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0310
한자 獻花歌
영어음역 Heonhwaga
영어의미역 Heonhwaga, Native Song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심현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가
작가 소를 끌고 가는 노인
창작연도/발표연도 702년~737년[신라 성덕왕대]

[정의]

702년~737년 신라 성덕왕대에 소를 끌고 가는 한 노인이 지었다는 4구체 향가.

[개설]

「헌화가」일연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권2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전한다.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로 부임하던 길에 그의 부인 수로가 바닷가의 천 길이나 되는 절벽 위에 핀 철쭉꽃을 탐내었다. 마침 소를 몰고 그곳을 지나던 한 노인이 벼랑에 올라 꽃을 꺾어 바치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 노인은 누구인지 알 수 없고, 수로부인은 절세미인이었다고 전해진다.

[구성]

「헌화가」의 설화 구조는 다섯 장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발단은 순정공이 수로부인과 함께 바닷가에 나간 행차 이야기이고, 전개는 수로부인이 높은 암벽 위의 꽃을 갖기를 희망한 절화 요청담이며, 위기는 종자들이 아무도 오를 수 없는 암벽이므로 꽃을 꺾어다 바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절정은 헌화담이고, 결말은 노옹의 신분을 확인할 수 없다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꽃을 꺾어다 준 노인을 선승(禪僧)이나 도교의 신선(神仙)으로 보는 설이 있는가 하면, 수로부인을 무당(巫堂)으로 보는 설도 있다. 또는 수로부인의 이야기가 꿈이라 여겨 수로를 보통사람이 아닌 샤먼이라고 하는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이 설화의 다섯 가지 장면은 다분히 제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헌화가」가 탄생된 원인을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용]

「헌화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길가에 소를 끄는 노인이 있어 / 암소 끌고 지나는 이였네 / [수로]부인의 말을 듣고 / 그꽃을 꺾어 바치면서(傍有老翁牽 牸牛而過者 聞夫人言 折其花 亦作歌詞獻之).”

「헌화가」의 의미와 성격에 대한 견해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내용 자체만으로 해석하여, 한 늙은이가 지체 높은 귀족여성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노래한 작품이라 생각할 수 있다. 노인의 몸인데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여인을 위해 목숨을 걸고, 벼랑 끝의 꽃을 꺾어 바치는 노인의 순수성을 느낄 수가 있다.

즉, 인간적 욕망과 관련된 세속적 노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의 존재를 인간의 차원을 넘어선 신비의 인물로 간주할 때, 신화적 인물이 여성의 아름다움에 바치는 사랑의 노래, 즉 신들이 인간의 아름다움에 바치는 아름다움의 예찬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무속적 제의와 관련된 굿 노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삼국유사』에는 순정공이 부인과 함께 갔다는 사실이 강조되어 있고, 부인 때문에 갖가지 사건이 벌어졌다. 물길을 뜻하는 ‘수로’라는 이름을 가진 부인은 용모가 아름다워서 궁벽한 곳을 지날 때마다 귀신 따위에게 빼앗기곤 하였다. 이 점은 수로부인이 무당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자아내게 한다. 민심이 소란하자 순정공은 힘으로 다스리고, 부인은 굿으로 다스리기 위해서 두 사람이 함께 갔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그렇게 보았을 때 「헌화가」는 굿을 하면서 부른 무가일 수 있다. 그러나 헌화가를 이해하는 데에는 자체로서의 해석을 넘어 당시의 시대 상황과 노래가 불려졌을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헌화가」에 이어 수록되어 있는 「해가(海歌)」가 등장인물과 시대, 지역 면에서 유사하기 때문에 「해가」와의 연관성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곧 길을 떠난 순정공 일행은 그 뒤 이틀을 또 가다가 ‘임해정(臨海亭)’에서 점심을 먹을 때였다. 갑자기 바다에서 거북[해신(海神) 또는 용신(龍神)]이 나타나 부인을 붙잡아 바다로 들어갔다.

순정공이 땅에 주저앉아 발을 구르고 있었으나 어찌 할 수 없었다. 이때 한 노인이 나타나 “옛 사람이 말하기를 여러 사람의 입은 쇠붙이도 녹입니다. 지금 바다 속의 짐승이라도 어찌 뭇 사람의 입을 두려워하지 않겠습니까. 마땅히 관할 내의 백성들을 내어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기로 언덕을 치면 부인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공이 이를 쫓아하니 용은 부인을 받들고 바다에서 나와 순정공에게 바쳤다.

이때 부른 노래가 「해가」인데, 다음과 같다.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 남의 부인를 앗아간 죄 얼마나 큰 것인가 / 네 만약 거슬러 내놓지 않으면 / 그물로 잡아 너를 구워 먹으리(龜乎龜乎出水路, 掠人婦女罪何極, 汝掠悖逆不出獻, 入網捕掠燔之喫).”

이를 당시의 역사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보면, 낙향한 귀족이거나 또는 중앙의 신임을 받는 6두품 이상의 관리인 순정공이 지방관찰을 위해 부임하는데 토착 세력과의 마찰이 있었다는 내용이다. 「해가」에 등장하는 해룡을 성덕왕 때 명주 지방에서 막강한 세력과 부를 가지고 있던 유정과 연화부인 박씨 등 지방 토착세력으로 보고, 노옹을 지방 세력의 반발을 막아낸 지혜로운 늙은이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당시 역사에 「해가」와의 연관성을 접목시킨 의미 있는 해석이다.

어쨌든 여기의 배경 설화는 동해안 어느 바닷가에서 펼쳐졌는데,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는 공의 부인이 바닷가의 험하고 높은 절벽 위에 만발한 철쭉꽃을 갖고자 하자 어떤 노인이 꺾어다가 부인에게 드리면서 「헌화가」라는 노래를 지어 바친 사건으로, 지금의 울진과 삼척 사이에서 일어난 일로 추정된다. 후반부는 임해정이라는 곳에서 해룡이 공의 부인을 잡아가므로 공이 노인의 말에 따라 사람들로 하여금 「해가」를 부르게 하고 해안을 막대기로 치게 하자, 용이 부인을 다시 바쳤다는 사건으로, 지금의 강릉에서 일어난 일로 판단된다.

두 노래 모두 『삼국유사』에 전한다. 「헌화가」는 향찰로 전하고, 「해가」는 한역되어 전한다. 모두 아주 간결하면서도 낭만적인 멋을 지닌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헌화가」는 그 배경이 동해안으로, 특히 지역적 특성으로 보아 울진과 삼척 사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러므로 다분히 설화적인 내용이 많지만, 당시 이 지역의 역사적 상황을 유추할 수 있는 귀중한 향가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