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공맞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569
한자 二公-
영어음역 Igong Maji
영어의미역 Service for the Flower God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현용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굿의 제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행해지는 큰굿 중 이공신을 맞아들여 소지를 올리는 제차.

[개설]

이공신은 서천꽃밭에서 생불꽃, 환생꽃, 멸망꽃 등 여러 가지 주화(呪花)를 관장하여 키우는 신이다.

[절차]

큰굿 때 이공 본풀이 다음에 이공맞이가 행해진다. 우선 수심방이 초감제를 한 후 질침으로 들어가는데, 이때 순서는 다른 맞이굿과 같다. 즉 푸른 댓가지로 길을 만드는 일 없이 노래로만 길을 치워나간다.

그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좌·우도 길을 돌아보고, 잡초와 잡목이 무성한 길이라 하여 잡초와 잡목을 언월도(偃月刀)로 베고, 베어놓은 잡초와 잡목을 작대기로 치운다. 그런 다음 그 그루터기를 따비로 파고, 발로 골라 고르게 해놓은 다음에 구르는 돌을 삼태기로 치운다.

울퉁불퉁한 길은 미레깃대로 밀어 고르고, 너무 마른 땅이 되었으니 물을 뿌리고, 너무 많이 뿌려진 곳에 띠를 뿌려 마르게 한다. 또한 띠 위에 나비가 난다 하여 종잇조각(나비)을 날리고, 그 위에 다리를 놓는다며 흰 무명을 깐다.

그러고 나서 올구멍, 실구멍을 메운다 해서 시루떡 가루를 뿌리는 과정을 노래와 행동으로 한 뒤 길을 치워 닦고, 신을 맞이하여 소지를 올린다. 그리고 신을 사당클의 본상으로 메어들어 석살림을 하고 끝낸다.

[현황]

예전에는 위와 같이 질침을 한 후 ‘이공이 전상법’을 했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심방이 석살림을 하기 전에 몸을 발발 떨면서 몸이 아픈 척한다. 그러다가 떡을 왼쪽 머리에서 발끝까지 덮었다가 내리고, 또 오른쪽 머리에서 발끝까지 덮었다가 내리면서 아픈 데를 고치는 행위를 전개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이 전상법이 없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