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서 출토된 고대 탐라 전기의 토기. 곽지리식 토기는 이전 단계인 무문 토기와 성형 기술상 크게 다르지 않다. 토기를 성형할 때 회전판을 이용한 흔적은 전혀 보이지 않으며, 쌓아 올린 점토대의 이음새도 매끄럽게 손질되지 않은 예가 많다. 또한 입술면이 정연하게 마무리된 것이 드물고 바닥에서 동체로 이어 올려 빚은 방식은 전 단계의 무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오라동 일대에 있는 선사시대에서 고대에 해당하는 생활 유적. 제주시를 아우르고 있는 하천인 한천·병문천·산지천 중에서 탐라 시대에 중심이 된 하천은 한천이다. 한천 주변에는 10만여 평에 가까운 고대 마을터·옹관묘·석곽묘·9기의 고인돌·제사 유적 등이 남아 있다. 이 유적들과 유물의 분석을 통해 한천 주변에는 탐라 시대에 거점 취락...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를 이어 나타나는 철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한 시대. 철기 시대는 크게 둘로 분류된다. 그것은 초기 철기 시대[청동기 시대 후기, 철기 시대 Ⅰ]와 원삼국 시대[철기 시대 Ⅱ, 삼국 시대 전기]로 구분된다. 초기 철기 시대는 기원전 3세기경 한반도와 중국 북방 지역과의 철기 문화 접촉에서 출발한다. 철기의 출현은 중국 하북성 북부에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