은 1913년 1월 채기중(蔡基中)을 비롯해 전원식(全元式)·정성산(鄭星山) 등 10여 명이 경상북도 풍기군[지금의 영주시 풍기읍]에서 결성한 비밀결사조직이다.
[설립 목적]
1910년 한일합방과 함께 의병투쟁이나 계몽운동을 전개했던 민족지사들은 국권 회복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따라서 1910년 이후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참여하려는 민족지사들의 만주 이주는 계속 이어졌고, 한편으로는 만주로 건너갔던 민족지사들이 국내로 잠입하여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따른 인적·물적 지원을 목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과정에서 대한광복단을 비롯해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민단조합(民團組合),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 등과 같은 비밀결사조직이 국내에서 결성되었다.
[변천]
대한광복단은 풍기에서 결성한 비밀결사 조직으로 전국의 의병장 및 용력(勇力)을 갖춘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주요 단원으로는 채기중[상주]·유창순(庾昌淳)[천안]·류장렬(柳璋烈)·한훈(韓焄)[청양]·강순필(姜順必)[혹 강병수(姜秉秀), 풍기]·김병렬(金炳烈)·정만교(鄭萬敎)·김상오(金相五)·정운홍(鄭雲洪)[괴산]·정진화(鄭鎭華)[예천]·장두환(張斗煥)[천안]·황상규(黃尙奎)[밀양]·이각(李覺) 등이 있다. 이들은 대한광복단 결성 초기 단원들로 의병 출신 인물이거나 『정감록(鄭鑑錄)』에서 십승지지로 지목한 풍기를 찾아 우거한 인사들이다. 특히 의병 출신의 강순필·정진화 등 경북 북부 지역 출신자들은 이강년 의진의 의병이었고, 유창순·한훈 등은 민종식(閔宗植)의 홍주의진(洪州義陣) 출신의 의병이었다. 대한광복단은 1915년 7월 15일 대구에서 결성된 조선국권회복단의 일부 인사와 결합하여 대한광복회로 발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한광복단은 혁명기관을 표방하였다. 혁명기관이란 무력투쟁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겠다는 독립운동 단체를 뜻한다. 1911년 전개된 중국의 신해혁명과 같이 새로운 국가 건설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대한광복단은 국내에서 군자금 및 청장년을 모집하여 만주 독립운동기지 건설을 지원하였다. 특히 이들은 서간도에 독립운동기지를 개척하던 망명 지사들과 직접 연락을 취하며 왕래하였고, 일본인이 경영하는 광산이나 친일 부호를 대상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국내에 기반을 둔 독립운동 단체가 비밀결사활동을 통해 국외의 독립운동기지를 지원함으로써 항일독립운동의 국민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투쟁 방략에 따른 것이었다.
[의의와 평가]
1910년대 만주 독립운동기지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국외 독립운동 세력과 연락을 취하며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다. 국외의 독립운동기지를 지원함으로써 항일독립운동의 국민적 기반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