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등할망 전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386
한자 -傳說
영어음역 Yeongdeung Halmang
영어의미역 Grandma Yeongdeung
이칭/별칭 해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현길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
주요 등장인물 영등신
관련지명 귀덕리|우도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영등할망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영등할망은 영등달인 음력 2월에 여러 식솔, 즉 영등하르방·영등대왕·영등별감·영등좌수·영등호장·영등우장 등을 데리고 오는데, 비옷을 입은 영등우장이 오면 비가 오고, 두터운 솜 외투를 입은 영등할망이 오면 그해 영등달엔 눈이 많이 오며, 차림이 허술한 영등할망이 오면 영등달이 유독 날씨가 좋다는 말이 전해 온다.

[채록/수집상황]

영등할망을 모시는 영등굿은 제주 지역 어디에서나 행해지고 있다. 현용준의 『무속자료사전』에는 북촌 영등굿이, 문무병의 『바람의 축제 칠머리당 영등굿』에는 칠머리당 영등굿이 채록되어 전한다.

[내용]

옛날에 영등할망이 제주 어부의 배가 폭풍우로 인해 외눈박이거인섬으로 가는 것을 구해 주었다. 이 일로 영등할망은 외눈박이거인들에게 죽음을 당하고 온몸이 찢긴다. 그리하여 머리는 소섬에, 사지는 한수리에, 몸통은 성산까지 밀려오게 되어서, 그때부터 영등할망을 신으로 모시며 굿을 해주었다고 한다.

또 하나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옛날 한 포목장사가 제주도로 들어오다가 비양도 근처에서 태풍을 만나 죽었는데, 그 시체가 조각나 머리는 협재, 몸통은 명월, 손발은 고내와 애월에 떠밀려 와 영등신이 되었다고도 한다.

영등할망은 영등달인 음력 2월 1일에 한림읍 귀덕리로 입도하여 2월 15일 우도를 통해 제주를 떠난다. 제주에 머무는 동안 섬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소라와 전복·미역 등 해산물을 증식시켜 주며, 어로 일반까지 보호해 준다고 하여 해녀와 어부들이 중심이 되어 영등굿을 치른다.

영등 기간이 끝나갈 때쯤 비가 오기도 하는데, 이를 영등할망의 눈물이라고 하고, 이 무렵에 부는 모질고 차가운 바람을 영등바람이라고 한다. 영등할망은 제주도를 방문할 때는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들어오는데, 영등 기간에 날씨가 좋으면 딸을 데리고 들어온 것으로 한해 동안 풍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그러나 날씨가 나쁘면 며느리를 데리고 들어온 것인데, 이때는 한 해 농사를 걱정하였다고 한다. 또 날씨가 따뜻하면 옷 없는 영등할망이, 추우면 좋은 옷을 입은 영등할망이, 비가 오면 우장 쓴 영등할망이 온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영등할망은 해산물의 풍요를 가져오는 바다와 바람의 신이다. 영등할망은 영등하르방·영등할망·영등나장·영등도령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영등할망에 관한 전설도 구전으로 전해져 왔기 때문에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영등할망은 '영등달'인 음력2월 초하루에 강남천자국 또는 외눈배기섬으로 들어와 2월 보름에 소섬으로 빠져 나간다고 한다. 영등할망은 외방신(外邦神)이다. 할망은 제주 어부의 배가 폭풍우로 인해 외눈박이 거인의 섬으로 가는 것을 구해주는데, 이 일 때문에 외눈박이 거인들에게 죽음을 당하고 온몸이 찢겨 머리는 소섬에, 사지는 한수리에, 몸통은 성산에 밀려 오게 되었고, 그때부터 영등을 신으로 모시며 굿을 해주었다고 한다. 영등신은 또 옛날 한 포목장사가 제주특별자치도로 들어오다가 비양도 근처에서 태풍을 만나 죽었는데, 그 시체가 조각나 머리는 협재, 몸통은 명월, 손발은 고내와 애월에 떠밀려 와 영등신이 되었다고도 한다.

영등이 제주에 머무르는 기간동안 해안가 마을에서는 영등굿을 치르는데, 해녀들의 안전조업과 채취하는 해산물의 등풍을 기원한다. 영등기간이 끝나갈 때쯤 비가 오기도 하는데, 이를 영등의 눈물이라고 하고, 이 무렵에 부는 모질고 차가운 바람을 '영등바람'이라고 한다.

영등할망은 영등굿 기간동안 제주특별자치도를 돌아다니며 해산물의 씨를 뿌려주고, 어부나 해녀들이 비는 소원을 들어주고 간다고 믿어지고 있다. 영등은 제주특별자치도를 방문할 때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들어 왔다고 한다. 영등 기간동안 날씨가 좋으면 딸을 데리고 들어온 것이고, 한해동안 풍년 들 징조로, 날씨가 나쁘면 며느리를 데리고 들어온 것인데, 이때는 한 해의 농사를 걱정하였다고 한다. 또는 날씨가 따뜻하면 옷 없는 영등이, 추우면 좋은 옷을 입은 영등이, 비가 오면 우장 쓴 영등이 온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영등할망이 머무는 음력 2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영등굿을 치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