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예연서원 소장 고전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472
한자 禮淵書院 所藏 古典籍
영어공식명칭 The oriental old books in Yeyeonseowon
이칭/별칭 예연서원 고전적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구례길 123[가태리 53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5월 12일 - 『망우당 선생 문집』책판 (부)『창의록』책판 대구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3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5월 12일 - 『존재선생실기』책판 대구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40호로 지정
소장처 예연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구례길 123[가태리 539]지도보기
발견|발굴처 예연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구례길 123[가태리 539]지도보기
성격 책판|현판
관련 인물 곽재우|곽준|곽재겸
용도 출판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가태리 예연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책판 및 현판 일체.

[개설]

예연서원(禮淵書院)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1552~1617]와 존재(存齋) 곽준(郭䞭)[1550~1597]을 제향하기 위해 1618년(광해군 10)에 건립된 충현사(忠賢祠)를 전신으로 한다. 이후 정유재란 때 전사한 곽준을 추가로 제향하였다. 1677년(숙종 3)에 사액(賜額) 되었으며, 이후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예연서원 내 전각은 1950년 6·25 전쟁으로 모두 불타 버리고 전사청(奠祀廳)과 장판각(藏板閣)만이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1977년부터 정부의 후원과 영남 유림의 성금으로 복원된 것이다.

현재 예연서원의 입구에는 홍의 장군 신도비(紅衣將軍神道碑)와 충렬공 신도비(忠烈公神道碑), 숭의문(崇義門), 강당인 경의당(景義堂), 위패를 모신 충현사(忠賢祠), 서원의 기숙사인 동재(東齋)·서재(西齋), 책판을 보관하는 장판각이 있다. 홍의 장군 곽재우의 신도비는 1691년(숙종 17) 예연서원 입구에 건립되었으며, 충렬공 곽준의 신도비는 1663년(현종 4)에 현풍현 대동에 건립되었던 것을 곽재우 신도비를 건립하면서 예연서원으로 옮겨 함께 두었다. 현판은 '예연서원(禮淵書院)'·'숭의문(崇義文)'·'충현사(忠賢祠)' 등 13점이 있다. 장판각의 책판은 『망우당 선생 문집(忘憂堂先生文集)』책판·『괴헌 선생 유집(槐軒先生遺集)』책판·『존재 선생 실기(存齋先生實記)』책판·『창의록(倡義錄)』책판 등 4종 255장이 소장되어 있다. 1995년 5월 12일 『망우당 선생 문집』책판 (부)『창의록』책판은 대구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었으며, 『존재 선생 실기』책판은 대구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제작 발급 경위]

『망우당 선생 문집』 책판은 1629년(인조 7)에 곽재우의 5촌 조카인 곽유와 곽융 등이 간행하였던 것을 곽재우의 후손 곽진남(郭鎭南) 등이 곽재우와 가까웠던 김명원(金命元)의 후손 김사혼(金思渾)이 의령 현감으로 재임할 때에 도움을 받아서 1771년에 중간한 판목이다. 『괴헌 선생 유집(槐軒先生遺集)』 책판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자 망우당 곽재우의 사촌형[從兄]인 곽재겸(郭再謙)[1547~1615]의 유집을 간행한 것으로, 1798년(정조 22) 곽재겸의 7세손인 곽원택(郭元澤)이 곽재겸의 글을 모아서 엮었다. 『존재 선생 실기』 책판은 1766년(영조 42) 곽준의 후손인 곽함(郭涵) 등이 편집·간행한 판목이다. 『창의록』 책판은 1734년(영조 10) 곽재우의 후손 곽원갑(郭元甲) 등이 『창의록』을 편집·간행할 때 제작된 것이다.

[형태]

『괴헌 선생 유집』 책판의 크기는 가로 53㎝, 세로 21.3㎝, 두께 3.1㎝이다. 광곽은 사주 단변에 계선이 있으며, 행관은 반엽 10행 20자이다. 어미는 내향 이엽 화문 어미이며, 비선은 상하 백구인데 윗쪽 비선 좌측에 판심제 '괴헌집(槐軒集)'을 새겨 넣었다. 마구리는 있으며, 전체 61장 중 현재 54장이 남아 있다.

'경의당(景義堂)' 현판의 크기는 가로 157㎝, 세로 67㎝이며, '국기(國忌)' 현판은 가로 131㎝, 세로 50㎝, '숙종 사액 제문(肅宗賜額祭文)' 현판은 가로 99㎝, 세로 67㎝, '상량문(上樑文)' 현판은 1673년(현종 14) 서흥(瑞興) 김하석(金夏錫)이 지은 것으로 가로 287㎝, 세로 77㎝, '숭의문(崇義門)' 현판은 가로 168㎝, 세로 89㎝, '예연서원' 현판은 가로 178㎝, 세로 68㎝, '전사청(典祀廳)' 현판은 가로 109㎝, 세로 19㎝, '존재 망우 양 선생 봉안문(存齋忘憂兩先生奉安文)' 현판의 글은 미수 허목(許穆)이 지은 것으로 가로 112㎝, 세로 57㎝이다. '집사분정기(執事分定記)' 현판은 가로 97㎝, 세로 29㎝, '충의문(忠義門)' 현판은 가로 105㎝, 세로 45㎝, 사당인 '충현사(忠賢祠)' 현판은 가로 109㎝, 세로 58㎝이다. '중건기(重建記)'는 2003년 곽경순이 지은 것으로 현판의 크기는 가로 209㎝, 세로 86㎝이다.

[구성/내용]

『괴헌 선생 유집』의 서문은 이지영(李祉永)이 1798년 썼으며, 발문은 1785년에 이광정(李光靖)이 쓴 것과 1798년에 곽원택이 쓴 것이 있다. 내용 구성은 서문, 세계도(世系圖), 연보(年譜), 목록(目錄), 권1의 시, 서, 제문 및 권2의 도(圖), 권3~4의 부록(附錄), 유묵(遺墨), 발문으로 되어 있다. 권1에 실린 시 등은 곽재겸이 지은 것들이며, 권2에는 후손들을 교육하기 위해 곽재겸이 지은 「습유도(拾遺圖)」, 「훈자질십육도(訓子姪十六圖)」가 수록되어 있다. 권3~4의 부록에는 만장(輓章), 뇌문(誄文), 지문(誌文), 갈문(碣文) 등이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예연서원에 소장된 고서 및 고문서 등의 자료는 흥선 대원군 당시의 훼철 등으로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남아 있는 책판을 통해 예연서원의 출판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책판으로 인쇄한 문집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들의 현황과 활동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