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도도호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451
한자 珍島都護府
영어음역 Jindo Dohobu
이칭/별칭 진도부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정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지연도/일시 1874년연표보기

[정의]

조선 후기 진도에 설치된 도호부.

[개설]

조선은 1413년(태종 13)에 지방제도를 정비하면서 종래 각 도의 단부관(單府官)을 도호부로 고치고 종3품의 도호부사를 두었다. 1415년에는 군 가운데 1,000호 이상인 것은 도호부로 승격시켰다.

본래 중국에서는 군사적인 성격이 강하여 주로 변경에 설치되었으나 고려·조선시대에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었다. 도호부의 수는 후기에 갈수록 증가해 세종 초에 38읍이던 것이 중종 때 45읍, 고종 때에는 75개 읍으로 격증되었다. 읍격(邑格)상 목사와 군수의 중간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1894년에 군으로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제정배경 및 목적]

1860년 북경이 영·불 연합군에 점령당하고 양인들의 근해 침략이 시작되고 있었다. 186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으면서 남해안의 요충지인 진도의 방위력을 높이기 위해 1866년 종4품 진도군수를 종3품 도호부사 품계로 올려 거진(巨鎭)을 삼았다.

[변천]

진도도호부로 승격되자 진도부사는 영광·함평·영암·해남 등의 네 고을의 군수와 금갑·남도·임자·이진·어판·목포·지도·다경·마량 등의 9진 만호를 지휘하는 병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해남군의 화원면이 진도부에 편입되었고 군내면은 부내면이 되어 1917년까지 부내면을 유지하였다. 1874년 흥선대원군 실각 후 진도도호부는 군으로 다시 강등되었다.

그러나 1889년 최병두(崔炳斗) 군수 이후 1895년 부임한 이전(李琠) 군수까지 5명이 부사 발령을 받았다. 또한 동학농민전쟁 당시 이희승(李熙昇) 군수도 부사 발령을 받아 그의 비에 부사로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