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007 |
---|---|
한자 | 大丘縣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고려/고려 |
집필자 | 박성현 |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서구, 동구 일부, 북구 일부, 달서구 일부를 관할한 신라, 고려, 조선의 지방 행정구역.
대구현(大丘縣)은 757년부터 1419년까지 신라, 고려, 조선의 지방 행정구역이다.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서구, 동구 일부, 북구 일부, 달서구 일부에 해당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 양주(良州) 수창군(壽昌郡) 조에 대구현은 본래 달구화현(達句火縣)인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고려 때]도 그대로 쓴다고 되어 있다. ‘대구현’이라는 지명은 고려시대를 지나 조선 초 1419년(세종 원년)에 군(郡)으로 승격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지명을 중국식[漢式]으로 개정할 때 달구화현(達句火縣)을 대구현으로 고쳤다. 776년(혜공왕 12)에 지명을 예전의 것으로 되돌렸는데, 대체로 신라 말까지 신구의 2개 지명이 병용된 듯하다. ‘대구현’이라는 지명은 고려시대를 지나 조선 초 1419년(세종 원년)에 군(郡)으로 승격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신라 통일기 주(州)-군(郡)-현(縣) 체제에서 양주(良州)[현재의 경상남도 양산시] 수창군에 소속되어 있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의 주현(主縣)-속현(屬縣) 체제에서 경산부(京山府)[현재의 경상북도 성주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1143년(인종 21)에 현령(縣令)을 파견하여 주현이 되었다. 이때 인근의 하빈현(河濱縣)과 화원현(花園縣)이 대구에 소속된 듯하다. 이 중 화원현은 다시 경산부로 이속되었다가 조선시대에 최종적으로 대구에 속하게 되었다. 또 조선 초에는 수성현(壽城縣)과 해안현(解顏縣)을 거느리게 되었으며, 특수 행정구역인 자이소(資已所)가 소속되어 있었다. 1419년에 1,000호(戶) 이상이 됨으로써 지방관을 지군사(知郡事)로 올려 대구군(大丘郡)이 되었다.
대구현은 북쪽으로 흘러 금호강으로 들어가는 신천 하류의 서쪽 지역에 해당한다. 금호강이 북쪽과 서쪽으로 돌아 나가고 남쪽에는 앞산[658.7m]이 우뚝 솟아 있다.
대구현의 영역은 조선 후기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의 영역에서 속현인 수성현, 해안현, 하빈현, 화원현, 풍각현(豐角縣)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조선 후기의 동상면, 동중면, 동하면, 서상면, 서중면, 서하하[달서], 서하면[성서] 정도로 파악할 수 있다.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서구, 동구 일부, 북구 일부, 달서구 일부에 해당한다.
대구현의 치소(治所)는 대구읍성 일대로 추정된다. 현재의 동성로, 서성로, 남성로, 북성로 자리에 있었던 대구읍성은 조선 영조 때 석성으로 축조한 것이다. 1590년(선조 23)에도 토성으로 된 읍성을 축조하였지만 왜군에 의해 파괴되었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달성토성에 해당하는 읍석성이 군 서쪽 2리에 있다고 한 점으로 보아 조선 초의 치소 역시 달성토성 동쪽 인근, 즉 읍성 내부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