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검은 반석과 개흙에 일군 구엄 종달 소금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653
한자 -舊嚴終達-
영어음역 Geomeun Banseokgwa Gaeheulge Ilgun Gueom Jongdal Sogeumba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만익

[개설]

소금밭은 제주도 해안의 암반이나 모래밭을 이용하여 소금을 생산하던 장소로, 염전에 해당된다. 제주도는 강우일이 많아 소금 생산이 불리한 지역이다. 예로부터 소금이 몹시 귀하여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말·말총·귤·해산물 등을 육지부의 소금과 교환하여 사용했다.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제주에서는 여러 소금밭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소금 생산에 불리한 지형적 조건으로 모래를 이용하거나 암반을 이용하여 제염하였으므로 다른 지역에서의 소금 생산보다 노역이 많이 들어갔다. 1950년대 서남해에서 천일염이 싼값으로 수입되면서 제주에서 소금밭은 자취를 감추었다.

[제주도 최초의 염전]

제주도의 염전은 16세기 이후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誌勝覽)』(1531) 제주목 토산조(土産條)에 소금이 토산물로 기재되어 있고, 『남사록(南槎錄)』(1602)에 제주목사 강려(姜侶)가 해변의 노지(鹵地)를 보고 도민들에게 육지부의 해염 생산법을 가르쳐 소금을 만들게 했다는 기록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아울러 『남환박물(南宦博物)』(1702)에서도 이형상 제주목사가 철 4,000여 근으로 철부(鐵釜) 3개를 제작하여 제주에 두 가마, 대정에 한 가마를 주어 소금을 만들게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제주도 최초의 염전 위치는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해안 부근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정의군지도(旌義郡地圖)」(1872)에 종달리 해안 부근에만 ‘염전(鹽田)’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고종 연간(1863~1907)의 「정의지도(旌義地圖)」에서도 종달리 해안에 ‘염전(鹽田)’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기록들은 종달리 부근에 최초로 염전이 성립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염전의 확산과 소멸]

제주도의 염전들은 한말 이후 일제 강점기 동안에 지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것은 조선 시대 말기에도 몇 개에 지나지 않던 염전들이 조선총독부가 발간한 『한국수산지(韓國水産誌)』에서 23개소로 나타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주로 포구 취락을 중심으로 염전이 성립, 확산되었다.

현재 이들 포구 취락 내 해안에는 염포(鹽浦), 염전동(鹽田洞), 염전보(鹽田堡), 소금막 등과 같은 지명들이 남아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1910년을 전후한 시기에 제주도의 염전은 『한국수산지』에 기술된 23개의 염전 외에도 기타 자료에 기술된 12개의 염전까지 합하면, 모두 35개의 염전이 존재하고 있었다.

『한국수산지』에 기록된 23개의 염전만을 대상으로 지역적 분포 특성을 보면, 당시 제주군 지역에 56%인 13개의 염전이 분포되어 있었고, 대정군 지역과 정의군 지역에 각각 5개의 염전이 입지하여 염전 분포의 남북차를 보였다. 일제강점기를 걸쳐 존속된 제주도의 염전들은 해방 이후 육지부 서남해에서 생산된 저렴한 천일염과 외국산 수입염이 반입되면서 1950년대를 전후해 완전히 소멸되고 말았다.

[모래를 이용한 소금밭, 종달염전]

종달염전은 제주도 염전의 효시인 동시에 소금 생산의 주산지였다고 할 수 있다. 1900년대 초 종달리 마을 353호 가운데 160명이 소금 생산에 종사했고 소금을 생산하는 가마도 46개나 있었다고 한다.

종달리의 소금밭은 동네의 논밭 터였다. 이곳은 지형적 특성상 만입부에 넓은 사빈이 발달하여 염전 조성이 유리하고, 또한 근처에는 지미봉·두산봉 등 오름들과 야산이 해안에 인접해 있으므로 쉽게 연료(땔감)를 구할 수 있는 곳이었다.

종달염전에서의 소금 생산은 염전 조성 단계, 채함(採鹹) 단계, 전오(煎敖) 단계를 거쳐 생산되었다. 채함 과정은 염전에서 소금의 원료가 되는 함수를 채취하는 단계로서, 지형이나 조석 상태 및 기후 조건이 유리해야 했다. 최종 단계인 전오 과정에서는 가마솥을 가열하는 데 많은 연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연료의 수급 관계가 큰 영향을 주었다.

종달염전의 소금 생산 과정을 보면, 우선 염전은 마을의 동남쪽 해안가의 사빈(모래밭)을 이용했다. 마을 내에서는 동별(洞別)로 사빈의 일정 장소를 선택하고 간조시 염전으로 모래를 ‘산태’로 운반한 다음 나무 삽을 이용해 골고루 모래를 뿌린다.

