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찌는 노래」[달서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104
한자 -[達西區]
영어공식명칭 Mojjineun Norae|Farmers’ Song|Rice Transplantation Song
이칭/별칭 모찌는 소리,모찌기소리,모찌기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7년 5월 11일~5월 16일 - 「모 찌는 노래」[달서구]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87년 6월 10일 - 「모 찌는 노래」[달서구]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87년 7월 20일 - 「모 찌는 노래」[달서구] 채록
채록지 「모 찌는 노래」[달서구] 채록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지도보기|갈산동지도보기|신당동지도보기
가창권역 「모 찌는 노래」[달서구] 가창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일대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노동요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일대에서 모찌기를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개설]

「모 찌는 노래」[달서구]는 모를 심기 전 모판에서 모를 쪄 낼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이다. 모찌기는 계속 쪼그리고 앉아서 하는 고된 노동이기 때문에 「모찌는 노래」와 같은 노동요를 부르며 노동의 효율을 올렸다. 모찌는 소리, 모찌기소리, 모찌기노래 등으로 불린다.

[채록/수집 상황]

1987년 영남대민족문화연구소에서 펴낸 『민속예술』에 따르면, 1987년 5월 11일~1987년 5월 16일. 1987년 6월 10일, 1987년 7월 20일 세 차례에 걸쳐서 대구직할시 서구 성서3동의 파산마을·신당마을·갈산마을에서 「모 찌는 노래」[달서구] 세 곡의 가사를 채록하였다. 이 세 마을은 현재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호산동·신당동·갈산동에 해당한다.

[구성 및 형식]

노래를 잘하는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모두가 뒷소리를 하는 선후창으로 부르기도 하고, 두 패로 나누어 교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즉 선후창 또는 교창의 형식으로 가창한다.

[내용]

성서3동에서 채록된 세 곡의 「모 찌는 노래」[달서구]는 시작하는 부분에 ‘들어내자/ 들어내자/ 이 모판을 드러내자’라는 사설을 공유하는데, 이는 경상북도 지역의 「모찌는 노래」에서도 흔히 보인다.

파산마을의 모찌는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들어내자/ 들어내자/ 이 모판을 들어내자// 이여내자/ 이여내자/ 이 모판을 이여내자// 잡아내자/ 잡아내자/ 저승처사 잡아내자// 이여내자/ 이여내자/ 이만 석을 이여내자.”

신당마을의 모찌는 노래 가사이다. “들어내세/ 들어내세/ 이 모판을 들어내세// 여히내자/ 여히내자/ 이 모판을 여희내자// 들어내자/ 들어내자/ 이 모판을 들어내자// 여희내자/ 여희내자/ 이 모판을 여희내자.”

마지막으로, 갈산마을의 모찌는 노래 가사이다. “들어내자/ 들어내자/ 이 모자리를 드러내자// 이워내자/ 이워내자/ 이 모자리를 이워내자// 드러내자/ 드러내자/ 이 모자리를 드러내자// 저승처자 강림도령/ 이 모자리를 잡아가자// 이승처사 이명수아/ 이 모자리를 드러내자.”

[현황]

현재는 직접 모를 쪄 내는 일이 없다. 모판 상자에 모를 길러서 기계로 옮기면 기계가 모를 심게 된다. 모를 찌는 행위가 없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모 찌는 노래」[달서구]도 현장에서 사라졌고, 농요를 보존하는 모임 등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을 뿐이다.

[의의와 평가]

「모 찌는 노래」[달서구]는 직접 농사일을 하며 「모찌는 노래」를 불렀던 지역의 농군들이 구연한 소리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