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029
한자 言語
영어공식명칭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한범

[정의]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체계.

[개설]

한국어 방언의 경계, 즉 방언권은 주로 지역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왔다. 학자들 간 다소의 견해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방언권의 대분류는 경상도와 전라도, 제주도를 각각 하나의 방언권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를 하나로 묶어 중부 방언권으로 분류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강원도 방언은 다시 태백산맥이라는 명확한 지리적 구분선을 기준으로 영동 방언과 영서 방언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철원 지역의 언어는 한반도의 중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부 방언권에 속하는 언어이며, 세부적으로는 강원도 방언의 영서 방언권에 속하는 언어로 규정할 수 있다.

[철원 방언의 특징]

1. 음운적 특징

평음[ㄱ, ㄷ, ㅂ, ㅅ, ㅈ]이 경음[ㄲ, ㄸ, ㅃ, ㅆ, ㅉ]으로 바뀌는 경음화는 철원 지역 언어에서 주로 단어의 첫음절에 확인된다. ‘꼬두밥[고두밥]’, ‘쪼꼼[조금]’ 등이 예이다. 특이한 점은 표준어의 경음화와는 달리 ‘ㄷ’이 ‘ㄸ’으로 바뀌는 현상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름’이 ‘지름’으로, ‘형’이 ‘성’으로 바뀌는 등 뒤에 오는 i[이] 혹은 j 계열 이중모음[야, 여, 요, 유]의 영향을 받은 앞의 음이 구개음[ㅈ/ㅊ/ㅉ, ㅅ/ㅆ]으로 바뀌는 구개음화 현상이 확인된다. 또 ‘남편’이 ‘냄편’으로, ‘구더기’가 ‘구데기’로 바뀌는 것처럼 뒤에 오는 i[이] 혹은 j 계열 이중모음[야, 여, 요, 유]의 영향을 받은 앞의 음 ‘아, 어, 오, 우, 으’가 ‘애, 에, 외, 위, 이’로 바뀌는 현상인 움라우트 현상이 확인된다. ‘시다’가 ‘시겁다’로, ‘이제’가 ‘인제’로, ‘대싸리’가 ‘댑싸리’로 발음되는 등 자음의 첨가 현상이 확인되는 것도 철원 지역 언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문법적 특징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종결어미와 연결어미, 조사의 사용에서 표준어와 차이를 보이는 것 외에는 철원 지역 언어의 문법적 특징은 표준어와 다름이 없다.

표준어의 ‘-어/-아’는 서술어에 결합하여 어떤 사실에 대하여 서술하거나 질문, 명령 또는 요청하는 뜻으로 쓰인다. 반면 철원 지역 언어에서는 일부 명령형 ‘-아[라]’를 제외하면 ‘여게 앉어[앉아라]’, ‘여게 좀 봐[보아라]’와 같이 ‘-어’라는 단일 형태로 쓰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표준어에서 앞으로의 일을 추측하거나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을 것이다’도 철원 지역어에서는 축약형인 ‘-을 께다’로 사용된다. 표준어의 ‘-을게’가 ‘내가 먹을게다’와 같이 ‘다’가 결합된 ‘-을게다’의 형태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을게’와 구분되는 철원 지역어만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표준어에서 둘 이상의 사실을 대등한 자격으로 나열하거나 동사 혹은 형용사를 연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 ‘-고’는 철원 지역 방언에서 ‘말은 뛰구, 개는 짓는다.’와 같이 ‘-구’로 나타난다.

조사의 쓰임에도 표준어와 다른 모습이 몇몇 확인된다. 주어를 표시하는 주격조사 ‘가’가 잘 모르는 대상을 가리키는 의문 대명사 ‘누구’와 결합하면 ‘뉘거’로 쓰여 ‘거’의 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과제와 전망]

강원도는 다른 지역과 달리 강원도 언어만의 특징이 뚜렷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부 지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해당 지역의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강원도 지역의 언어는 사람들의 충분한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철원 지역 역시 춘천, 원주, 강릉, 속초, 동해 등 강원도 내 다른 도시들에 비하여 인구 유입이 적은 탓에 지역 언어가 보존될 수는 있었으나 언어 조사에는 분명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철원 지역의 언어는 표준어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방언으로서의 특성이 약하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강원도 방언이면서도 경기 지역 언어의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연구 가치는 충분하다. 철원 지역 언어의 보존과 발전을 통하여 중부 지역 방언 연구가 활발하여질 것이라 전망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