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10816 |
---|---|
한자 | 全州李氏 |
영어음역 | Jeonju Yissi |
영어의미역 | Jeonju Yi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집필자 | 김동전 |
입향시기/연도 | 1503년(연산군 9)|1519년(중종 14)|1596년(선조 29)|1610년(광해군 2)|1674년(현종 15)|1697년(숙종 23) |
---|---|
성씨시조 | 이한(李翰) |
입향시조 | 이팽형(李彭馨)|이광빈(李光賓)|이부실(李富實)|이수억(李壽億)|이행|이승문(李承文)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팽형 등을 입도조로 하는 제주의 세거 성씨.
전주이씨의 시조는 신라 때 사공(司空) 벼슬을 지낸 이한(李翰)으로, 태종무열왕의 10세손인 김은의(金殷義)의 딸을 아내로 맞아 일가를 이룬 우리나라 성씨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대성(大姓)이다.
① 이행은 시조 이한(李翰)의 28세손이며 중시조 이성규(李成楏)의 7세손이다. 1503년(연산군 9)에 형님인 연산군의 폭정을 직간(直諫)하다가 제주에 유배되었다.
② 이승문(李承文)은 시조 이한(李翰)의 24세손이며 효령대군 이보(李𥙷) 5세손이다. 기사사화에 연루되어 1519년(중종 14)에 제주목 화북리에 유배 정착되었다. 그러나 유배된 지 6년만에 32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③ 이팽형(李彭馨)은 시조 이한(李翰)의 33세손이며 중시조 이성규(李成楏)의 11세손이다. 1576년(선조 9)에 경기도 고양군에서 이덕인(李德仁)의 아들로 출생하여 18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증조 이류(李瑠)가 1545년(명종 1) 을사사화 때 윤원형의 무고로 참화를 당하여 가문이 큰 타격을 입고 조부 이회(李誨)와 아버지 이덕인(李德仁)에 이르기까지 집안이 수난을 입게 되자, 1596년(선조 29)에 세속의 명리를 떠나 제주에 입도 낙향하였다. 20세에 제주에 낙향한 후에는 후학을 가르치는데 전념하다가 30세의 젊은 나이에 죽었다.
④ 이광빈(李光賓)은 중시조 이성규(李成楏)의 11세손이며, 파조 효녕대군(孝寧大君)의 8세손이다. 1610년(광해군 2) 제주목사로 도임하는 종형(從兄) 이기빈을 따라 왔다가 제주목 한경면에 정착하였다. 한경면 저지리 장과동(長窠洞)에 묻혔다.
⑤ 이부실(李富實)은 시조 이한(李翰)의 35세손이며 중시조 이성계(李成桂)의 13세손이다. 한양에서 출생하여 무과에 급제하고 절충장군(折衝將軍) 겸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국정이 어지러워지자 1674년(현종 15)에 벼슬을 버리고 부인 김씨와 함께 낙향하여 한림읍 대림리에 정착하였다. 입도 후에는 학덕을 베풀면서 유유자적하였다.
⑥ 이수억(李壽億)은 시조 이한(李翰)의 34세손이며 중시조 이성규(李成楏)의 12세손이다. 숙종이 장희빈의 소생을 동궁으로 책봉하고 인현왕후 민씨를 폐하는 등 기강이 문란해지자 내군외감(內君外監)의 신분으로 임금의 전횡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자 1697년(숙종 23)에 벼슬을 버리고 정의현 성읍리에 낙향입도하였다.
제주도에 거주하는 전주이씨는 성종 임금의 아들인 계성군파(桂城君派)·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그리고 중종 임금의 둘째 아들 해안대군파(海安大君派)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 성종 제2 왕자 안양군파(安陽君派) 등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