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090 |
---|---|
한자 | 光州廣域市一家庭兩立支援本部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73[치평동 116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섭 |
설립 시기/일시 | 1987년 12월![]() |
---|---|
이전 시기/일시 | 2000년 8월 17일 - 광주직할시 여성회관 광주직할시 양림동에서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73[치평동 1162]으로 이전 |
개칭 시기/일시 | 2000년 9월 26일![]() |
개칭 시기/일시 | 2016년 1월 1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1월 3일 - 광주광역시 여성발전센터, 여성새로일하기센터로 지정 |
최초 설립지 | 광주직할시 여성회관 -
광주직할시 남구 양림동
![]() |
주소 변경 이력 | 광주직할시 여성회관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73[치평동 1162] |
현 소재지 |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73[치평동 1162]![]() |
성격 | 직업 훈련 기관 |
설립자 | 광주광역시 |
전화 | 062-613-7980|062-613-7974 |
홈페이지 |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https://www.gwangju.go.kr/woman)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있는 여성 취업 지원 기관.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는 광주광역시 산하 기관이다.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는 직장맘의 고충 해소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여성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과 고용 유지를 위한 사업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28일 광주직할시 남구 양림동에서 광주직할시 여성회관 기공식을 하였다. 1989년 「광주직할시 여성회관 설치 및 운영 조례」가 공포되었다. 1989년 5월 9일 광주직할시 부녀아동상담소를 광주직할시 여성회관에 통합하였고, 같은 해 8월 광주직할시 여성회관을 개관하였다. 2000년 8월 17일 서구 상무자유로 73[치평동 1162]으로 이전하고 같은 해 9월 26일 광주광역시 여성발전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1년 1월 3일 여성새로일하기센터로 지정되었다. 2016년 1월 1일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의 주요 사업으로는 일·가정 양립 지원 사업, 광주형 직장맘지원센터 운영,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및 일자리 지원 체계 기반 구축, 여성 취업 유망 직종 전문 교육, 여성의 인권 증진을 위한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운영, 지역 여성의 문화 교류의 장인 행복열린방 운영 등이 있다.
2022년 1월 기준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의 조직은 본부장, 본부운영위원회, 관리담당관을 포함하여 일자리지원팀, 직장맘지원센터, 총무팀,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일자리지원팀은 총 11명의 상근 직원을 두고 있으며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 연계와 구인·구직 상담 및 직업 교육 훈련 과정 운영을 책임진다. 직장맘지원센터에는 3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 사회 환경 조성과 직장인 모·부성권 보호 및 노무 상담 지원을 하고 있다. 12명으로 구성된 총무팀은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의 운영 계획 수립을 주요 업무로 담당하며,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에는 상담사 11명이 근무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는 여성의 권익 신장과 경제적 자립, 육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가정에서의 성평등 실현과 노동 시장에 평등하게 참여할 발판을 마련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