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자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266
영어공식명칭 Jeongja Sori (Farmers’ Song)
이칭/별칭 경상도 모심기소리,모심기소리,모노래,모숭구는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지 「정자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정자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성격 노동요
토리 메나리토리
출현음 미·솔·라·도·레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교환창 형식
박자 구조 3소박 12박
가창자/시연자 송문창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민요.

[개설]

「정자소리」는 일반적으로 경상남도에서 모심기소리를 이르는 용어이다.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모심기소리, 모숭구는 소리, 모노래 등으로 불린다.

[채록/수집 상황]

「정자소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정자소리」는 주로 교환창형식으로 되어 있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정자소리」는 대부분 ‘이물꼬 저물꼬 다헐어놓고’의 사설로 시작한다. 특히 ‘우리야 부모님 산소등에 소를 숨아 정자로다’에서 정자소리의 명칭이 나온 듯 하다.

사설의 한 행을 한 패가 부르면 다른 한 패가 다음 사설을 받아 노래하는 교환창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물꼬 저물꼬 다헐어놓고 쥔네 양반 어데갔노/문어야 대전복 손에 들고 첩의 방에 놀러갔네

첩의 집은 꽃밭이요 이내야 집은 연못이요/꽃과 나비는 봄 한철이요 금붕어 연못은 사철이라

이 논배미 서마지기 모를 심아 정자로다/우리야 부모님 산소등에 소를 숨아 정자로다

이 논배미 서마지기 반달같이도 떠나가네/그게 무슨 반달이요 초생달이 반달이지

유월이라 새벽달에 다 큰 처녀가 난질가네/석자 수건 목에 걸고 총각 둘이가 뒤 따리네

밀양 삼당 뒷도랑에 알배기 처녀가 나눕었네

〈후략〉

[현황]

현재 모심기 과정이 모두 기계화되었기 때문에 현장에서 「정자소리」와 같은 모심기소리의 전통은 단절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정자소리」는 경상도 모심기소리의 사설을 잘 갖추고 있고,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연되므로 그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