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801 |
---|---|
한자 | 鮮明療育院 |
영어공식명칭 | Seonmyeong Center for the Education and care of Disabled Children |
이칭/별칭 | 대구 선명요육원,아시아복지재단 선명요육원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225[덕곡동 3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재요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89년 12월 22일![]() |
---|---|
이전 시기/일시 | 2005년 4월 7일 - 선명요육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225[덕곡동 34]으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선명요육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 |
주소 변경 이력 | 선명요육원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225[덕곡동 34] |
현 소재지 | 선명요육원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225[덕곡동 34]![]() |
성격 | 복지 단체 |
전화 | 053-986-3070 |
홈페이지 | 선명요육원 (http://www.kijaram.or.kr)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시설.
선명요육원은 중증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장애인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선명요육원은 1989년 12월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에서 개원된 이래 중증 장애인 재활과 교육활동을 지속해왔다. 2005년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으로 시설 이전을 하였다. 1989년 개원 시 선명요육원의 입소정원은 69명이었으나 증원 변경 과정을 통하여 현재 118명의 정원을 두고 있다.
선명요육원은 118명의 입소자들과 60여 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어 중증 장애인들의 보호와 요양 및 재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선명요육원의 입소 자격은 ① 만 3세 이상의 중증 장애인 ② 무연고자, 기아로 발견된 중증장애인 ③ 국민 기초 생활 수급권자이다. 입소 절차는 관할 시·군 구청과 같은 복지 실시 기관을 통한 입소 의뢰 및 상담을 거쳐, 요육원 내부의 입소 판정회의를 통해 최종 입소 여부가 결정된다.
선명요육원은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아시아복지재단의 산하 운영 기관으로 중증 장애인의 수용·치료·요양 및 재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