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역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693
한자 驛院
영어음역 Yeogwon
영어의미역 Road System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박용국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지역에서 고려 시대부터 1894년까지 운영되었던 교통·통신 및 숙박 시설.

[개설]

역원(驛院)은 역관(驛館), 역참(驛站), 우역(郵驛)이라고도 한다. 역은 역마(驛馬)와 역로(驛路)를 관리하고, 공무로 지방을 다니는 관리에게 역마와 숙식 등을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우리 역사에서 역원제의 시초는 487년(소지왕 9) 신라 소지왕(炤知王) 대 우역(郵驛)의 설치에서 찾을 수 있다. 통일 신라 시대 지방 통치 체제가 재정비되고, 공무나 교역 및 여행에 나선 사람들이 증가함으로써 역원제의 기능이 서서히 커졌으며, 고려 시대에 오면서 더욱 발달하였다.

오늘날 하동군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이미 고려 시대에 산남도(山南道)의 28개 역 가운데 정수역(正守驛)·율원역(栗院驛)·횡포역(橫浦驛)·평사역(平沙驛)이 두어져 있었다. 이를 이어 조선 시대에도 하동 지역의 역으로 정수역·평사역·횡포역·율원역·마전역(馬田驛)·양포역(良浦驛)이 있었으며, 원으로 횡포원(橫浦院)과 노량원(露梁院) 두 곳이 있었다.

[역]

역(驛)은 공문서의 전달과 관리의 왕래, 숙박 및 공물 진상 등의 관물 수송을 담당하던 곳으로 참(站)과 같은 뜻으로 사용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고려 시대의 역원제를 재정비·강화하여 전국에 걸쳐 540여 개의 역을 대·중·소로 등급을 정하여 간선·지선에 설치하였다. 역에는 역원(驛員)을 배치하였는데, 1508년(중종 3)에는 역의 책임자를 별감(別監)에서 찰방(察訪)으로 개칭하여 종6품으로 봉하였고, 1627년(인조 5)에는 찰방을 정6품으로 승진시켜 더욱 조직을 강화하였다.

역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변서(邊書)의 통신만을 위주로 하는 파발제(擺撥制)라는 새로운 통신 방법이 도입되면서 봉수제와 아울러 차츰 쇠퇴하였다. 개항 이후 1884년(고종 21) 우정국이 들어서고 1887년(고종 24) 근대적 통신 제도인 우사가 각 역을 중심으로 신설되면서 기능을 잃고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다.

[원]

원은 각지의 요로(要路)나 인가가 드문 곳에 설치하여 관원만이 아니라 일반 여객들에게 숙식의 편의를 제공하는 일종의 여관이었다. 한편으로 임금이 비상시에 원을 이용하기도 했으며, 관찰사가 고을을 순행할 때 숙식이나 마필을 교체하거나 민심 파악과 수령들에 관한 내사(內査) 자료를 얻는 장소이기도 하였다.

성종(成宗) 때에는 공무 여행자를 위한 관(館)이 설립되었다. 원은 고려 시대부터 있었으나 조선 초기에 제도상의 발전을 이루었고, 기존의 사원이나 역원만이 아니라 개인의 주택이나 누정을 원으로 개조하여 쓰는 경우도 있었다. 역과 마찬가지로 임진왜란 이후 점차 본래의 기능을 잃고 대부분 주막이나 주점 등으로 전락하거나 사라졌다.

[관련 기록]

고려 시대 하동 지역에는 산남도(山南道)의 28개 역 가운데 4개의 역이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권82, 병지(兵志) 참역조(站驛條)에는 진주목의 정수역, 하동현율원역·횡포역, 진주의 속현인 악양현평사역이 보인다. 1425년에 편찬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하동현의 역조(驛條)에는 “역이 세 곳인데, 횡포·율원·마전이다”라고 나오며, 진주목의 역조에는 오늘날 하동 지역에 해당하는 역이 정수역평사역이 나온다. 양포역은 『경상도지리지』에 언급되지 않았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경상도조(慶尙道條)에는 소촌도 승(丞)이 관할하는 22개의 역 가운데 오늘날 하동 지역에 두어졌던 역으로 정수·평사·횡포·율원·마전역이 보인다. 그런데 『세종실록지리지』 하동현의 역조에는 “역이 3개인데, 횡포·율원·마전이다”라고 하였다. 진주목 역조에도 오늘날 하동 지역에 해당하는 정수역평사역이 언급되고 있다.

『세조실록(世祖實錄)』에 따르면 1462년(세조 8) 8월 5일 병조(兵曹)의 건의로 각도의 역참(驛站)을 파하고 역로(驛路)를 정비하여 찰방(察訪)과 역승(驛丞)을 두었다. 이때 하동 지역에는 사근도(沙斤道) 역승이 관할하는 15곳 속역에 포함되는 평사역·정수역·율원역·마전역·횡보역, 소촌도(召村道) 역승이 관할하는 16곳 중 하나인 양포역이 두어졌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31, 경상도 하동현의 역원조에 “마전역 현 북쪽 16리 지점에 있다. 율원역 현 동쪽 23리 지점에 있다. 횡포역 현 서쪽 29리 지점에 있다”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0, 경상도 진주목 역원조에 “정수역은 주(州)로부터 서쪽으로 54리에 있다”라고 하였으며, 곤양군의 역원조에 “양포역은 현의 서쪽 25리 지점에 있다”라고 나온다. 하동 지역의 원에 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1, 경상도 하동현의 역원조에 “횡포원(橫浦院) 횡포역 동쪽 1리 지점에 있다”라고 하였으며, 곤양군의 역원조에 “노량원(露梁院)은 노량 북쪽 언덕에 있다”라고 밝혀 놓았다.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경상도 하동부읍지의 역원조에 “횡포역은 부로부터 동쪽으로 20리에 있는데, 동쪽으로 마전역이 10리, 동쪽으로 율원역이 30리, 서쪽으로 평사역이 40리 떨어져 있으며, 중마 3필·복마 8필·역리 18인이다. 마전역은 부로부터 동쪽으로 30리에 있는데, 동쪽으로 율원역이 20리, 서쪽으로 횡포역이 10리, 서쪽으로 평사역까지 50리 떨어져 있으며, 중마 2필·복마 5필·역리 14인이다.

평사역은 부로부터 서쪽으로 30리에 있는데, 동쪽으로 횡포역이 50리, 서쪽으로 전라도 구례의 잔수역(潺樹驛)이 70리 떨어져 있으며, 중마 1필·복마 4필·역리 20인이다. 율원역은 부로부터 동쪽으로 50리에 있는데, 서쪽으로 마전역이 20리, 서쪽으로 평사역이 70리 떨어져 있으며, 중마 2필·복마 5필·역리 10인이다”라고 하였다.

『여지도서』 경상도 진주목 역원조에 “정수역은 주로부터 서쪽으로 50리에 있다. 동쪽으로 평거역이 40리, 서쪽으로 하동 횡보역이 30리, 남쪽으로 곤양 봉계역이 20리, 북쪽으로 소남역이 30리 떨어져 있으며, 중마 2필·복마 8필·역리 235인·노 102명·비 45구이다. 평사역은 주로부터 서쪽으로 119리에 있으며, 지금은 하동에 속한다”라고 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