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93
한자 柳泗
영어공식명칭 Yoo Sa
이칭/별칭 중연(仲沿),설강(雪江)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02년연표보기 - 유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22년 - 유사 진사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28년 - 유사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48년 - 유사 호가정(浩歌亭) 건립
몰년 시기/일시 1571년연표보기 - 유사 사망
출생지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호가정(浩歌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본덕동 1]지도보기
사당|배향지 경열사(景烈祠) -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산 176 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서산(瑞山)
대표 관직 전라도사|낙안군수|무장현감

[정의]

조선 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전라도사, 낙안군수, 무장현감 등을 역임하고, 호가정을 건립한 문신.

[가계]

유사(柳泗)[1502~1571]의 본관은 서산(瑞山)이며, 자는 중연(仲沿), 호(號)는 설강(雪江)이다. 할아버지는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유정(柳汀), 아버지는 유희송(柳希松)이고, 어머니는 심규(沈珪)의 딸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부인은 이한(李翰)의 딸 적성이씨(積城李氏)이다.

[활동 사항]

유사는 1502년(연산군 8) 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에서 태어났으며, 1522년(중종 17) 진사에 입격하였고, 6년 뒤인 1528년(중종 23) 별시에서 병과 4위[전체 6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문집인 『설강유고(雪江遺稿)』에 의하면 유사는 무장현감(茂長縣監)을 비롯하여 전라도사(全羅都事), 낙안군수(樂安郡守), 삭주부사(朔州府使), 종성부사(鍾城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그런데 유사가 역임한 관직 목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두 외직만을 맡은 것이 특이하다. 『명종실록(明宗實錄)』에서는 1547년(명종 2) 유사를 낙안군수로 지칭한 것이 확인되며, 중앙 관직명은 보이지 않는다. 송병선(宋秉璿)이 지은 유사의 묘갈명에서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는데, 그것은 유사가 1545년(명종 즉위년)에 일어난 을사사화(乙巳士禍)와 1547년(명종 2)에 일어난 정미사화(丁未士禍)에 휘말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유사가 종성부사로 있을 때 척신 이량(李樑)이 명성을 듣고 유사를 등용하려 하였으나, 유사는 이량의 제의를 거부하였다. 이 때문에 유사는 중앙 정계와 더욱 멀어지게 되었다.

유사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에 있는 호가정(浩歌亭)을 세웠으며, 말년에는 효우동에서 학문을 탐구하고 자연과 더불어 사색하면서 지내다가 1571년(선조 4)에 사망하였다. 유사의 문집인 『설강유고』에는 “천부적 자질이 단정하고 기개와 도량이 크고 넓으며 지절(志節)이 견고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학문과 저술]

『설강유고』는 1905년(고종 42)에 유사의 후손인 유시한(柳時漢)이 간행하였다. 전체 2권 1책, 부록 2권 1책으로, 유사의 시와 글 등이 다수 실렸다.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유시한, 유영택(柳永澤) 등의 발문이 있다.

[상훈과 추모]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경열사유사를 비롯하여 정지(鄭地), 송설(松雪) 고중영(高仲英), 구성(龜城) 전상의(全尙毅), 구암(龜岩) 고경조(高敬祖), 충무공(忠武公) 정충신(鄭忠信), 송암(松庵) 유평(柳坪), 시은(市隱) 유성익(柳聖翊) 등 7위를 모신 사당이다. 본래 경열사는 1644년(인조 22) 지금의 광주광역시 동명동에 창건되었으며 이후 규모가 커지면서 배향 인원도 늘어났는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1871년에 훼철되었다. 경열사는 1981년 현재의 자리에 중수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