그런 다음 ‘물골’을 따라 들어온 해수를 ‘물지게’로 운반하여 모래 위에 수십 차례 투입시킨다. 이 과정은 해수의 염분 농도를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한 것이다. 태양열에 의하여 해수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면 모래에 염분이 부착하게 된다. 염분이 누적된 ‘소금 모래’[鹹砂]는 서로 엉겨 붙기 쉬우므로, ‘서래’를 이용해 염전을 십자(十字) 형태로 갈며 모래 덩어리를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작업이 끝나면, 염전에 다시 해수 투입을 3일 정도 반복하여 더욱 농도 짙은 소금 모래를 만든 후 이를 보관하는 장소인 ‘모살눌터’로 운반한다. 이후 청정일에 염분 농도가 매우 높은 소금 모래를 염전 한구석에 설치된 ‘서슬’에다 넣고 매우 짠 해수를 다시 투입하면서 소금 모래로부터 함수를 분리해낸다. 이러한 함수의 염도(鹽度)는 곧바로 소금의 양과 직결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나무 막대기와 송진 덩어리로 만든 ‘물자으리’로 함수의 염도를 측정한 다음, ‘곤물통(함수통)’을 이용하여 ‘가망집[釜屋]’으로 운반한다. 여기에서 곤물통은 함수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제염의 마지막 단계인 전오 작업은 함수(염분 농도가 매우 높은 해수)를 가망집에 설치한 ‘가마[鐵釜]’에 부어 넣는 일부터 시작된다. 가마솥에 ‘곤물(함수)’을 3~4회 투입해가며 하루 종일 가열하여 소금을 만든다. 끝으로 소금에 묻은 수분[鹽汁]을 제거하기 위해 ‘중댕이’ 위에 대나무로 만든 ‘구덕’을 얹히고 소금을 나무 삽으로 떠담는다.

이때 중댕이 안에 수분이 떨어지는 데 이것을 ‘춘물’이라 하였다. 춘물은 고염분의 물이므로 소금 대용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완성된 소금은 대구덕에 담아 습기가 없는 부엌아궁이 뒤의 재[灰] 위나 건조한 창고에 보관하였다.

종달리에서는 물때로 보아 조수가 가장 적게 들어오는 ‘조금’ 때부터 본격적으로 제염을 시작하여, ‘여덟물’까지 약 7일 동안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한달에 두 차례 정도 생산이 행해졌다. 소금 생산 시기는 3~4월과 7~8월 및 9~10월이며, 5~6월과 11~2월에 주로 판매가 이루어졌다.

제염에 필요한 노동력은 생산 활동과 판매 활동으로 구분하여 투입되었는데, 특히 염전 조성, 해수 운반, 연료 채취 및 운반, 전오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가족 노동력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가마의 구입이나 사용에 있어서는 5~10명 단위로 ‘접(接)’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대처하는 경우도 있었다.

염전이 조성되었던 곳은 크게 4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4구역은 1961년경에 염전에서 논으로, 습지에서 논으로, 염전에서 밭으로, 그리고 습지에서 논으로 조성되었다. 당시 염전에서 논과 밭으로 전환된 면적은 32.1㏊이며, 이중 논은 24㏊, 밭은 8.1㏊이다.

논은 마을 내에서도 신전동(新田洞)[‘새밭’]을 중심으로 타원형을 그리며 마을 안쪽편으로 조성되었고, 밭은 주로 신전동의 동쪽 구역(해안가 방향)에 조성되었다. 현지 조사에 의하면, 1945~1950년경까지 제염 시설인 가망집은 9개소가 존재하고 었었으나, 소금 생산의 중단과 함께 완전히 철거되어 현재는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종달염전은 해방 후부터 육지부 천일염이 대량으로 들어오면서 수지를 맞추지 못해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이에 따라 지금은 염전지가 수답(水畓)으로 바뀌었다. 염전 터를 수답으로 바꾸는 공사는 1969년에 완공되어 종달리 염전 터가 32㏊의 논으로 탈바꿈했다. 이 사업은 제주도 간척지 사업으로 성공된 첫 케이스이다. 현장에 당시 도지사 구자춘에 대한 공덕비가 세워져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종달염전의 제염과정

[암반을 이용한 소금밭, 구엄염전]

구엄마을은 예로부터 소금 곧 염(鹽)을 만들며 살아온 사람들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엄쟁이(嚴藏伊)’라 불려졌다. 종달염전이 해안에 퇴적된 모래를 활용하여 소금을 생산했던 반면, 구엄염전에서는 ‘돌소금’ 즉 암석 해안의 암반(파식대)을 이용해 해수를 직접 증발시키는 제염 형태를 취한 것이 특징이었다.

구엄마을의 소금밭은 해안에 발달된 약 800여 평 정도의 파식대 위에 있었다. 이 장소에서는 구한말 이재수(李在守)의 난(1901) 때에 천주교 신도들이 염전의 ‘간수통’에 숨어 구명하였다고 하는 사실도 전해지고 있다.

