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무과급제자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543
한자 文武科及第者
영어음역 Mungwa geupjeja
영어의미역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Civil Examinat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동전

[정의]

조선 시대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에서 문과와 무과의 과거시험에 합격한 사람.

[과거 입격의 역사적 배경]

제주인의 과거 입격은 이미 고려 시대 인물인 고유·고조기·고적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제주에서 실시한 과거에 합격한 것이 아니라, 고려 조정에 상경하여 과거에 합격한 경우이다.

조선이 개창된 이후에 전국이 8도로 개편되고 난 후 제주인들의 문·무 향시(鄕試) 지역은 행정구역상으로 제주도가 아니라 전라도였다. 이에 제주인들이 바다를 건너 전라도로 가 과거를 응시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과거에 응시하기 위한 노자를 마련하느라 논과 밭을 팔았다가, 과거에 합격하지 못해 집안이 패가망신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에 제주인들은 제주 지역에서 향시에 응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제주인의 소망은 문과의 경우, 1623년(인조 원년) 시재어사 최진운(崔振雲)이 제주에 파견되면서 이루어졌고, 최초의 입격자는 오섬(吳暹)이었다. 무과의 경우에 있어서는 문과 외방별시보다 100여 년 앞선 1513년(중종 8)부터 시행되었다.

[과거 입격의 과정]

본래 제주별과 문·무과 합격자에게 수여하는 증서는 입격자들이 직접 상경하여 받았다. 그러나 제주는 바다 멀리 떨어져 있어서 왕래에 큰 불편이 있었으므로, 1854년(철종 5)부터는 승정원에서 관리를 제주에 직접 파견하여 제주에서 직접 합격증서인 홍패 및 백패·교지·어사화를 지급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에도 그 수여 일자는 제주목에서 임의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정원에서 정해준 날짜에 제주목 관아에서 행해졌다. 일반적으로 제주 지역의 문·무과 입격자들에게는 국왕이 몸소 행하는 과거인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할 수 있는 직부(直赴) 자격을 주었다.

무과 입격자가 190명에 이른 경우에도 모두 전시에 직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풍 등으로 해당 전시에 직부하지 못한 경우에도 별시 등 타과(他科)에 응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도 하였다. 즉, 1725년(영조 원년)의 이반근 등 3인, 1752년(영조 28)의 김성룡·김응정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제주 입격자들이 전시에 곧바로 직부되는 것에 대한 조정의 반발이 심하였다. 현종 때 제주 유생 문영후·고홍진 등 3인을 전시에 직부하도록 명하자, 사간원에서는 함경도와의 형평에 어긋남을 지적하고 철회를 주장하였다.

하지만 현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오히려 전시에 직부된 제주인뿐만 아니라 그의 부모들에게도 쌀을 지급하였다. 이는 그 이후로 거의 상례화되었으며, 영조의 경우에도 전시에 직부한 제주인에게 돌아갈 식량을 지급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시에 직부된 제주인들은 시험답안지에 특별히 ‘제주’라는 지역명을 기재하도록 하여 제주인의 경우 최종 합격에 어느 정도 혜택이 주어졌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제주인들은 과거에 응시하여 입격한다는 것이 곧 실제 관직으로의 진출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다시 말해 제주인들의 경우 과거를 통해 실제 관직으로 진출한다기보다는 과거에 급제한 것을 큰 영광으로 여기고 있었다. 결국 과거에 합격했다는 사실은 그들이 양반임을 내세울 수 있는 중요한 신분 상승의 길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였다.

[문과 입격자]

제주인의 문과 입격자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현재 제주향교에는 문과 급제자의 명단으로 알려지고 있는 『진신선생안(縉紳先生案)』과 사마시 급제자의 명단으로 알려지고 있는 『사마선생안(司馬先生案)』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자료의 정확성에 다소 의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들 자료에 대한 엄밀한 문헌 비판이 필요하고, 각 집안에 소장하고 있는 홍패와 백패 등 문과 급제가의 사실을 알려주는 자료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보완하는 작업이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제주인의 과거 입격은 고려 시대의 경우 고유·고조기·고적 등이 있었다. 특히 고유는 제주인으로서 처음으로 1045년(정종 11)에 빈공(賓貢) 남성시(南省試)에 장원으로 합격하였다. 그의 아들 고조기는 1107년(예종 2)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고적은 1261년(원종 2)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리고 조선 시대의 경우 제주 지역에서 향시가 행해지기 이전에 과거에 급제한 사람으로 생원시에 김양필(金良弼), 문과에 고득종·고득중(高得中)·고태필(高台弼)·고태정(高台鼎)·김계충(金繼忠)·정응정(鄭應禎)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조정에 상경하여 과거에 응시한 경우이다.

『국조문과방목』에서 1623년 이후 거주지가 제주로 확인되는 사람은 모두 55명에 이른다. 시기별로는 인조 때 입격자가 1명으로 가장 적었고, 영조 때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26~30세의 분포가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6~40세가 12명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70세 이상이 4명으로 나타나, 제주인의 과거 입격이 실직 진출이라기보다 입격 그 자체에 뜻을 두고 있었음을 반영해주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시기별 과거 입격자 분포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문과 입격자의 연령 분포

다음으로 입격자의 전자(前資)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17명에 불과한데, 유학이 8명으로 가장 많고, 직부라고 기재된 경우가 4명, 사과(司果) 2명, 그리고 생원·진사·통덕랑(通德郞)이 각 1명으로 나타난다.

과종(科種)은 전체 53명 가운데, 갑과 2명, 을과 5명, 병과가 46명으로 대부분 병과로 입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역관(歷官)이 기재된 경우가 18명인데, 찰방(察訪)이 5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적(典籍)·현감(縣監)·군수(郡守) 등이었다. 성씨별로는 김씨가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씨 7명, 변씨 6명 순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문과 입격자의 역관

[무과 입격자]

제주에서 행해진 무과에 급제한 제주인을 파악하는 작업은 문과 급제자의 확인보다 어려운 실정이다. 무과 급제 출신자의 명단으로 알려지고 있는 『급제선생안(及第先生案)』이 남아 있으나, 그 내용은 1558년(명종 13)에서 1815년(순조 15)까지의 기록에 불과하다.

무과 급제자의 경우 제주 지역만 하더라도 많을 때는 200여 명에 이르고 있어, 『급제선생안』에 기록된 전체 338명의 명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무과 급제자에 대한 실태 파악은 각 집안의 교지 등 급제 확인 고문서 자료의 발굴이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