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11275 |
---|---|
한자 | 新興里防邪塔 |
영어음역 | Sinheungri Bangsatap |
영어의미역 | Pagoda in Sinheung-ri |
이칭/별칭 | 생이답,큰개답,오다리답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521[신흥로1길 24-14]|신흥리 531-1[신흥로1길 40]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한금순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5년 8월 26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신흥리방사탑1호~2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
성격 | 방사탑 |
양식 | 허튼층쌓기 |
건립시기/연도 | 조선시대 |
높이 | 245㎝|345㎝ |
소재지 주소 |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521[신흥로1길 24-14]|신흥리 531-1[신흥로1길 40]![]() |
소유자 | 공유 |
문화재 지정번호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방사(防邪) 유적 2기(基).
신흥리 방사탑은 조선시대에 건립된 방사 유적으로 조천읍 신흥리 바닷가 방파제와 북서쪽 바닷가에 각 1기씩 2기가 있다. 이 신흥리 방사탑은 새들이 자주 날아와 앉기 때문에 ‘생이답’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 중 신흥리 남쪽 포구에 있는 탑을 ‘큰개답’이라 부르며, 북쪽 ‘새백개’에 있는 탑을 ‘오다리답’이라 부른다.
마을 사람들은 탑이 세워진 방향이 풍수지리상 허하고 새[邪]가 비치기 때문에 탑을 세웠다고 한다.
신흥리 방사탑은 2기 가운데서 ‘큰개답’이라 불리는 방사탑 1기는 조천읍 신흥리 남쪽 포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다리답’이라 불리는 방사탑 1기는 북쪽 ‘새백개’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 포구쪽에 위치한 ‘큰개답’은 포구 밖 암반 위에 세워졌는데 하반부는 바닷물에 잠길 때가 많다. 쌓음돌은 현무암을 거친 다듬하여 축조하였는데, 겉은 막돌로 허튼층쌓기를 하였으며 속은 잡석으로 채워놓았다.
하단 지름은 370㎝이고, 높이는 245㎝ 정도이다. 탑의 상단부 안쪽이 50㎝ 정도 패여서 새가 날아와 앉는 일이 종종 있다. 탑의 상단부가 오목한 것은 음(陰)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 한다.
또한 북쪽 ‘새백개’ 쪽에 있는 탑은 암반 위에 높이 345㎝, 지름 432㎝ 규모이다. 현무암을 대충 다듬질하여 막돌로 허튼층쌓기를 하였으며 속은 잡석으로 채워놓았다. 탑 위에는 길쭉한 돌이 세워져 있는데 이것은 남쪽의 탑과 대비하여 양(陽)의 기운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라 한다.
1995년 8월 26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0호와 제8-1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민속자료로 지정된 두 개의 탑 이외에도 6여 년 전에 3개의 탑을 더 세워놓았다. 예전부터 탑이 훼손될 때마다 다시 쌓아놓곤 했다고 한다.
제주도의 방사 유적 중에서 비교적 그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다. 신흥리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어 그 값어치가 높다고 하겠다.