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21
한자 禹載岳
영어공식명칭 Woo Jaeak
이칭/별칭 탁중(卓中),인촌(仁村)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병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34년연표보기 - 우재악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96년 - 우재악 정조 알현하고 질문에 답함
몰년 시기/일시 1814년연표보기 - 우재악 사망
출생지 월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월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지도보기
묘소|단소 우재악 묘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단양(丹陽)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가계]

우재악(禹載岳)[1734~1814]의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자는 탁중, 호는 인촌(仁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석규(禹錫珪)이고, 할아버지는 우홍수(禹洪受)이다. 아버지는 우명집(禹命集)이고, 어머니는 김일(金溢)의 딸 김해김씨이다. 부인은 성이문(成爾汶)의 딸 창녕성씨(昌寧成氏)이며,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우재악은 1734년(영조 10) 대구 월촌(月村)[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부터 경서(經書)를 외우기 시작하였고, 중년에는 명성이 도내에 자자하였다. 1764년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을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봉안할 때 『소학(小學)』을 강의하였고, 1775년 노강서원(老江書院)에 배향할 때는 『중용(中庸)』과 『대학(大學)』을 강론하기도 하였다. 1784년(정조 8) 원공(原功) 우현보(禹玄寶)[1333~1400]를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에 제향할 때는 개성의 명승을 유람하고 「천마산기(天磨山記)」를 남겼다.

우재악은 1795년 정조가 오경(五經) 중에서 백선(百選)을 정하여 경상감영에 보내 교정케 하였을 때 초빙되어 교정한 공으로 『시전(詩傳)』, 『맹자(孟子)』, 『주서백선(朱書百選)』 등의 서책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1796년 정조와의 문답에서 『중용』과 『대학』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성경(誠敬)’의 근간임을 밝혀 칭찬을 받았다. 1814년(순조 14)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우재악의 저술로는 『인촌선생문집(仁村先生文集)』 6권 3책이 전한다. 경와(敬窩) 이헌영(李𨯶永)이 문집의 발문을 써서 우재악의 학덕을 기렸다.

[묘소]

우재악의 묘소는 달서구 상인동의 월배산 자락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