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881 |
---|---|
한자 | 大邱 坪里洞 靑銅器 遺跡 |
이칭/별칭 | 평리동 유적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 77[평리동 1409] |
시대 | 선사/철기 |
집필자 | 민선례 |
조성 시기/일시 | 철기시대 - 대구 평리동 청동기 유적 조성 |
---|---|
소재지 | 대구 평리동 청동기 유적 -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 77[평리동 1409]![]() |
출토 유물 소장처 | 국립대구박물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70]![]() |
성격 | 청동기 유적 |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유적.
대구 평리동 청동기 유적(大邱坪里洞靑銅器遺跡)은 1970년 아파트[평리청구타운] 건설 공사 중 한국식동검[세형동검(細形銅劍)] 3점을 비롯한 각종 청동기와 철기가 다량 출토되었다. 발견 당시 인부들의 증언에 의하여 출토 지점은 확인하였으나 유구의 형태 등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돌이나 나무 같은 흔적은 전혀 없었다는 것으로 보아 나무널무덤[목관묘]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구 평리동 청동기 유적은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 1409번지에서 출토되었다. 두류네거리에서 북부정류장 방향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 650m 정도 가면 왼쪽에 평리청구타운이 있는 곳이다.
대구 평리동 청동기 유적에서는 한국식동검 3점, 칼자루끝장식[검파두식], 꺽창[동과(銅戈)] 1점, 동고리[동환(銅鐶)], 청동재갈, 쇠고삐, 중국제 거울[한경(漢鏡)] 1점, 본뜬거울[방제경(謗製鏡)] 대형 1점·소형 4점, 청동방울[동탁(銅鐸)] 대형 1쌍·소형 1쌍, 원통형동기 등 다량의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한국식동검 3점은 모두 길이 23~23.8㎝ 정도로 크기가 작고 납작하게 퇴화된 형태이다. 중국제 거울의 지름은 10.6㎝이며, 역S자의 용무늬를 간략하게 표현한 훼룡문(虺龍文)이 새겨져 있다.
청동기 유물이 발견된 지점에는 현재 평리청구타운이라는 아파트가 건립되어 있어 유적의 흔적은 확인할 수 없다.
대구 평리동 청동기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한국식동검, 꺽창, 동고리, 청동재갈, 청동거울, 청동방울 등 종류가 다양하여 제작 기술, 용도 등 청동기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유적에서 출토된 금속 유물을 통하여 1세기 전반경 대구 지역에 한국계 청동기 문화의 전통이 남아 있으면서 중국 한나라 계통의 청동기·철기 문화로 전환되는 모습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