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093
한자 雜誌
영어음역 japji
영어의미역 magazine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임승빈

[정의]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룬 글과 기사, 그리고 문예물을 모아서 편집한 간행물, 또는 문예지.

[개설]

청주지역의 잡지는 도시의 규모나 경제력과는 달리 타 지역에 비해 빨리 잡지 간행이 이루어졌다. 한국전쟁이 끝난지 얼마 안 되었던 1954년 경 당시에는 충북문화사(洪元吉), 주성문화사(柳鳳業), 청주문화사(崔炳柱) 등의 출판사가 있었는데, 이중 주성문화사가 계몽월간지『직업여성』을 발행, 타지역에 비해 보수적이었던 청주에서 여성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문학지망생들에게 발표지면을 제공했던 것이다.

[변천]

1972년 3월 국민일보(현, 충청일보) 취재부장이었던 언론인 송재옥이 종합월간지 『상록수』를 발행했지만, 재정난으로 2년을 넘기지 못하고 폐간되었다.

1975년에는 대전에서 발행되던 종합지『월간충청(月刊忠淸)』을 서영석이 청주로 가져와 재 창간해 발행했고, 1976년 5월에는 이 지역 언론인 오병호가 교육·문화·예술 전문월간지『충청문예』를 창간했다. 이렇게 해서 1970년대 후반에는 두 개의 시사 월간지가 발행됐으나, 『월간충청(月刊忠淸)』이 1980년 7월 폐간되고『충청문예』만이 남게 되었다.

이 『충청문예』는 1987년부터 제호를 『충청문화』로, 그리고 교육, 문화, 예술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영역까지를 모두 포괄하는 종합시사월간지로 바뀌어 지금까지 발행되고 있다.

1970년대부터는 많은 문학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972년 1930년대부터 시작활동을 해온 충주의 박재륜 시인을 중심으로 청주와 충주의 문인들이 함께 한 내륙문학회에서 동인지『내륙문학』(발행인, 박재륜)을 창간했고, 1974년 충북문인협회(현, 청주문인협회)에서 『충북문예(忠北文藝)』(발행인, 오세탁. 현 『충북문학』)를 창간했다.

1980년에 뒷목문학동인회가 결성되면서 동인지『뒷목』(발행인, 조찰호. 현 『뒷목문학』), 1984년에 충북의 아동문학가들의 충북숲속아동문학회가 결성되면서 『충북숲속아동문학』(발행인, 이영두)이 창간되었다.

한편, 1986년에는 청주문화원이 기관지『청주문화』(발행인, 이종명)를 창간, 지역의 문화에 대한 의견 개진과 문인들의 작품 발표 기회를 확대했다.

출판이 훨씬 쉽고 자유로워진 1990년대에는 더 많은 문학지 창간이 이루어졌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1990년 충청북도내 행정공무원들의 문학인 모임인 행우문학회에서 창간한『문학과 현실』(발행인, 전태익. 현 『문학과 생활』), 1988년 충청북도내의 각 시군 문인협회와 동인회 및 문학단체들이 하나로 모여 결성한 충북문학단체연합회에서 1992년 창간한『충북문단』(발행인, 김효동), 1986년 뒷목문학회와 동양일보가 공동 주최한 충북여성백일장의 입상자들이 모여 결성된 여백문학회가 1993년 창간한『여백』(발행인, 김길자), 1994년 시동인 마음을 가리키는 시에서 창간한『마음을 가리키는 시』(발행인, 마음을 가리키는 시), 1993년 결성된 충북시조문학회에서 1995년 창간한 『충북시조』(발행인, 장이두), 1995년 충북민예총이 창간한『청주문학』(발행인, 박용삼. 현 충북작가), 1996년 충청북도 교원문인들이 충청북도교육청의 지원으로 창간한『교단문학』(발행인, 교육감 김영세), 1997년 충청북도교육청 행정공무원들의 문학모임인 청충문학회에서 창간한『청풍문학』(발행인, 이증수), 1995년 충청북도의 여성문인들이 모여 충북여성문인협회를 결성하고 1997년 창간한『충북여성문학』(발행인, 유영선), 그리고 새로 발족한 충북문인협회에서 1997년 창간한『문예충북(文藝忠北)』(발행인, 임찬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학지 중에는 『내륙문학』이나『뒷목문학』처럼 출발 당시에는 계간, 또는 반연간 발행 등의 의욕을 보였으나 예산 문제로 거의 연간으로 바뀌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충북문학단체연합회가 발행한『충북문단』은 충북문인협회의 발족으로 연합회의 성격이 모호해지자 중간에 폐간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2000년 충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수필창작교실 출신들의 모임인 푸른솔문학회의 『푸른솔문학』, 2001년 문예지『문예한국』 출신들의 모임인 중부문학회에서 『중부문학』(발행인, 장병학), 2005년 청주대학교 학생문예동아리인 창작문학회 출신들의 모임인 문향문학회에서 『문향』을 창간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충북예총의 『충북예술』, 청주예총의 『청주예술』 등 각 단체에서 기관지 성격의 잡지를 간헐적으로 발행하고 있는데, 문학지에 비해 종합지, 또는 시사잡지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부족한 상태라 하겠다.

[의의와 평가]

다른 지역에 비해 인구나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교양잡지의 창간이 매우 빨랐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종합, 또는 시사 잡지에 비해 문학지가 월등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학지는 그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회원들의 작품을 수록하는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새로운 문학풍토의 조성이나 에꼴 형성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겠다.

문학지가 더 높은 효율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몇 개를 묶어 월간이나 계간발행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