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034
한자 全繼信 神道碑
이칭/별칭 증자헌대부 병조판서 파수 옥산전공 신도비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비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로2안길 6-25[파동 425]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62년 5월 10일 - 전계신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14년 7월 22일 - 전계신 사망
건립 시기/일시 2019년 11월연표보기 - 전계신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무동재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로2안길 6-25[파동 425]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양식 귀부|비신|이수
관련 인물 전계신
재질 오석
크기(높이, 너비, 두께) 231㎝[비신 높이]|80㎝[비신 너비]|49㎝[비신 두께]
소유자 옥산전씨 병판공문중
관리자 옥산전씨 병판공문중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무관 전계신의 신도비.

[개설]

전계신 신도비(全繼信神道碑)[증자헌대부 병조판서 파수 옥산전공 신도비(贈資憲大夫兵曹判書巴叟玉山全公神道碑)]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의병장으로도 활약한 전계신[1562~1614]을 기리고자 2019년 11월에 건립한 비이다. 전계신은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파잠리]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중이던 1594년 별시 무과에 합격하였고, 임진왜란이 종결되자 일본과의 강화(講和)를 위하여 두 차례 대마도를 다녀왔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관직은 경상좌수사, 황해도병마절도사,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614년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관직을 수행하다가 안주(安州)의 병영에서 병으로 세상을 뜬 후,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

[건립 경위]

전계신 신도비옥산전씨 문중에서 2019년에 파동무동재(武洞齋) 동쪽에 건립하였다. 무동재전계신의 육촌 형이었던 전경창(全慶昌)[1532~1585]이 학문을 닦던 계동정사(溪東精舍)의 옛 터에 지은 재실인데, 1978년에 중건하였다. 2003년에 건립한 전경창 유적비[계동선생 옥산전공 유적비]가 옆에 서 있다.

[위치]

전계신 신도비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425 무동재 동쪽에 서 있다.

[형태]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이루어져 있다. 오석 재질의 비신은 높이 231㎝, 너비 80㎝, 두께 49㎝의 규모이다.

[금석문]

전계신 신도비에는 ‘증자헌대부 병조판서 파수 옥산전공 신도비(贈資憲大夫兵曹判書巴叟玉山全公神道碑)’라는 비제가 적혀 있고, 전계신에 대한 소개와 추모의 뜻 등을 국한문혼용으로 기록하고 있다. 비문 내용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공은 1562년 명종 17년 음력 5월 10일에 대구 수성(壽城) 파잠리(巴岑里)에서 태어났다. 자라남에 총명하고 재능이 있어 경서(經書)를 섭렵하였다. 또한 무인의 기질이 있어 말타기와 활쏘기 등 무예를 연마하였는데 당시의 사람들이 문무를 겸전(兼全)한 인재로 칭송하였다. 공은 일찍이 군무(軍務)에 종사하여 경상도(慶尙道) 좌수영(左水營)의 군관(軍官)으로 있었는데 31세 되던 1592년 선조 25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관군이 패배하고 왜적(倭賊)이 파죽지세로 북상하자 수영(水營)의 동료 권응수(權應銖) 안이명(安以命)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키기로 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공이 세거(世居)하였던 파잠은 왜적이 밀양과 청도를 거쳐 팔조령을 넘어 대구로 들어오는 길목이었다. 공은 이곳에 복병(伏兵)을 설치하여 왜적을 참획(斬獲)하였다. 또 신녕의 의병장 권응수 경주판관 박의장(朴毅長)과 더불어 인동 예천 안동 기장 흥해 등 경상도 각읍(各邑)에 침략 노략질을 하는 왜적들을 공격 대파(大破)하였다. 공은 병영(兵營)에 아병(牙兵)을 유치하여 둔전을 경작하게 하여 군량으로 사용하게 하였으니 순영(巡營)에 아병을 둔 것은 공에서 비롯되었다. 1594년 난중(亂中)에 별시무과(別試武科)에 합격하였으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녹훈(錄勳)되었다. …”

[현황]

전계신 신도비옥산전씨 병판공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계신 신도비는 대구 지역에서 보기 드문 이품관의 신도비로서, 전계신의 충효 정신은 물론이고 임진왜란 당시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