구엄마을의 경우 모래를 구할 수 없는 해안 환경으로 인해 오로지 태양열이라는 천연 에너지를 이용하여 함수를 증발시키고 제염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그 결과 돌소금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구엄 돌소금밭은 1910년경 제염 면적이 887평으로 나타나듯이, 도내 23개의 염전 중에서는 중간 정도(11위)의 규모였으나, 당시 소금 생산량은 28,800근으로 전체 4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좁은 제염 공간에 비해서는 비교적 많은 양의 소금이 생산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조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던 관계로, 기상 조건이 유리하다면 반복해서 제염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구엄마을에서는 비만 오면 밭에 물이 고이는 불리한 토양 조건으로 인해 농업이 어려워지자, 마을 포구인 ‘철무지개’에서부터 ‘옷여’ 부근까지 발달된 편편한 파식대[岩盤, ‘빌레뜨르’]를 제염 장소로 삼아 소금을 생산하여 생계를 유지하였다.

제염 장소는 동북-서남 방향이 약 500m이고 폭은 50m 내외이다. 소금을 만드는 암반은 공동 소유가 아닌 개인 소유로서, 이들은 집안 대대로 상속되어져 왔으며 1가구가 소유하는 면적은 대략 20~30평 정도의 규모였다. 개인 소유를 나타내는 경계선은 암반에 그어져 있는 선(線)으로 결정되는데, 이 방법은 경험에 의한 약식 구분이라 할 수 있다.

구엄염전은 염전 조성 과정이 극히 단순하면서도 초보적이다. 조성 과정에서는 특별히 많은 노동력이나 특수한 시설이 필요한 것은 아니나, 해수를 가두어 놓기 위한 암반 내의 둑 막기가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작업 순서를 보면, 먼저 염전으로 이용할 암반은 먼저 대빗자루로 깨끗하게 쓴 다음, 누수방지를 위해 암반바닥에 나있는 구멍을 진흙[泥土]으로 막는다. 암반 바닥의 구멍 막기와 함께, 여러 번 다져 만든 진흙으로 암반 위에 둑[小堤防]을 만든다. 둑 막기도 암반에 나 있는 선을 중심으로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행해진다.

둑 막기 작업의 종료는 결국 증발지의 완성을 의미한다. 이 증발지를 현지에서는 ‘호겡이’라 부른다. 여러 개의 증발지 중에서 1~2개는 제염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용되는 ‘소금돌’이 되는데, 가장 매끈한 암반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둑 막기에 이용되는 진흙은 구엄마을에 인접해 있는 가문동, 번대동 및 하동 사이의 논이나 또는 수산봉(水山峰)[121m]으로부터 채취한다.

소금을 생산하려면, 먼저 호겡이 안에 해수를 채워야 하므로 우선 바다와 가까운 증발지부터 순서대로 채우게 된다. 이처럼 구엄마을의 경우는 제염 장소가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허벅이나 양동이를 이용하여 해수를 퍼 올리는 노력이 필요했다.

소금 생산의 원료인 함수는 호겡이에서 3단계의 과정을 걸친다. 첫 번째는 모든 증발지에 해수를 떠 넣어 저농도의 함수를 만든다. 두 번째는 저농도의 함수를 몇 개의 증발지로 모아 계속적으로 농도를 높혀 간다. 이때 6~10개의 증발지의 함수는 4~8개의 분량이 되며, 비어 있는 증발지에는 다시 새로운 해수를 부어 놓는다. 한번 이동된 함수는 점차 농도가 증가하여 중농도의 함수가 된다. 세 번째로는 중농도의 함수를 다시 2~4개의 증발지의 양으로 합치고 계속 증발시킨다.

이렇게 3단계를 걸친 함수는 고농도의 상태를 띠게 된다. 그 후 계란을 띄워 최종적인 농도 확인을 하고 ‘좀팍’과 바케츠(양동이)에 담아 일시적인 함수 보관 용기인 ‘혹’으로 운반한다. 혹은 진흙으로 만든 일종의 옹기이며, 외부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함수는 일조량이 많은 날에 혹에서 꺼내어 소금돌(매끈한 암반)에 얹히고, 태양열로 증발시킨 후 최종적으로 소금 결정체를 얻는다. 이 단계에서는 고농도의 함수를 소금돌의 크기에 알맞게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상 조건이 좋으면 계속적으로 함수 만들기가 이루어지며, 고농도의 함수가 적당량이 되면 돌소금 완성을 위한 함수의 소금돌 얹히기 작업도 병행된다. 구엄리 돌소금 생산 과정은 해녀박물관에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구엄염전의 제염과정

[소금 생산에 이용된 도구들]

소금 생산 도구들의 명칭과 기능을 보면, 모래를 이용하여 제염했던 종달염전에서는 제염 도구에 있어서도 세분되어 있는 동시에 다양하다. 파식대 위에서 돌소금을 생산했던 구엄염전의 경우는 주요 제염 도구의 수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해수를 운반하기 위하여 좀팍이나 허벅 및 양동이 등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은 제주도가 섬이라는 지역성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제염 과정에 이용된 도구들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석재나 목재를 가지고 만들어졌으며, 해안 지형의 차이와 생산 방식에 따라 도구의 종류나 규모도 다르게 나타난다. 구엄염전의 경우에는 암반위에서 함수를 태양열로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했으므로 ‘가마’, ‘군대’ 및 ‘서래’를 준비할 필요가 없었다. 이러한 소금 생산 도구들은 비교적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아주 실용적으로 만들어진 후 다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제염도구의 명칭과 기능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